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버팔로 떼를 낭떠러지로 몰아서 사냥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6-07-21 00:00

세계유산지정 캐나다 인디언의 사냥터 ‘버팔로 점프’

영화 ‘늑대와 함께 춤을(Dance With Wolves)’의 감동을 기억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이 영화에서 가장 인상적인 장면의 하나는 버팔로(혹은 바이슨)라고 불리는 아메리카 들소 떼가 지축을 흔드는 굉음을 내며 대초원을 질주하는 모습이다.

서부영화에 볼거리로 흔히 등장하는 게 버팔로 떼의 질주이다. 이 장면은 로데오와 함께 서부시대의 상징이 되었다. 북미 중앙부의 프레리 지역에서 자유롭게 유목하는 아메리카 들소는 1920년대 들어 완전히 사라졌다. 21세기의 버팔로는 울타리가 쳐진 농장에서 사육되고 있을 뿐이다.

▲ '헤드 스매시드 인 버팔로 점프' 의 전경. 절벽 높이는 평균 13m.

캐나다 앨버타주 남부의 작은 마을 포트 맥라우드(Fort Macleod). 캐나다 기마경찰(RCMP)이 창설된 이 도시에서 서쪽으로 18㎞를 가면 ‘헤드 스매시드 인 버팔로 점프(Head-Smashed-In Buffalo Jump)’가 나온다. 이 긴 이름을 우리말로 번역하면 ‘버팔로가 떨어져 머리가 깨지는 곳’쯤 될 것 같다. 이것을 줄여서 ‘버팔로 점프’라고 부른다. 북미 대륙의 거인으로 불렸던 버팔로의 슬픈 역사를 보여주는 장소다.

버팔로 떼를 절벽 밑으로 떨어뜨려 사냥하는 장소는 이곳 외에도 미국 텍사스를 비롯해 몇 곳이 있지만 포트 맥라우드가 그 규모 면에서 가장 크다. 유네스코는 1981년 포트 맥라우드의 버팔로 점프를 이집트 피라미드, 갈라파고스 군도와 함께 세계유산으로 지정했다.

포트 맥라우드를 벗어나 자동차가 785번 고속도로를 달리는데 대초원이 뻗어나가다가 야트막한 절벽에 가로막힌 게 보인다. 버팔로 점프라는 것을 직감할 수 있다. 그 끝이 안 보이는 길다란 절벽을 보고 있는 순간 도로와 절벽 사이의 초원에 작은 버팔로 사육장이 나타난다. 자동차는 이 사육장을 순간적으로 지나쳤다. 버팔로 점프가 가까워오자 이번에는 왼편에 티피(tipi: 모피로 만든 북미 인디언의 이동식 원뿔형 천막집) 여러 채가 나타났다. 여행 가이드 바트 도넬리씨는 “실제 사는 곳이 아닌 야영 체험 프로그램으로 운영되는 티피”라고 설명한다.

버팔로 점프의 현장을 보고자 하는 사람은 모두 안내센터(www.head-smashed-in.com)를 거쳐야 한다. 캐나다 건축가 호베르 르블랑이 설계한 이 건축물은 절벽 일부를 잘라내고 원래 절벽과 똑같은 높이로 지었다. 건물 자체만으로도 걸작이어서 1990년 캐나다 총독상을 받은 작품이다.


방문객은 1~2층에서 선사시대 대초원의 생태학과 대초원에 살던 원주민의 생활방식을 배우게 된다. 3층에서는 모형 지형도를 통해 들소 떼가 모이는 분지와 절벽을 향해 무리를 몰아가는 길을 확인하고 사냥에 앞서 원주민이 벌이는 영적 의식 등을 체험하게 된다. 4층은 1700년대 초 유럽인이 여러 가지 생산품들을 들여온 이후 벌어지는 상황을 묘사하고 있다. 특히 말과 총기의 도입은 전통적인 버팔로 사냥의 소멸을 불러왔고 원주민의 버팔로 문화를 급격하게 변화시켰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렇게 대초원의 원주민 역사와 버팔로에 대한 기초 지식을 쌓았다면 엘리베이터를 타고 5층으로 가보자. 엘리베이터에서 내려 출입문을 밀면 대초원이 펼쳐진다. 가드 레일을 따라 100여m를 걸으면 전망대가 나타난다.

