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당당하게, 모던 하게…중고 명품의 화려한 부활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6-11-04 00:00

중고 명품 매장 "SECOND LOOK ON GRANVILLE”

여자라면 한 가지쯤 소유하고 싶은 세계유명디자이너의 명품이 있기 마련, 그러나 워낙 고가여서 일반 여성들에게는 ‘못 먹는 감자’였다. 그러나 나이가 들수록 결혼식과 모임에서 명품을 가진 친구를 만나면 “나도 가방 하나쯤 마련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을 해 보게 된다. 이럴 때는 평소 사치스럽지 않던 사람도 저렴한 비용으로 남들이 탐 낼만한 명품 을 하나쯤 가져 보는 것도 괜찮겠다.

만약 ‘럭셔리 ‘패션을 즐기기에는 호주머니 사정이 마음 같지 않은 사람들도 물건을 고를 줄 아는 감각 하나면 밴쿠버에서 기품 있는 명품족으로 변신이 가능한 곳이 있다. 일부에서는 명품 구입을 빗나간 쇼핑 소비자라는 비난을 하지만, 고가의 수입 정장이나 가방류 구두 액세서리 등의 소비를 일상화하는 것으로 정체성을 찾는 것이 아니라면 한 두개 명품을 갖는 것까지 묶어 생각 할 필요는 없다. 온갖 비난도 감수하며 명품이라면 사족을 못쓰는 사람들이 말하는 또 하나의 이유라면 ‘낡아도 처음 상태의 성능을 유지’한다는 것.

 

이유야 어디에 있든 명품에 관심을 가진 사람이라면 눈이 휘둥그래질만한 세계유명브랜드 명품이 총 망라되어 있는 명품 세컨 룩 매장 “SECOND LOOK ON GRANVILLE”은 밴쿠버에서 력셔리 패션의 메카라고 일컫는 그랜빌 ST에 있다. 그곳에서 매장을 발견했다면 먼저 입구와 먼 안쪽 구석부터 관심을 가져보자. 명품이라고 해도 수 백 벌 빼곡히 걸린 옷들 사이에서 내 맘에 쏙 드는 제품을 찾기가 또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때 내 안에 잠든 반짝이는 감각을 깨우자.

사람들의 손길이 쉽게 닿지 않은 구석부터, 보물찾기 하듯 옷 한 점, 한 점을 반드시 꺼내어 찬찬히 살펴보는 것이 좋다. 설렁설렁 스치듯 지나가게 되면 숨겨진 정말 괜찮은 물건을 놓칠 수도 있다. 

웬만큼 매장 구석을 살펴 보았다면, 눈을 크게 뜨고 한쪽 벽면을 가득 메운 구두와 부츠, 핸드백, 아무렇게 놓여 있는 허름해 보이는 소품을 살펴보자. 빛 바랜 셔츠 하나에도 디자이너의 멋이 감춰져 있으니까. 이곳에서는 어느 것을 집어도 세계적인 브랜드이므로 브랜드 파워를 따라가며 쇼핑하기보다 내게 맞는 물건을 잘 찾아내는 것이 요령이다.    

세계 명품 브랜드 총 망라...정품 매장 가격의 3분의1 혹은 4분의1

버버리(Burberry), 프라다(Prada), 디오르(Dior), 페라가모(Ferragamo), 에트로(Etro) 디오르(Dior) 샤넬,  구찌(Gucci) 셀린, 에스까다, 라우렐, 말도 를 비롯, 영국의 대표적인 명품 비비안 웨스트우드(Vivienne Westwood), 크리스챤 디올(Christian Dior)… 등 한국 여성이 선호하는 명품 의류들과 소품들의 가격은 정품에 비해 싸게는 4분의1, 비싸다고 해도 2분의1 선을 넘지는 않는다.

한가지 기억하고 가야 할 점은, 정식 유통경로를 통해 계절 맞춰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개인의 소장품을 재판매 하는 곳이므로 모든 브랜드는 있지만, 모든 구색이 갖춰져 있지는 않다는 것.

그러나 중고제품이라고 하지만 잘만 고르면 한번도 사용하지 않은 의류나 소품들도 많다. 구매 후 단순 변심이나 사이즈교환이 귀찮아서 되파는 사람, 단 한번 착용 후 가져오는 물건도 많기 때문이다.

