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뜨거운 감자 '퀘벡 독립'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6-11-27 00:00

영국식 표현으로 하자면 스티븐 하퍼 총리는 너무 영악하다(too clever by half). 적어도 퀘벡 독립문제 해결방안에 관해서는 그런 느낌을 지울 수 없다. 22일 하퍼 총리는 "퀘벡은 캐나다 연방 안의 한 국가(a nation within a united Canada)"라고 말했다. 이 같은 폭탄발언은 분리독립주의자를 달래지도 못할 뿐더러 향후 또 다른 논쟁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캐나다 국민통합은 약화되고 퀘벡의 분리독립을 요구하는 목소리는 더욱 커질 것이 분명하다. 독립주의자들은 이렇게 외칠 것이다. "보라! 의회조차도 퀘벡의 독립성을 인정하고 있다. 공식화하고 분리독립하자"

논란은 자유당 대표경선에 나선 마이클 이그나티에프 후보의 부주의한 발언으로 촉발됐다. 그는 '퀘벡은 나의 조국(Quebec is my nation)'이라는 애매한 개념으로 논쟁에 불을 붙였다. 하퍼 총리가 끼어 들면서 진화는커녕 아예 불에 기름을 부은 형국이 됐다. 게다가 하퍼 총리는 공론화 과정을 거치지도 않고 무례하게 의안으로 먼저 밀어붙였다.

보수당 내부에서도 하퍼 총리의 태도가 '교묘한 대응'이라는 말이 나온다. '캐나다 연방 안에서'라는 조건을 달고 퀘벡이 아니라 퀘벡인에 초점을 맞춘 것도 문제로 지적한다. 물론 이는 23일 퀘벡당이 제출한 '완전 분리 독립안'에 맞서려는 선제공격의 성격을 띤다.(일부에서는 퀘벡주에서 보수당 지지도가 3위로 밀려나자 이를 만회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분석한다)

소수정부를 이끄는 보수당의 대표로서 하퍼 총리는 발언에 좀더 신중함을 기했어야 했다. 국회 내 모든 연방주의자를 한데 모아 퀘벡당의 안을 거부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는 위험한 무리수를 택했다. 이제 국회는 두 가지 곤혹스러운 해법을 놓고 결정해야 한다. 물론 두 방안 모두 캐나다 국가 통합을 해친다면 부결되어야 마땅하다.

퀘벡당의 안에 반대표를 던질 대다수 자유당 인사들이 하퍼 총리의 해법을 지지할 것은 분명하다. 하퍼 총리의 제안이 의회를 통과하면 12월 초 열리는 자유당 전당대회에서 예상되는 비슷한 선상의 제 3의 해법안 요구도 수그러들 것이다. 마이클 후보의 지원과 함께 퀘벡 자유당은 캐나다 속의 한 국가이며 이를 역사적, 사회적으로 공식화할 것을 요구해 왔다. 연방 자유당은 하퍼 총리의 방안으로 연방주의자를 설득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 이전에 어떤 방안이 당의 정신을 살릴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 피에르 트뤼도 전 총리는 퀘벡의 이익은 물론 캐나다 연방과 헌정체제 유지, 국민통합을 아우를 수 있는 방안을 추진했다.

캐나다 국민이 퀘벡의 존재를 독립적으로 여기지 않고 국가로 인정하지 않는다면 아닌 것이다. 십 수년 전 캐나다 국회는 퀘벡주를 특별한 공동체(distinct society)의 하나로 인정하기로 했으며 퀘벡주에는 헌법 거부권도 주어졌다. 이는 캐나다가 퀘벡주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있다는 확실한 증거다. 그리고 많은 캐나다 국민들도 퀘벡주를 사회학적 의미에서 하나의 국가 공동체로 받아들이고 있다.

그러나 헌법상에 표현된 개념이나 국회가 인식하고 있는 국가로서의 사회공동체는 보다 넓은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국제법상으로는 특정한 상황에서 독립할 권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캐나다 국민들은 이 문제로 수십년간 중압감을 느껴왔다. 1980년과 1995년, 두번에 걸친 국민투표를 겪었던 사람들이라면 이 문제가 안고 있는 위험성을 잘 알 것이다.

현명하지 못한 하퍼 총리의 개입으로 인해 독립주의자의 분리 독립요구는 기세 등등해 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안은 이그나티에프 후보와 자유당의 큰 실수로 마무리되어도 충분한 일이었다. 또, 퀘벡당이 이 문제를 이용하려 드는 것도 당연하다. 하지만 총리까지 나서 문제를 어렵게 만들고 나라의 장래가 걸린 불확실한 위험을 떠안는 것도 전혀 불필요한 일이었다.

