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무현(無絃)의 금(琴)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7-04-02 00:00

가슴 한가운데 태산 같은 돌덩이가 앉은 듯 독한 답답함에 시달릴 때면 조금 멀리 나가 산 트이고 물 트인 곳을 걸어본다. 아니면 일부러 사람 드문 술집을 찾아 홀로 잔을 기울여 보기도 한다. 그러나 그것도 그때 잠시, 점점 다리만 아프고, 취하기만 할 뿐 독하게 짓눌리는 가슴이 좀처럼 나아지는 건 아니다. 여러 번의 경험에 의해 증명된 일이다. 그러면 우선 그 답답함의 실체를 발견하는 것으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야 하는데 그것 또한 쉬운 일이 아니다. 아니, 애초에 가슴을 짓누르는 그것이 답답함인지, 두려움인지, 아니면 막연한 앓음인지조차도 잘 모르겠으니 그저 속수무책이다. 그렇다고 달리 피해갈 도리가 있는 것도 아니니 짓눌리는 가슴 위를 취기에 겨우 의존하고 꾸역꾸역 걸어 보는 수밖에.

속이 죄 역류하는 듯한 시달림에서 문득 떠오르는 무현(無絃)의 금(琴), 말 그대로 줄이 없는 거문고(사실 금(琴)이라는 악기는 거문고와 생김이 비슷하기는 해도 거문고와는 다른, 이제는 없어진 옛 현악기라 한다.)를 일컬음이다. 줄이 없는 거문고니 당연 소리를 낼 수 없다. 소리를 내지 못하는 악기가 어디엔들 소용이 있을까마는, 아주 예로부터 수많은 선학들이 이 무현금(無絃琴)을 화두로 들어 생을 음(吟)했다. 그 중에서도 한참을 거슬러 서기400년대쯤으로 가본다.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나라 무제(武帝, 본명은 소연(蕭衍))의 맏아들로 태어난 소통(蕭統)은 태자(太子)에 봉해졌으나 즉위하기 전인 나이 서른에 세상을 떠나는데, 바로 비운의 태자 소명(昭明)이다. 군주의 자리에 오르진 못했으나 문학평론, 수많은 저술 등을 통해 길지 않은 자신의 생을 높은 경지의 문학으로 촘촘히 채운 인물이다. 소통의 편찬서 ‘문선(文選)’에서 드러나는, 문(文)과 질(質)의 상호균형을 강조한 그의 문학관은 후대 문학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그의 수많은 글 중에 도연명(陶淵明)의 일생을 써내려 간 ‘도연명전(傳)’이 있다.

도연명(陶淵明, 본명은 잠(潛), 연명은 자(字)), 쌀 닷 되가 아쉬워 소인들에게 고개를 숙일 수 없다며 현령(縣令) 관직을 사임하고 홀연히 전원으로 들어가는 마흔 한 살의 그가 혼돈과 불의의 세상을 향해 고별사를 남기니 그 유명한 귀거래사(歸去來辭)다. 도연명은 그 후 세상과 완전히 절연한 채 가난과 병고에도 불구하고 농경과 더불어 귀족적 유희문학이 아닌 따스한 인간미를 물씬 담은 시작(詩作)으로 살다가 예순 셋에 스스로 자신의 제문(自祭文)을 남기고 세상을 떠난다.

소통은 이렇게 자신보다 백 년 정도 앞서 산 도연명의 전(傳)을 썼는데, 그 가운데 무현금이 등장한다. ‘현실을 비판하되 극히 적절하고, 회포를 풀되 넓고 참된 경지에서였다. 아울러 굳은 정절로 도에 머물러 절개를 지켰으며, 농사 짓는 걸 부끄러워 않고, 가난함을 걱정하지 않았다. 음률에 대해 아는 바 없는 연명이지만 항상 무현금을 옆에 지니면서 취흥이 오르면 이를 어루만지며 홀로 속뜻을 부쳤다.’ 소통은 불현금이야말로 형식과 속세에 얽매이지 않고, 참 자유에 이르는 고고한 정신세계를 구축한 도연명과 가장 잘 어울린다고 생각했던 모양이다. 도연명 후로도 헤아릴 수 없이 무현금은 깨달음과 참 자유를 잇는 통로였다.

천 년을 넘어 거침없이 도도한 도연명의 참 자유를 뒤로하고 다시 초라하게 떠는 나를 본다. 태산의 돌덩어리를 안고 기진맥진하는 내게 있어 무현금의 선율과도 같은 참 자유에의 비행(飛行)은 요원한 듯 하다. 엄습하는 나의 답답함과 두려움 그리고 막연한 앓음이 혹시 내 모습과 소리를 널리 드러내야 한다는 강박에 기인하는 건 아닌지. 꼭 보고 들어야만 나를 확인하고 안심하는, 그런 처지와 욕망에 휘둘리는 건 아닌지.

