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그라우스 정상에서...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7-02-01 00:00

그라우스 정상에서 우박비를 맞으며

松鷄山上冒颱風雹雨
Grouse Mt.에서 태풍과 우박비를 맞으며

衆嶺白晝昏暗中 대낮에도 뭇산들이 어둠속에 묻혔는데
飛空籃車陰氣湧 공중나는 케이블카 음산한기 솟구치네
暴風萬壑裂天地 골짜기에 부는폭풍 하늘땅을 찢어놓고
滂打雹雨千箭痛 얼굴치는 우박비는 화살천개 쏘는구나
滿山柏林盡埋雪 온산가득 전나무숲 눈에죄다 파묻혀도
酷歲風霜不屈容 모진세월 풍상에도 꺾지못한 모습이네
異鄕作客今年暮 타향살이 나그네라 이한해도 저무는데
願化一松松鷄峰 원하노니 이내몸은 그라우스 솔이되리
 
丙戌陽十一月十五日登松鷄山暴風雹雨之中梅軒痛吟
병술년양 11월15일 Grouse Peak에 올라 폭풍과 우박비를 맞으며 매헌은 통쾌히 읊다
 
*註: Grouse Mt.의 Grouse는 산닭인데 일명 솔닭 즉 松鷄라고도 함. 대개는 산 이름을 한자로 옮길 때 소리를 옮기지만(音寫) 여기서는 친근감을 주는 의역을 하여 송계산(松鷄山)으로 번역.

개인이나 소그룹은 차치하고 이곳 밴쿠버에 '무슨 무슨 산우회'라는 간판을 건 단체가 이젠 각 요일마다 있어, 개인의 취향이나 체력에 따라 취사선택할 수 있는 사치마저 누릴 만치 밴쿠버 교민사회의 산행문화가 백화노방(百花怒放)하는 전성기를 맞고 있다. 하지만 자기가 소속한 산행단체가 일기불순을 이유로 산행을 취소하는 일이란 거의 없다. 만약 악천후로 산행을 취소한다면 그건 산행클럽으로서 자격 미달이다. 개인은 산행의 지속성을 통해 서서히 '나이롱 산행인'에서 '진국 산행인'으로 거듭난다. 체력이 받쳐주지 못하거나 도저히 시간을 낼 수 없는 경우야 예외지만 그 외 대부분의 사람들이 지속적인 산행을 결심하기란 결코 쉽지 않다.

일전에 웹사이트에 이런 '나이롱 산행인' 백태를 풍자한 재미있는 글이 올라와 나의 눈길을 끌었다. 제 8급은 타의입산형인데 휴일이면 TV에 눈을 박고 살지만 회사나 모임에서 결정된 산행에 할 수 없이 따라 나서는 사람으로, 비가 억수로 쏟아져 산행이 취소되기를 바라는 놀부 심보가 있다나. 제 7급은 증명입산형으로 산행이 아닌 사진 찍기가 목표다. 경치만 좋으면 찰칵찰칵 증명사진 찍 듯하여, 그 사진을 산이라는 산은 다 가봤다는 자료로 활용한다. 제 6급이 섭생입산형인데, 이 부류는 오로지 한 배낭 가득 짊어지고 산꼭대기가 아닌 계곡에 퍼질러 앉아 실컷 먹기 위해 산으로 가는 식도락가 타입. 제 5급이 중도입산형인데 중도에서 꼭 하산하는 게 특징. 대개 '꼭대기에 올라가면 밥이 나와 쌀이 나와'하며 자기합리화를 한다. 제 4급은 화초입산형. 이 부류는 내내 집에만 있다가 진달래 철쭉꽃 피는 춘삼월이나 만산홍엽으로 불타는 가을에 갑자기 산에 미치는 형으로, 제 얼굴 못난 까닭에 예쁜 꽃이나 단풍을 꼭 끼고 사진을 찍는다나. 제 3급은 음주입산형으로 그래도 좀 산을 아는 인간이며 산행을 마치면 꼭 '하산주'를 먹어야 직성이 풀린다. 정상에 올라간 성취감을 꼭 하산주로 되물려 받아야 한다는 괴기한 논리를 펴는 '마시자'파라고 함. 제 2급이 선수입산형인데 산을 마라톤 코스로 생각하여 산행을 즐기기보다는 산을 몇 개 넘었다느니 하루에 이렇게 많이 걸었다느니 하는 것을 자랑하기 위해 산에 가는 사람으로, 달리기 시합에 나가면 늘 꼬랑지라나. 제 1급이 무시로입산형인데 이 부류는 산행의 정신을 좀 아는 까닭에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집에 무슨 일이 있거나 계획한 산행은 꼭 가야 직성이 풀리는 스타일이다. 폭풍이 몰아쳐 "오늘 산행 취소지요?"하고 물으면 "넌 비 온다고 밥 안 먹냐?"고 되묻는 무식함이 돋보이는 부류라나.