토론토 스타 사설 'Harper's divisive Quebec gambit'
이용욱 기자 블로그 http://blog.vanchosun.com/sennim
 
[키워드] 다시 불붙는 퀘벡 독립논쟁

1763년 영국과 프랑스는 7년 전쟁을 끝내면서 파리조약을 체결했다. 퀘벡은 이 파리조약을 통해 영국이 프랑스로부터 할양 받은 옛 프랑스 식민지이다. 퀘벡의 독립요구를 민족문제로 바라보면 역사만큼이나 뿌리가 깊다고 할 수 있다. 퀘벡인을 지칭하는 퀘베쿠아(Quebecois)도 이들이 '프랑스계 캐나다인'을 거부하고 새로운 정체성을 확립하려는 노력의 하나로 이해된다.

퀘벡주는 1980년과 1995년 두차례에 걸쳐 분리독립 주민투표를 실시했지만 모두 실패했다. 1995년 투표에서 독립을 반대하는 연방주의는 50.56%, 독립주의는 49.42%였다. 표 차이는 5만여표에 불과했다. 캐나다 연방정부는 프랑스어를 공용어로 지정하고 자치권을 대폭 이양하는 등 각종 융화정책으로 탈(脫)연방만은 막으려고 힘쓰고 있다.

현재 캐나다 사회에서는 퀘벡주를 고도의 정치적 독립성을 가진 캐나다 내 자치지역의 하나로 인식하고 있다. 영연방의 스코틀랜드와 비슷한 경우로 이해하는 것이다. 하퍼총리는 "퀘벡당이 주장하는 국가(nation)는 곧 분리독립(separation)를 의미한다"고 말했다. 하퍼 총리의 발언에 대해서는 자유당과 신민당(NDP)이 모두 지지의사를 표명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Superman Returns- 2006.12.04 (월)
크립톤 행성에서 태어나 미국 캔자스의 한 농장에서 자란 클라크 켄트는 평범한 보통 사람으로 살아가고 있지만 누군가 도움을 필요로 할 때면 수퍼맨으로 변신한다. 그렇게 세계를 구원하던 수퍼맨이 자취를 감춘다. 자신이 태어난 크립톤 행성을 찾아 나선 것....
고운 노래의 소리 2006.12.02 (토)
밴쿠버 여성합창단()이 1일 성김대건천주교회에서 남성합창단과 함께 제 4회 정기공연을 개최했다. 행사에 자리한 한인들은 한국의 가곡과 크리스마스 캐롤 등을 경청했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기부금을 걷을 때는 분명한 목적과 기부자에 대한 혜택이 고려돼야 한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입소스-리드사가 캐나다 국내 25만달러 이상 자산을 보유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기부를 하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거의 대부분(97%)은 자선단체의 모금 목적이 기부...
아보츠포드·바운더리 베이·빅토리아 공항, 캐나다 10위권
BC주내 주요 공항의 항공기 이착륙 횟수가 크게 늘어나 밴쿠버 국제공항(YVR) 뿐만 아니라 BC주내 다른 공항들의 상업적인 가치도 증가하고 있다. 밴쿠버 국제공항에는 9월 한달간 3만대에 달하는 항공기가 이착륙해, 같은 기간 3만6000건 가량의 항공기가 뜨고 내린...
가족과 함께 즐기는 크리스마스 행사
1일부터 밴쿠버 지역에 크리스마스 분위기가 본격적으로 살아나기 시작할 예정이다. 매년 크리스마스 때마다 어린 자녀를 둔 부모들에게 순례지가 되는 스탠리 공원안의 미니어처 레일 웨이에서 열리는 '브라이트 나이트' 행사가 1일부터 시작된다. 브라이트...
BC보건위 청소년 비만 대책 건의
BC주의회 보건위원회는 아동비만을 줄이기 위해 '정크푸드'에 PST를 부과해야 한다는 건의 보고서를 주정부에 제출했다. 보건위는 관련 보고서에서 BC주내 청소년 4명중 1명이 과체중 또는 비만 상태라며 그 이유로 ▲장시간 TV시청 ▲도심 놀이공간 부족 ▲양을 늘려...
‘맞짱 뜬’ 샤부샤부 밖에서 먹는 샤부샤부 vs 집에서 먹는 샤부샤부
밴쿠버 입성 3개월 차의 따끈따끈한 신참 교민 주부‘캐
눈 오는 밴쿠버의 밤! 잠 못 드는 이들. “같이 사자 그러면 싸다. 같이 타자 그러면 재미있다. 장비만 산다고? 그러면 오지마!”
함박눈이 이틀 동안 쉬지 않고 내리면서 본격적인 밴쿠버의 백색 겨울이 시작되었다. 제법 매서운 눈발이 옷깃을 파고 들어 몸을 움츠린 주말, 기대와 흥분으로 잠 못 든 사람들이 있다.
BC주 HIV 보균자 9000여명 추산 다운타운 극빈자와 노숙자 중 에이즈 많아