절벽의 평균 높이는 13m. 이곳은 5600년 전부터 1800년대 중반까지 버팔로 점프 사냥터로 이용되었다. 대초원에 이런 대규모의 절벽 지형이 만들어진 것도 신기하지만 동시에 이런 자연적 지형을 이용해 버팔로 사냥법을 개발한 원주민의 지혜는 놀랍기만 하다.

원래 절벽 높이는 20m를 넘었지만 수천 년 동안 버팔로의 뼈가 쌓이고 그 위에 풍화작용에 의해 흙이 덮임으로써 현재의 높이가 되었다. 버팔로 점프의 절벽은 밑으로 난 산책길에서 봐야만 그 높이가 실감된다. 지금도 절벽 아래에서 조금만 흙을 파면 버팔로 뼈가 출토된다. 안내센터에는 실제 뼈가 묻혀 있는 모습을 여행객이 볼 수 있게 해놓았다.

▲ 블랙풋 원주민들이 버팔로 사냥을 하는 상상 모형.

남부 앨버타에 살던 원주민 부족은 블랙풋(Black Foot)족. 이들이 버팔로를 절벽 아래로 몰아 떨어뜨려 잡는 전통적인 사냥법을 따르던 시절, 그러니까 1700년대 초반 유럽 모피상이 들어오기 전까지 북미 대륙에는 6000만마리의 버팔로가 살았던 것으로 고고학자들은 추정한다.


버팔로 사냥은 버팔로의 특성을 이용한 과학적인 사냥법이었다. 버팔로 사냥은 일년에 한 번씩 이뤄졌고 보통 한 번에 150여마리씩 잡았다. 먼저 부족의 추장은 사냥을 시작하기에 앞서 의식을 치른다. 버팔로 사냥은 보통 130명의 청년이 동원되는 노동집약적 작업이다. 추장은 달리기를 잘하는 강건한 젊은 사냥꾼을 선발해 버팔로 몰이 역(役)으로 내보낸다. 이들은 광대한 초지에서 자유롭게 풀을 뜯어먹는 버팔로 떼를 연기를 이용해 몰아온다. 버팔로 떼를 V자 모양의 몰이길(drive line) 입구까지 이동시키는 데는 보통 3~4일이 걸린다.

버팔로 떼가 다가왔을 때 노련한 사냥꾼들은 고통스러워하는 버팔로 새끼 울음소리와 몸짓을 흉내내며 버팔로 떼를 몰이길 입구의 분지로 유혹한다. 일단 버팔로 떼가 몰이길 입구의 분지에 갇히면 뒤에서 접근해오던 사냥꾼들이 일제히 일어나 버팔로 떼를 공격한다. 위협을 느낀 버팔로 리더가 질주하기 시작한다. 다른 버팔로들도 리더를 따라 뛴다. 몰이길 양 옆에서는 늑대의 가죽을 쓴 사냥꾼들이 버팔로가 무리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는다. ‘헤드 스매시드 인 버팔로 점프’의 경우 몰이길이 절벽까지 4.8㎞에 달했다.

버팔로 떼의 리더는 암컷. 암컷 리더가 뛰기 시작하면 나머지 버팔로들은 그것을 따라 맹목적인 질주를 시작한다. 암컷 리더가 달리기를 멈출 때까지 이들은 무서운 속도로 달린다. 평균 몸무게가 500㎏이 넘는 버팔로는 한 시간에 50㎞를 달릴 수 있다. 절벽에 다다른 버팔로들이 바로 앞길에 낭떠러지가 기다리고 있는 것을 확인해도, 이미 앞서간 동료들이 절벽 아래서 사냥꾼에 의해 도륙되고 있는 현실을 알아차려도 이미 때는 늦었다. 앞발로 아무리 절박하게 제동을 걸어도 시속 50㎞로 뒤에서 들이받는 버팔로 떼에 떠밀려 20m 절벽 아래로 고꾸라진다.