우스개 소리 같지만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기의 급수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정곡을 찌르는 개그 아닌 개그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필자는 어디에 속할까...솔직히 3급의 음주입산형에 1급의 무시로입산형을 혼합한 타입이지 싶다. 말이 나왔으니 말이지 꽃 피고 새 우는 봄, 여름, 가을보다 겨울에는 산행을 나서는 사람들의 숫자가 현저하게 줄어든다. 눈 산을 오르자면 장비구입에 적지 않은 돈이 드는 것도 이유겠지만 그보다는 겨울의 밴쿠버 기후가 맨날 비만 내리니 그 눈비를 맞으며 위험한 산을 갈 필요가 없다는 논리를 편다. 지극히 올바른 생각이다. 하지만 겨울 산행에는 여름 산행을 훨씬 웃도는 희열과 낭만이 있다. 밴쿠버에 살다 보면 허구한 날 비만 내리는 밴쿠버의 하늘을 원망하기 십상이다. 더러는 우울증을 호소하며 이를 날씨 탓으로 돌리기도 한다. 하지만 시내버스로 이동이 가능한 밴쿠버 시내 3개 스키장에 인접한 설경 등산로를 걸어보라. 그야말로 '설경천국'(winter wonderland)이 눈앞에 전개되어 딴 나라에 온 느낌이다. 밴쿠버에 살면서 겨울 산행을 하며 멋진 설경을 감상하지 않는 것은 손해를 봐도 엄청 보는 것이다.

흔히들 위험하다고 하는데, 절대로 그렇지 않다. 모두가 주립공원 경내의 정상 부근인 까닭에 눈사태 위험이 거의 제로 상태이다. 그리고 스키장을 따라 친절하게 장대를 꽂거나 위험지역엔 새끼줄까지 둘러친 등산객 전용 트레일이 있다. 이따금씩 발생하는 조난 뉴스는 밑에서 정상으로 오르다 눈사태를 만나거나, 위험경계선을 월경한 스키어들이나 등산객들의 부주의 때문인 것이다. 문제는 춥고 우중충하고 비오는 겨울을 탓하며 아늑한 안방에 안주하려는 실내심리내지는 무사안일주의인 것이다. 이를 단칼에 내려치고 겨울산에 한번만 올라보라. 그리고 눈 시리게 아름다운 설경과 눈꽃이 만발한 침엽수를 바라보라. 지금까지 이런 걸 놔두고 저 갑갑한 평지의 도심에서 허송한 세월이 야속하다는 생각마저 들 것이다.

필자가 간혹 지인들로부터 받는 질문이 바로 겨울 산행은 위험하다는 것으로 일관되고 있었다. 하지만 백문불여일견(百聞不如一見)이라는 한마디만 해 줄 수 있을 뿐이다. 아직도 겨울산행이 위험하다고 망설이고 계신 분이 있다면, 엎어지면 코 닿을 거리에서 상상을 초월하는 엄청난 비경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송두리째 포기하고 있는 것이다.

간단한 겨울 등산복 차림에 도시락 하나 물병 하나 들고 집을 나서면 그만인 것이다. 평지처럼 돈 쓸 데도 없으니 자동차 휘발유 값만 있으면 아름다운 설경을 무료로 볼 수 있지 않은가... 겨울산은 자기를 배방하러 찾아온 용기있는 순례객들에게 지상 최대의 라이브 쇼를 제공할 것이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