…소리가 있어 듣는 것은 소리 없이 듣는 것만 못하고, 형체가 있어 즐기는 것은 형체 없이 즐기는 것만 못하다… (…聽之聲上, 不若聽之於無聲, 樂之形上, 不若樂之於無形…). 화담 서경덕(花潭 徐敬德)의 무현금명(無絃琴銘) 또한 수백 년이 넘도록 쟁쟁한데, 나는 언제나 정체 모를 시달림을 훌훌 떨구고 무현의 금을 타고 놀며 자유롭게 훨훨 날까, 정녕 그 날은 올까.

*필자 김기승은 1979년부터 극단76극장, 극단 실험극장, 환 퍼포먼스 그리고 캐나다로 이민오기 직전 PMC 프로덕션 등을 중심으로 공연계에서 활동했고 연극, 뮤지컬, 영화, 콘서트, 라디오 등 100여 편의 작품들에서 연기, 연출, 극작, 기획 등을 맡아왔습니다. 제목 '추조람경'(秋朝覽鏡)은 당(唐)나라 설직(薛稷)이 쓴 시의 제목으로, 제자(題字)는 필자가 직접 썼습니다. <편집자주>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지난 칼럼(본지 3월 22일자 참조)에서는 고용보험 중에서 임신, 양육과 질병 시 고용보험 혜택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번 칼럼에서는 직장을 잃었거나 일을 할 수는 있지만 직장을 잡지 못한 경우에 주어지는 정규 고용보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만일 본인의...
퀘스트 대학 설립자 겸 총장 Dr. David W. Strangway
첫번째 신입생을 선발해 오늘 9월 역사적인 개교를 앞두고 있는 스콰미쉬의 퀘스트 대학(Quest University)은 캐나다 최초의 종교와 무관한 비영리 사립대학이다.
미 버지니아 공대에 마련된 임시 추모장에서 21일 추모객들이 희생자 추모 행사를 갖고 있다. 맨 왼쪽의 성조기부터 오른쪽으로 네 번째 자리가 조승희 추모 자리. 블랙스버그(버지니아주)=최우석 특파원 미국 버지니아 공대 총격 사건은 밴쿠버 한인사회에도...
춘계축구대회 조별 전력분석(I)
올해 탄생한 BC한인축구협회(회장 한정구)가 처음으로 주최하는 춘계축구대회가 오는 5월 5일 시작된다. 본사가 공식 후원하는 이번 대회에는 한인 축구대회 역사상 가장 많은 20개 팀이
주부들의 기초 영어회화 모임 6명 정원, 현재 주부들 ‘졸업’ 후 다시 모집 할 예정
◇ 뉴웨스트민스터에서 차를 마시며 영어공부를 하고 있는 주부들과 이들을 지도하는 조앤 윤씨. 이들은 모두 이 모임이 너무나 유익하고 도움이 된다며, 장소를 제공한 사람과 더불어 조앤 윤씨에게 고마움을 표시하며 밴쿠버의 다른 지역에도 이런 모임이...
WRCAI 공해배출시장 참여 포석
BC주정부 고든 캠벨 주수상은 24일 미국 5개주(州)가 발기한 서부지역 기후대응 이니셔티브(WRCAI)에 가입해 향후 기후변화문제와 온실가스(GHG)배출량 감소 문제에 공동 대응하겠다고 발표했다. WRCAI는 미국 워싱턴, 오레곤, 아리조나, 캘리포니아, 뉴멕시코주가 2006년...
70년간 이어진 원주민 반발 수용
BC주의원들은 수년간의 논의 끝에 BC주의사당 중앙홀에 그려진 벽화를 철거하기로 결정했다. 그간 원주민 대표들은 70년전 그려진 주의사당 중앙홀 벽화 중 4점에 대해 불쾌함을 표시해왔다. 4점 중 1점은 상체를 벗은 원주민 여성이 목재를 옮기는 것을 백인 남성이...
2000달러 보상 판결
빚을 받아내는 방법이 정당하지 않으면 채무자에게 피해 보상을 해야 한다는 판결이 나왔다. BC주 법원은 “콜렉션 에이전시 회사인 토탈 크레딧 리커버리사가 빚을 받기 위해 채무자 캐롤 로츠(60세)씨에게 무리한 방법을 사용했다”며 “회사측이 로츠씨에게...
시민단체 ‘No One Is Illegal’ 시위
시민단체 ‘No One Is Illegal’ 회원들이 23일 오후 다운타운 연방 이민부 사무소 앞에서 불법체류자추방 중단을 촉구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불법체류자의 추방을 반대하는 시민단체인 ‘No One Is Illegal’ 회원들이 23일 오후 3시 밴쿠버 다운타운에 있는...
이사람 / 참전용사 에드워드 맥밀란씨 밴쿠버 출신…1952년 겨울 한국전 참전
