Login

한인 커뮤니티 발전에 필요한 우리들의 준비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6-01-26 00:00

곽호성 / 남미이주공사 밴쿠버 지사장

 

캐나다 밴쿠버 지역의 한인 타운 중에 코퀴틀람이 한인 중심 상권이 된 것은 그리 오랜 기간에 걸쳐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이민자가 급격히 늘어난 90년대 중반부터 코퀴틀람이 한인들의 관심을 갖게 되었고 그 배경에는 캐나다 이민사업을 주도한 국내 이주공사들의 역할이 있다. 그 당시 개최된 이민 설명회에는 하루 평균 200명 정도의 사람들이 몰려 장사진을 이루었고, 어느 땐가는 약 4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참석하여 연설자 단상 옆까지 자리를 잡고 앉아 마치 대통령 선거유세를 듣는 듯한 진풍경을 이룬 적이 많았다. 그때 필자 또한 코퀴틀람을 한인들이 살기에 좋은 지역으로 권유했었다. 그 이유는 이민을 신청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한국의 좁고 복잡한 아파트식 생활공간에 싫증과 불편함을 느끼고 있었기 때문이다. 캐나다 이민의 정착지로 나무가 많고 전원적이면서 시내와 그리 멀지 않은 곳을 선호했기에, 그 당시 코퀴틀람이 가장 적당한 곳으로 판단되었었다. 그런 이유로 이주자들이 가장 많이 정착하는 지역이 되면서 한인의 상권이 하나 둘씩 늘어갔고, 그 후로 이민자들이 자연스럽게 모여 살게 되었으며, 과거 킹스웨이 스트리트 지역에 있었던 한인 사업장들도 이전을 해오면서 코퀴틀람은 현재 밴쿠버에서 가장 큰 한인 중심 타운으로 도약하게 되었다.

각 나라마다 도시의 형성 과정은 각각의 지리, 기후, 종교, 문화 등 다양한 이유와 조건에 따라 형성되어지고 점차 그 도시의 지리적 영역이 확대되고 발전되어진다. 그런 타운의 형성 과정에서 작은 소매점들이 점차적으로 중 대형 도매점으로 바뀌게 되고, 그 소매점들은 다시 새로운 제 3의 지역으로 둥지를 찾게 된다.  다시 말해서 밀집된 지역 내에서 상권이 확대될 경우, 어느 시기가 지나게 되면 제 2의 새로운 커뮤니티와 상권이 조성되고, 다시 제 3의 새로운 지역으로 확대된다.  한인들도 오랫동안 장사해온 터줏대감인 캐나다 상권의 사업들을 매입하여 한인 상권으로 이어가고 있듯이, 마찬가지로 그 버나비와 코퀴틀람의 한인 상권들도 향후에는 상권의 규모, 진행속도, 사업의 종류에 의해 타민족들의 상권으로 자리를 넘겨주게 되거나 혹은 그 구역의 행정 시가 상권을 다른 목적으로 지역을 개발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간혹 제1의 커뮤니티 상권이 자칫 관리 소홀이나 노령화로 인해 너무 일찍 타 민족들에게 자리를 뺏기는 경우가 더 많이 발생한다.

어느 지역이든 인구가 많아지고 복잡화되면서 교통사고, 도난사고, 안전 사고들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사전에 예방을 하지 못하는 것은 반복되는 사고의 원인이 되며, 그런 안전 불감증은 결과적으로 큰 사건의 주범이 된다. 현금 거래가 많은 한인 밀집 상가는 도둑들에게 더 없이 좋은 타깃이 된다. 어느 상점이 도난 당했다는 소식을 자주 듣지만 우리는 그저 남의 사정으로만 무관심하게 넘긴다. 이는 벌써 우리가 당하는 것에 익숙해져 버렸다는 얘기가 아닐까.  "상점이 모두 간밤에 털렸어요. 그리고 나도 털렸는데 벽을 뚫고, 천장으로 들어오고 그러니 당신도 언젠가 한번은 털릴 터이니 조심하세요."라는 말을 들었을 때에는 충고라기보다는 누구나 코퀴틀람에서는 한번씩 겪어야 하는 별일 아닌듯한 일로 들렸다.  상점에 도둑이 들어서 옷걸이 하나 남김없이 모두 도난 당했다는 소식은 예나 지금이나 보고 듣지만 도둑을 막기 위해 상점 앞에 시멘트 말뚝을 박아놓는 방법이 과연 효율적인 도난 방지책인가에 대해서 우리는 다시 한번 생각해 봐야 한다. 일반적으로 스카이 트레인 역이 있는 곳은 쉽게 우범지역이 될 수 있는데, 그렇게 되면 또한 급격하게 교통사고와 도난사고가 끊이지 않게 되는 골치 아픈 할렘가로 전락될 수도 있다. 