절벽에 머리를 처박고 떨어지는 버팔로들이 그 자리서 즉사하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이 다리가 부러지거나 떨어질 때의 충격으로 정신을 잃게 된다. 이때 기다리고 있던 사냥꾼들이 창과 칼로 신음하는 버팔로를 도살한다.

▲ 버팔로 사냥터임을 증명하는 흙 속에 묻혀 있는 버팔로 뼈.
원주민들은 버팔로의 고기는 식량으로, 가죽은 티피(원뿔형 이동식 천막)를 만들거나 옷을 짓는 데 썼다. 뿔은 숟가락으로 만들어 썼고 혀는 약재로 사용했다. 절벽 아래에는 버팔로 뼈만 남겨놓았다. 보통 4인 가족이 사용하는 티피 하나를 만드는 데 14마리의 버팔로 가죽이 필요했다. 이런 전통적인 사냥법은 버팔로의 개체수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버팔로의 비극은 유럽 모피상들이 가져온 장총과 말에서 시작됐다. 유럽인들은 버팔로 사냥단을 모집했고, 프레리에는 장총을 든 사냥꾼들이 넘쳐났다. 이들은 버팔로 사냥을 스포츠로 즐겼고, 이때부터 버팔로 수가 급격하게 줄게 된다. 철도회사 유니온 퍼시픽은 객차의 방석용으로 불과 몇 달러에 버팔로 가죽을 사들였다.

버팔로 사냥에 한번 총을 사용하기 시작한 원주민은 더 이상 창과 화살을 잡지 않았다. 여러 날이 걸리는 버팔로 사냥법은 더 이상 쓸모가 없었다. 원주민들은 유럽인에게서 더 많은 총기를 사기 위해 버팔로 사냥에 열을 올릴 수밖에 없었다.

캘거리 중심가에 있는 글렌보 박물관에는 17~18세기 버팔로 사냥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다. 원주민들은 장총 한 자루와 버팔로 가죽 12장을 맞바꾸었다. 100파운드짜리 밀가루 한 포대는 버팔로 가죽 4장을 주어야만 했다. 남자바지 한 장이나 품질이 낮은 여자 드레스 혹은 말방울 12개를 사려면 버팔로 가죽 1장을 건네야만 했다.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문자가 없었다. 이들은 1만년 동안 계속된 버팔로 사냥에 대한 기록을 전혀 남길 수가 없었다. 그러나 버팔로 점프 현장에 오면 그 흔적이 널려 있다. 고고학자들이 이곳을 연구하기 시작한 것은 1938년. 미국 역사박물관 소속의 고고학자 주니어스 버드였다. 이후 1940년대 말부터 1990년대 초까지 4개의 대형 연구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 '버팔로 점프' 안내센터의 심볼
고고학자들은 방사성 동위원소에 의한 연대 측정법으로 가장 오래된 뼈를 조사했다. 이에 따르면 이 절벽은 5700년 전 처음으로 버팔로 사냥에 이용됐다. 5700년 전은 이집트에서 피라미드가 최초로 건설되고 영국에서 스톤헨지가 세워진 시기보다 500년이나 앞서는 것이다.

현재까지 밝혀진 가장 오래된 버팔로 점프 장소는 미국 네브래스카주의 스코츠블러프 지역이다. 이곳에서는 9000년 전인 선사시대 초기에 버팔로 사냥을 한 것으로 고고학자들은 추정한다.

야생 버팔로가 북미 대륙에 살고 있는 것으로 아는 사람이 많다. 유목하는 버팔로는 스크린에서만 존재하는데도.

전망대에 서서 눈을 감았다. 버팔로가 내는 굉음이 바람에 실려 들리는 듯했다. 전망대에서 계단을 통해 내려오는데 4층에서 한 소녀가 수십 개의 버팔로 해골 앞에서 까르르 웃으며 사진을 찍고 있었다.