21일 버나비 센트럴 파크에서 열린 한국전 참전기념비 착공식에는 76세 이상의 고령인 캐나다군 참전용사(KVA)들이 여럿 눈에 띄었다. 역사의 산 증인이자 참전기념비의 주인공들인 이들은 해가 바뀔 때마다 하나 둘씩 유명을 달리해 KVA 멤버의 숫자는 점점 줄어들고...
성공하는 삶(2) 2007.04.24 (화)
어느 의과대학에서 교수가 학생에게 질문을 했다. "한 부부가 있는데, 남편은 매독에 걸려있고, 아내는 심한 폐결핵에 걸려있다. 이 가정에는 아이들이 넷 있는데, 하나는 며칠 전에 병으로 죽었고, 남은 아이들도 결핵으로 앓아누워 살아날 것 같지 않았다. 이...
지구를 구하라 2007.04.24 (화)
4월 22일은 ‘지구의 날’이다. 캐나다를 비롯한 세계 곳곳에서 기념행사를 열고 지구 온난화와 자연파괴의 경각심을 일깨웠다. 환경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이 높아진 것은 다행이지만 온실가스 방출로 인해 대기환경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는 점은 안타까운...
델타 지역 초등학교서 버지니아 사건 재연 논란 한인 학생 항의…학교•교육청 “학부모에 사과”
델타 사우스 파크 초등학교에서 드라마를 가르치고 있는 한 교사가 버지니아 공대 총격사건을 ‘타블로(tableau)’ 수업 소재로 삼았다가 논란이 일자 학부모들에게 사과했다. 타블로란 특정 장면을 사진처럼 재연하는 연극수업의 일부로 ‘프로즌 신(Frozen...
웨스트밴쿠버 존 웨스톤 후보
◇ 웨스트 밴쿠버 존 웨스톤 보수당 후보가 한인들과 만남의 시간에 앞서 김종설 관장과 악수를 나누고 있다. 두 사람은 사제관계다. 웨스트밴쿠버 선거구에서 보수당 후보로 출마하는 존 웨스톤(John Weston) 후보는 21일 김종설태권도장에서 태권도복을 입고...
Skagit Valley Tulip Festival
세상 식물들이 태동을 하는 4월부터 피기 시작한 튤립의 아름다움이, 봄 막바지에 한 껏 달아오르며 시애틀로 오라며 유혹하고 있다. 올해로 24번째 개최되는 스카짓 밸리(Skagit Valley)튤립축제는 튤립이 피기 시작하는 매년 4월초 시작해 4월말에 끝난다. 축제...
우간다의 독재자 이디 아민을 주인공으로 한 ‘스코틀랜드의 마지막 왕(The Last King of Scotland)’은 이디 아민의 주치의가 되면서 위험한 관계 속으로 빠져드는 한 스코틀랜드 의사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펼쳐진다. 갓 의과대학을 졸업한 니콜라스 개리건(제임스...
Fracture- 2007.04.23 (월)
이번 주말엔 개봉된 안소니 홉킨스, 라이언 고슬링 주연의 ‘프랙처(Fracture)’는  완전 범죄를 계획하고 있는 한 남자와 그의 유죄를 입증하기 위한 검사간의 심리적을 다룬 스릴러 영화다. 엔지니어로 성공한 명석한 두뇌의 소유자인 테드 크로포드(안소니...
인사동의 아이들 2007.04.23 (월)
눈부시다, 바야흐로 염양춘(艶陽春)이다. 겨울을 모두 벗어낸 봄 짙은 주말, 인파의 인사동에 나갔다.
왜 한의학(漢醫學)이란 칭호가 한의학(韓醫學)으로 개명되었는가? (3)
한의학(漢醫學)이 ‘韓醫學’으로 개명된 동기와 ‘황제내경’ 오래 전 한국에서 한의학(漢醫學)이란 칭호가 韓醫學(한의학), 즉 한나라 한(漢)자에서 한국의 이미지를 주는 한나라 한(韓)자로 개명된 사실이 있었다. 단순하게 한자 한 글자의 변형이 아닌,...
21일 써리에서 단독 리사이틀 열어 홈 스쿨링하며 바이올린 연습에 집중
뒤늦은 나이에 바이올린을 시작한 한인 여학생이 지역사회의 주목을 받으며 두 번째 단독 콘서트를 개최한다. 지난 99년 캐나다에 첫발을 디딘 빅토리아 김(한국명 김한솔)양은 남들 보다는 상대적으로 늦은 나이인 10세 때 처음 바이올린을 잡았지만 주변의 도움과...
 1461  1462  1463  1464  1465  1466  1467  1468  1469  1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