한국의 동대문 상가보다도 훨씬 작은 코퀴틀람 한인상가를 우리가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여 타민족에게 쉽게 당하고 있는 것은 정말 치욕적이고 분한 일이다. 이 지역에 깃발을 달고 화단에 꽃을 심어 한인 중심 지역이라고 홍보하는 것보다는, 우선 안전하고 쇼핑하기 편리한 지역으로 바꾸는 작업이 필요하며, 그 다음으로 문화공간이 필요할 것이다.

어느 나라의 도시를 가더라도 중국의 차이나타운은 그 도시의 다운타운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물론 중국의 이민 역사는 한국에 비교도 안될 정도로 오래되긴 했지만, 중국 정부는 먼저 투자하여 대지와 건물을 매입하고 이민 온 자국민들을 고용 창출하는 정부 주도형의 이민 정책이었다. 그러나 한인들의 경우 본국 정부의 아무런 도움 없이 민간 개개인 주도하의 이민 정착을 하였으니, 이민으로 성공하기까지 고생과 시련의 세월은 너무나 길었고 실패가 많았다는 것을 우리는 가까운 미주 한인들의 모습에서 쉽게 볼 수가 있다.  이런 점을 보더라도 어떤 한인의 대표가 되는 협회나 단체에 의뢰해서 부탁하기보다는, 먼저 우리 스스로가 한국 커뮤니티와 상권을 보호하고 육성시키는 일들에 힘을 합쳐야만 우리들의 커뮤니티가 보다 성숙되고 발전될 것이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코퀴틀람시 교체 사업 중
메트로밴쿠버 각 시별로 거주자가 알아둘 주요 소식을 전달합니다. 정리: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코퀴틀람시단독주택 쓰레기통 교체 중...크기 늘리거나 줄이려면 4월 25일까지 시청에...
캐나다의 봄철 풍경, 걸가이드 쿠키 판매
한국의 걸스카웃과 같은 단체인 걸가이드 오브 캐나다(Girl Guide of Canada)는 매년 봄 쿠키 판매로 활동기금을 모금한다.  구세군 자선냄비가 자연스럽게 겨울철과 불우이웃이 연관돼...
일부 커뮤니티센터, 독립채산제 주장공원관리위, "재원 통합 관리해야 시민 편익"밴쿠버공원관리위원회가 도입하는 통합 회원증 ‘원카드(OneCard)’를 놓고 공원관리위와 일부 커뮤니티센터가 법적 소송에 들어갔다.밴쿠버 시내 킬라니(Killarney), 켄싱턴(Kensington),...
9월말까지 신청하면 시설 무료입장 혜택도
회원증 하나로 수영장과 아이스링크, 피트니스센터 등 밴쿠버시 공원관리위원회 산하 체육시설을 사용하도록 만든 통합회원증제도가 빠르게 자리 잡고 있다.밴쿠버시는 지난달 7일부터...
체육시설은 7월 8일부터, 全센터는 9월부터 가능
앞으로 회원증 한 장으로 밴쿠버시 모든 커뮤니티센터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밴쿠버시 체육시설을 관리하는 공원관리위원회는 11일 관내 수영장과 아이스링크, 체육관에서 사용할 수...
본지 1월 13일자 A06면 ‘커뮤니티 단신-봉사단체’에 게재된 ISS of BC의 ‘PR카드 갱신을 위한 무료 세미나’에서 담당자 이름을 ‘하광자’에서 ‘이사벨 리’로 바로잡습니다. 
밴조선 커뮤니티(www.vanchosun.com/community)가 새로운 모습으로 등장했습니다. 서부 캐나다 한인을 위한 보고, 듣고, 읽는 커뮤니케이션 공간으로 정돈했습니다. 궁금증을 척척 풀어주는 전문가Q&A… 전문가가 여러분의 질문에 1대1로 답변을 해드립니다. 전문분야에...
차이나 타운의 인터내셔널 빌리지 쇼핑몰(88 West Pender St., Vancouver)에서 2월 12일부터 14일까지 밴쿠버에서 가장 큰 설날맞이 행사가 열린다. 토요타사가 메인스폰서로 나선 올해 설날 행사의 모든 프로그램은 무료다. 2월 12일 오후 3시에 열리는 개막식은 전통행사인...