포트 맥라우드(캐나다)=글·사진 조성관 주간조선 차장대우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호호바(Jojoba) 나무는 미국 남서부 지역과 멕시코, 호주, 그리고 남미와 이스라엘 지역에서 많이 자생하는 관목입니다. 멕시코 북서부의 소노란 사막이 원산지이며 아리조나와 캘리포니아의 건조한 사막성 기후와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상록수입니다....
레바논 사태이후 캐나다 국민의 이중국적 문제가 논란이 되고 있다. 스티븐 하퍼 정부가 레바논에 거주하고 있는 모든 국민들을 구출하겠다고 하자 일부에서는 투덜대는 소리도 나온다. 왜 좀더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는지, 레바논에 거주해 온 이중국적자가...
캐나다 정부 추가 중동 개입 없을 전망
스티븐 하퍼 총리는 25일 레바논 남부지역에 다국적 평화유지군으로 캐나다군을 파병하는 방법을 원치 않는다고 밝히고 중동지역 국가들이 분쟁 해소의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하퍼 총리는 이스라엘과 헤즈볼라 사이의 평화유지를 위해 “캐나다군 또는...
담배 꽁초를 버리면 불 날 확률 100%
뜨겁고 건조한 날씨로 인해 로워 메인랜드 인근 일부 공원에서 자연 발화로 추정되는 화재가 발생한 가운데 광역밴쿠버지역청(GVRD)은 시민들이 공원에서 화재 발생에 주의해 줄 것을 촉구했다.  웨스트 밴쿠버 공원감시인 래리 맥홀씨는 “잔디가 매우 메말라...
대피 주민들 곧 귀가 조치될 듯
화재로 인해 대피했던 갈리아노 섬 주민 140여명이 곧 집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소방 당국은 화요일부터 날씨가 선선해지면서 61헥타르에 달하는 지역을 태운 불길 진화 작업에 진척이 있었다고 밝히고 빠르면 25일 오후에는 대피령이 해제될...
전기 모터 고장으로 수리
밴쿠버 개스타운의 명물 증기 시계(steam clock)가 수리에 들어간다. 밴쿠버 시청은 증기 시계의 전기 모터에 문제가 생겨 3만달러의 예산을 들여 수리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수리는 이 달 말부터 9월 사이에 진행되며 시청은 약 5일 정도 걸릴 것으로...
행사장 일원 교통통제
밴쿠버시에서 매년 열리는 불꽃놀이 경연대회 ‘셀레브레이션 오브 라이트(Celebration of Light)’가 26일 시작된다. 이번 행사는 26일 시작해 29일, 8월 2일과 5일 4차례에 걸쳐 열린다. 26일 첫 경연에 선을 보이는 나라는 이탈리아이며, 이어 중국, 체코, 멕시코가 각각...
내년 가을 착공…2011년 9월 완공 목표
트랜스링크 이사회는 20일 건설비용 증가를 감안해 에버그린 라인 공사기한을 2년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2009년 9월까지 버나비와 코퀴틀람, 포트 코퀴틀람, 포트 무디 지역을 경전철로 연결하기 위해 입안된 에버그린 라인에는 예산 8억달러가 소요될 것으로...
아시아 4개국에서 투자·무역 담당
BC주가 아시아 4개 지역에서 BC주를 대표해 투자와 무역을 담당하게 될 상주 컨설턴트(International Market Consultant: IMC)를 선발한다. 콜린 한센 경제개발부 장관은 “아시아 퍼시픽 무역 협회가 아시아 지역에 상주하면서 BC주에 대한 무역과 투자를 담당할 상주인력의...
인근 주택가 위협..주민, 관광객들 대피
지난 23일 오후 5시경 걸프 아일랜드 갈리아노 섬에 원인 모를 산불이 발생해 비상 사태가 선포되고 약 200여명의 주민과 관광객들이 대피했다. 폭이 좁고 긴 갈리아노 섬의 남쪽에서 발생한 산불은 약 10 헥타르 넓이의 숲을 태우며 주변 주택들을 위협하고 있다....
BC 일부지역 낮 최고 기온 40도까지 올라 릴루엣 41도 기록...이번 주부터 한풀 꺾여