이밖에 미국, 영국, 캐나다 등 여러 나라에 집을 두고 계절에 따라 옮겨 다니며 거주하는 극소수 상류계층의 여성들이 특정계절을 지내기 위해 캐나다에 입국하면서 본국에서 쇼핑한 명품들을 떠나기 전 몽땅 팔고 가는 것들도 상당수 있다. 이들은 제트족(제트기로 각국을 다니며 여행과 쇼핑을 즐기는 21세기 부의 상징인 신종족을 일컫는 말)에 가까운 부호 여성들로 그 숫자가 많지는 않지만 구매력은 일반인들 구매 수요와 비교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 세컨 룩 매니저의 설명이다.

현지 에이전트가 있는 영국을 제외한 대부분 제품이 이처럼 본사와 정식 비즈니스 경로를 통해 들어오는 물건이 아니므로, 정해진 상품 리스트나 참고 할 만한 카다로그도 없다. 다라서 마음에 맞는 상품을 구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방문하거나 전화로 주문해 두는 수 밖에 없다. 단골 캐네디언들은 올해 신제품이 나오면 ‘귀신’ 처럼 알아서 구매해 간다고 한다. 그래서 주인도 “어떤 물건을 언제쯤 줄 수 있다”는 확답은 불가능하다. 

가격의 책정은 구입과 판매 모두 “사용을 얼마나 했는가” 보다 구매년도가 기준이 된다.

운 좋으면 올해 신상품이나 사용하지 않은 제품을 매장 절반이하의 가격으로 살 수 도 있다.