“15일 발기인 대회 갖고 정식 모금운동 시작”
한국전 참전 기념관 및 커뮤니티 센터 건립을 위한 발기인 대회가 지난 15일 뉴웨스트민스터 소재...
“총 공사비 1500만달러, 5만 스퀘어피트 규모로 건립”
한인 커뮤니티 센터 건립을 위한 ‘물밑 작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주정부, 안내전화 'BC211' 개설 준비 중 보건정보·통역·고용 교육 정보 등 제공
BC주정부는 자선단체인 유나이티드 웨이에 기금을 지원해 올 10월 커뮤니티 안내전화 211을 개설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BC주 아이다 총 커뮤니티서비스 장관은 "211 전화 서비스를 통해 BC주와 각 커뮤니티의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라며 "캐나다와 미국 일부...
곽호성 / 남미이주공사 밴쿠버 지사장
  캐나다 밴쿠버 지역의 한인 타운 중에 코퀴틀람이 한인 중심 상권이 된 것은 그리 오랜 기간에 걸쳐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이민자가 급격히 늘어난 90년대 중반부터 코퀴틀람이 한인들의 관심을 갖게 되었고 그 배경에는 캐나다 이민사업을 주도한 국내...
바브 스테그맨씨, 뉴웨스트-코퀴틀람 자유당 후보 경선
뉴웨스트민스터-코퀴틀람 지역구 연방 자유당 후보 경선에 나서는 바브 스테그맨(Barb Stegemann·사진)씨가 한인들의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코퀴틀람시의 관광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투어리즘 디렉터(Tourism Director)로 일하고 있는 스테그맨씨는 “코퀴틀람시와 일한...
BC고등법원장, "거리 범죄 예방에 효과적"
"지역사회에서 발생한 범죄를 지역사회 내에서 빠르게 처리하자."도날드 브레너 BC고등법원장과 휴 스탠필드 BC주법원 주임판사는 BC주 각 지역자치단체에 법원을 개설하자는 '커뮤니티 법정 제도'를 12일 제안했다. 이들은 커뮤니티 법정을 개설해 상습적인...
C3, 오는 28일 모금행사 콘서트 열어
한인과 캐나다인 사회간에 다리 역할을 자임하고 있는 비영리단체 C3(Corean Canadian Coactive Society)가...
한국어학교탐방(2)-밴쿠버크리스챤한인학교
올해 북미최초로 한국생활문화 복합교육 과정 제공 크리스찬 교직원과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다른 한글학교와 차별점을 두고 있는 밴쿠버 크리스챤한인학교(교장 이영철목사)는 2001년 9월 개교이래 버나비 카리부 세컨더리에 자리잡고 있다. 연간 수강 학생수는...
다음 주 4일 다운타운에서… 일본 영사관, 자국민에 주의 당부
다음 주 4일 중국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다운타운에서 반일(反日) 시의가 열릴 예정인 가운데 일본...
‘피치-인 주간’(Pitch-In Week)을 맞이해 노스로드상가진흥회(NRBIA) 회원들이 커뮤니티내 타...
노스 로드 BIA, 배너설치 모금 참여 업체에 감사패
8일 노스 로드 상가번영회(BIA)는 8일 코퀴틀람 인에서 노스 로드 배너 설치를 위한 기금모금에 참여한...
“우리 아기와 함께 여가생활을”
헤이스팅과 브로튼 스트리트의 교차점에 위치한 콜 하버 커뮤니티 센터는 빌딩 뒷편으로 펼쳐진 콜 하버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