지난 주말 BC주 일부 남부 내륙 지방의 기온이 섭씨 40도 가까이 올라가면서 많은 주민들이 혹서에 시달렸다. 캐나다 연방 환경부는 지난 주 더위가 10년만에 최고가 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기상청에 따르면 금요일인 21일과 토요일인 22일 이틀간 BC주 63개 지역의...
벨라벨라에서..경찰, 20세 여성 체포
BC주 벨라벨라에서 20세 여성이 2살반된 여아를 흉기로 찔러 숨지게 해 경찰에 체포됐다. 지역관할 연방경찰(RCMP)은 21일 소란신고를 받고 현장에 출동해 칼에 찔린 여자 아이를 발견해 BC아동병원으로 긴급 이송했으나 숨졌다고 밝혔다. 사건 초기에 경찰은 20세...
Sarah Vaughan 2006.07.24 (월)
사라 본(Sarah Vaughan)은 지난 주에 소개 했던 엘라 피츠제랄드, 빌리 홀리데이와 함께 3대 재즈 여성 보컬로 손꼽힌다. 여러 음반과 영화를 통해 이미 우리 재즈 팬들에게 익숙한 사라 본은 엘라 피츠제랄드와 마찬가지로 넓은 음역과 허스키한 목소리로 잘 알려져...
Lady In the Water 2006.07.24 (월)
'식스 센스(The Sixth Sense)' 이후 발표하는 작품마다 영화 팬들의 기대와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는 M. 나이트 샤말란 감독의 신작 '물속의 여인(Lady In the Water)'이 이번 주말 개봉됐다.
She's the Man- 2006.07.24 (월)
이번 주 DVD로 출시된 'She's the Man'은 셰익스피어의 대표적인 희곡 '십이야'를 현대판 틴에이지극으로 꾸민 로맨틱 코미디 영화다. 축구 선수로 뛰는 것이 꿈인 여고생 비올라는 자신의 학교 여자 축구팀이 없어져버리자 오로지 축구를 하고 싶다는 열망 때문에...
클레임(Claim)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한국과 캐나다의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문제도 가끔은 발생하게 되는데, 특히 거짓말에 대한 부분에 대해서 한국보다는 캐나다가 무척 심할 정도로 민감하게
브라이언 제슬 BMW 앤드류 홍씨
차량 구입 직전까지 고객은 왕이지만 대금을 치르고 나면 남으로 대접 받는 관계. 캐나다에서 차를 구입해 본 사람들 중 적지 않은 수가 경험하게 되는 관계다.
1. 실협 년차 골프대회 성황리에 마쳐2006년 7월 17일 개최 되었던 년차 회원 친선 골프대회가 CARNOUSTIE GOLF CLUB에서 144명이 참석하여 성황리에 마쳤다.  개인 시상이 없는 텍사스 스크램불 방법으로 진행된 골프대회는 푸짐한 상품이 참가자 전원에게 증정되었다. 2...
7월부터 수확철...'수퍼푸드'로 수요 급상승
밴쿠버의 7월은 블루베리가 익어가는 계절이다. 블루베리는 노화를 방지하는 항산화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수퍼푸드'로 알려지면서 그 인기가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블루베리 수확 시즌을 맞아 블루베리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봤다.  블루베리, 왜 좋을까...
세계유산지정 캐나다 인디언의 사냥터 ‘버팔로 점프’
영화 ‘늑대와 함께 춤을(Dance With Wolves)’의 감동을 기억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이 영화에서 가장 인상적인 장면의 하나는 버팔로(혹은 바이슨)라고 불리는 아메리카 들소 떼가 지축을 흔드는 굉음을 내며 대초원을 질주하는 모습이다....
 1521  1522  1523  1524  1525  1526  1527  1528  1529  1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