현재 BC주에 거주하고 있는 약 9,000명의 HIV 보균자중 상당수가 밴쿠버 다운타운 이스트사이드 지역의 극빈자와 노숙자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부 보조금으로 살아가고 있는 이들은 제대로된 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한채 사회의 편견과 차가운 무관심속에서 병마와...
된장녀가 대세? 2006.11.30 (목)
장기간의 인터넷 사용을 일시적으로 줄이거나, 못하게 하는 경우 정신운동초조(psychomotor agitation), 불안(anxiety)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이는 인터넷 증후군, 웹홀릭(Webaholic)을 의심해 봐야 한다고 한다. 이는 월드-와이드 웹을 의미하는 웹(web)과, 중독이라는 뜻의...
대만 봉사단체 Tzu Chi
1966년 대만 동부에서 시작된 츠지(Tzu Chi)는 좋은 사회와 환경을 만들기 위해 40년간 자원봉사로 성장해온 봉사기관이다. 세상이 부패되어 가는 모습을 보며, 사람의 마음을 변화시켜 서로 사랑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청옌이라고 하는 달마(Dharma)가 병원, 학교,...
졸업생 네트워크 전세계에
최근 캐나다내의 독립성을 인정 받은 퀘벡주 불어권 내에서의 대표적인 영어권 대학으로 전통과 명성을 가지고 있는 맥길 대학은 몬트리올의 대표적인 대학으로 세계적인 명성과 뛰어난 교수
1. 실협 송년잔치 성황 지난 11월 24일 HILTON HOTEL 에서 가졌던 실협 송년 자니가 회원 및 교민 4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쳤다. 이날 연방의원인 피터 줄리양, 버나비 시장 , 코퀴틀람 시장, 중국 실협, 인도 실협, BC주의 핵심적인 물품 공급 업자들이 다수...
지난 주 2박 3일에 걸친 엘핀호 및 Mamquam 빙원 일대 비경 탐사 감동의 증후군으로 나의 산행 친구들은 눈도 콧대도 높아지고 아니할 말로 목에 힘이 들어가 있는 상태라 해발 2112m의 Cheam Peak을 제
전향숙 / ABC Academic Books Inc. (604) 222-2772
한국 사람도 자녀교육에 많은 관심을 쏟지만 이곳 밴구버에서 보는 중국인들의 자녀교육에 대한 관심은 실로 대단하다. 일부 가정에서는 방과 후에 자녀들에게 일정한 계획표에 따라 철저하게 시간에 맞추어 각 과목을 교육시키는 모습도 목격하게 된다. 물론...
Order and disorder 2006.11.30 (목)
By Lee Sung Kim The universe consists of order and disorder; life is also just the same. That's the providence of nature          -Anon When I was young, I often looked up at the numberless stars in the dark blue, autumn sky, while dreaming of great things. Watching those numerous stars keeping...
시공간 감각 지능 2006.11.30 (목)
현준(9세·가명·남)이는 하루 종일 레고만 가지고 놀아도 지치지 않는다. 현준이 방에는 온갖 창의적인 레고 작품들로 가득하다. 설명서를 보고 그대로 만든 작품들이 아니라 모두 스스로 개발하고 상상해서 만들어낸 작품들이다. 현준이가 가장 좋아하는 것은...
쌕쌕이와 사진
준호는 모든 것 다 버리고 피난한 경험이 두 번 있다. 8·15와 6·25 두 번이다. 8·15 때는 만주에서 다 버리고 왔는데 늘 아쉬웠던 것이 “사진”이다. 그 사진은 중학교 때와 그 후의 기록들이니 되찾아 볼 수 없는 준호의 흔적들이다. 늘 아쉬워했었다. 그래서...
BC 전역 한파...내일부터 기온 상승
로워 메인랜드와 프레이저 밸리 지역에 오늘 최고 15cm의 눈이 내릴...
현재보다 50% 늘려
밴쿠버시 공원관리위원회는 27일 투표를 통해 밴쿠버의 관광 명소인 밴쿠버 수족관(Vancouver Aquarium) 확장을 승인하기로 결정했다. 스탠리 공원 안에 있는 밴쿠버 수족관 확장에는 총 8000만달러가 투입될 예정이며 기존 규모보다 50%가 커지게 된다. 밴쿠버 수족관이...
 1501  1502  1503  1504  1505  1506  1507  1508  1509  1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