이재연 기자 jy@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호박 죽” - 양은자 주부(랭리 거주)
그녀 손끝에서 조미료가 나오는 걸까? 뭘 만들어도 감칠 맛 나는 손 맛 좋은 주부가 있다.
써리 '금강산'
밴쿠버 조선일보 추천 '이 집, 이 맛'에 소개되려면 돈을 내야 되나요? 대답은 NO!. 독자들이 추천한 집을 우선 하며 매주 직접 취재를 한다. 반드시 '맛'뿐 아니라 이색적인 메뉴와 분위기, 저렴한 가격 등 이슈가 될 만한 이유가 있는 음식점이라면 어디든 달려간다....
포트 코퀴틀람시 주민의 내년도 재산세 부담액이 늘어날 전망이다. 포트 코튀틀람시는 9일 재산세와 상하수도 요금을 포함한  5% 세금인상안을 의회에 제출했다.  세율이 높아진 것은 광역밴쿠버지역청의 상수도 개선사업 예산증가 때문이다. 세금인상안이...
이민가정 '부부와 자녀 1명'이 일반적
BC주에 정착하는 이민자들의 연령대가 높아진 추세를 보이고 있다. 1981년 이민자들의 중간 연령대는 28.9세였으나 2005년에는 32.8세로 집계됐다. 이민자의 중간 연령대가 올라가기는 했으나 BC주 중간 연령대인 39.5세보다는 아직 젊은 편에 속한다. 1996년부터...
밴쿠버 섬 일부 지역 정전
 9일 밤과 10일 오전 BC 남부 해안 지역에 시속 90km의 강풍이 불어 밴쿠버 아일랜드 시켈트 지역에서부터 걸프 아일랜드에 이르기까지 수천여 가구에서 정전이 발생했다. 또 선샤인 코스트와 로워 메인랜드 일부 지역에서도 정전이 발생했다. 강풍으로 인해...
코퀴틀람 교육청(43학군)은 석세스, 학부모 단체와 공동으로 성공적인 학교 생활과 졸업을 위한 '학교에서 성공하려면(Success in School)' 무료 강좌를 11월 28일 닥터 찰스 베스트 세컨더리에서 개최한다. 교육청은 "중고교에 재학중인 이민 가정 부모들이 알아야 할...
By Yonah Kim Martin C3 주최로 지난 4일 포인트 그레이 골프 클럽에서 열린 기금 모금 만찬 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는 우민제군.On Saturday, Nov. 4, just before leaving Point Grey Golf and Country Club at the end of the evening, I thanked the event manager who was cleaning up the silent auction room with...
칭찬의 역효과 2006.11.09 (목)
피아노를 치고 있다. 곡에 완전히 몰입해서 열심히 치고 있는데 엄마가 와서 한마디 한다. "아이고 우리 딸. 틀리지도 않고 너무 잘하네~. " 갑자기 엄마가 의식되면서 틀리게 치면 안되겠다는 생각을 하는 순간 당황해 키를 잘못 누르고 만다. 테니스를 치고 있다....
쌕쌕이와 사진
6. 부여에는 경찰이 먼저 철수했지만 인민군은 아직 밀려오지 않았다. 이런 곳에서는 숨어 있던 좌익, 보도연맹 사람들이 뛰쳐나와 지방 치안을 담당하고 있었다. 그러나 부여 지방은 아직 치안대가 나타나지 않아 잠시 치안 공백상태에 있는 지역이었다. 그래서...
BC주정부 주택공사에서 선보이는 새 프로그램의 하나로, BC 하우징(Hosing)에서 새롭게 지원하는 임대보조 프로그램이 있다.
카메라 렌즈 속에 삶이 동화되길 바라는 순수한 사진작가들의 모임
밴쿠버 사진동우회는 단순한 기록이라고 단정할 수 없는 솔솔한 휴머니즘의 미감이 배어 나오는 작품을 추구하는 아마추어와 기성 작가들이 함께 어울려 취미로 사진을 즐기는 모임이다.
인턴기자의 삶 2006.11.09 (목)
올해 초, 밴쿠버 조선일보에서 인턴기자를 모집한다는 광고를 보고 지원할까 말까 고민하다가 "내가 기자를 해야 하는 세 가지 이유"라고 정리한 적이 있다. 그 세 가지 이유는 다음과 같다. 우선, 학문의 이론과 현실의 조화를 이루며 전문 분야의 공부를 할 수...
SFU 신방과 주최....'캠퍼스밖의 신문방송학 영향' 토론
SFU 신문방송학과 주최 '커뮤니케이션 심포지움'이 지난 10월 27일 SFU ASB(Applied Science Building)에 위치한 IRMACS 아트리움에서 열렸다. ‘캠퍼스 밖의 신문방송학' 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심포지움에는 신문방송학과 학생들을 비롯해 관련학과 교수 등 70여명이...
최근 지원자 급증하며 명문으로 부상
뉴스위크(NewsWeek)에서 뽑은 25개의 명문 대학교 중 하나인 보스톤 컬리지(Boston College)는 최근 5년간 지원자가 39%나 증가했다.
캐나다 최대의 식품제조업체인 메이플 리프(Maple Leaf)사의 햄 제품 일부가 전량 회수 조치됐다. 7일, 캐나다식품안전청은 이 회사가 생산하고 있는 켄트(Kent), 쉬나이더(Schneiders) 상표의 제품을 수거 폐기한다고 발표했다. 정부의 이 같은 조치는 온타리오주...
공동주택 물량 크게 늘어
10월 신축주택 착공물량이 소폭 증가했다. 8일, 캐나다 주택금융공사(CMHC)의 발표에 따르면 연간기준 신축주택 착공물량은 22만3200채로 전달보다 약 6.7% 늘었다. 이는 당초 예상 치인 21만5000채를 웃도는 수준이다. 주택금융공사는 단독주택의 착공물량 감소에도...
첨단 장비를 갖춘 척수연구센터 건물이 밴쿠버 종합병원내에 건립된다. BC주정부가 UBC, 릭 핸슨 재단, 밴쿠버 코트탈 보건국과 파트너십을 통해 건립하는 이 건물에는 척수연구센터(ICORD)와 함께 릭 핸슨 재단, 밴쿠버종합병원 산하 척추센터가 들어서게 된다. 7일...
11일 현충일을 앞두고 캐나다 정부는 '역사 함께 나누기(Share the Story)'를 주제로 2세들을 위한 산교육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1차 세계대전이후 캐나다는 결코 옛날의 캐나다가 아니었다. 당시 전체인구 800만명 가운데 60만명 이상이 전쟁에 참전했다. 이들 중...
한인 사회 전체를 네트워킹하기 위해 모든 크고 작은 공식·비공식 그룹들을 한번에 다 연결시킬 수는 없지만 현재 한인 사회 안에 존재하고 있는 여러 단체 및 그룹들을 통해 네트워킹을 구성할 수 있다고 본다. 그런데 왜 이런 여러 단체들이 네트워킹을 해야...
로워 메인랜드에 거주하는 사람은 누구나 일반 전화나 휴대 전화로 911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911 전화 요금은 무료다.
 1501  1502  1503  1504  1505  1506  1507  1508  1509  1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