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그동안 감자탕 맛은 "다 잊어라~???"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7-04-13 00:00

탕! 탕! 국! 국! 전문점 구월산(九月山)

감자탕, 설렁탕, 순대국, 선지해장국이 맛있는 한식당 ‘구월산’을 추천한 독자는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산을 오르는 산행인. 겨울철 비를 흠뻑 맞으며 산행을 끝낸 다음 이곳을 찾아와 얼큰하고 구수한 감자탕 한 그릇 비우고 나면, 세상에서 부러울 게 없다는 추천인. 미식가라고 자부하는 ‘어른’께 무례함을 무릅쓰고 “신세대들은 별 2개정도의 그저 그런 맛”이라는 평을 말했더니 “밴쿠버에서 이 정도면 감사할 맛”이라며 “그동안 감자탕 맛은 다 잊어라”는 것. 무촌(無寸)인 손님이 손님을 이렇게 설득하려 드는 그 맛의 진실. 우리는 그것이 알고 싶다!

미국 샌디에고의 소문난 양념 갈비집 주인의 대변신
“맛있는 감자탕을 만들려면 돼지 등뼈를 7센티 크기로 잘라서, 냄새 없이 잘 우려내야 합니다. 더 작아도 커도 뼈 사이사이 살에 배어드는 양념의 양이 짜거나 싱거워서 살 맛이 달라지죠. 또 감자도 우리나라 강원도 감자처럼 단맛이 나면서 포근한 걸로 잘 골라야 국물이 개운하구요. 여기에 우거지와 깻잎, 통 들깨를 넣어 구수함을 더해야 하고, 뼈 사리의 양이 넉넉한 것도 감자탕에서 빼 놓을 수 없는 맛의 비결이지요. 감자탕 참 까다롭지요?”
미국 샌디에고에서 유명한 ‘부초 숯불갈비’를 10년 동안 운영하던 김혜영씨가 처음 고깃집을 하려고 찾다가 우연히 이 집을 인수하게 된 배경은 ‘쉬울 것 같아서’라고 했다. 양념갈비라면 “눈 감고도 맛있게 재울 자신이 있다”는 김씨가 감자탕 집을 선뜻 인수하게 된 건, 감자탕을 좀 만만하게 봤다는 이야기.
“양념갈비는 온갖 과일과 야채를 갈아서 소스로 만들어 재운다음, 숙성시키는 온도와 시간, 불의 온도까지 맛을 좌우하죠. 정신이 없었어요.”
‘호랑이 피하면 여우 만난다’고 10년간 운영하던 미국에서의 고깃집을 접고, 좀 편한 메뉴라는 생각에 밴쿠버에서는 망설임 없이 선택한 감자탕이 오히려 더 까다롭더라는 김씨. 원래 첫 국물 한 수저에 ‘맛이 있다, 없다’로 결정되는 ‘탕’류의 맛내기가 그리 녹록한 것이 아니다.

◇ 미국 샌디에고에서 갈비집으로 유명한 부초를 운영하던 김혜영씨는 ‘탕’ ‘국’의 맛있는 국물 맛 내기가 갈비보다 훨씬 까다롭다고 말한다. 한국에서 일식 주방장인 동생 부부가 도와주고 있지만 구수한 감자탕이나 뽀얀 설렁탕, 선지해장국, 순대국은 어떤 일이 있어도 김씨가 일일이 기름을 걷어가며 끓여 직접 만든다. 어쩌다 마음이 가라앉는 날 찾아가 뽀얀 설렁탕 국물에 잘 익은 큼직한 깍두기 넣어 한 그릇 훌훌 먹고나면 우울함은 어디론가 멀리 날아가 버린다.

탕! 탕! 국! 이만한 맛, 그저 고맙지 뭐.
일요일 오후 4시의 식당은 대체로 한가한 시간. 음식 맛에 일가견이 있는 주인과 이런 저런 이야기도 나눌 겸 해서 느즈막한 시간에 찾아갔다. 주인 김혜영씨는 미국에서 이미 ‘대박’을 터뜨린 식당을 운영한 경험이 있었지만, 결코 스스로가 만든 음식에 대한 지나친 자만심으로 손님의 불편함과 부족함을 미처 보지 못하는 실수를 범하지 않을 내공이 두둑해 보였다. 그렇다고 지나친 겸손으로 포장한 영악한 사람은 더욱 아닌 것이, 이 집 단골 손님들이 ‘손님이면서 손님을 설득하게 하는 힘’의 원천이 바로 그런 것이었을 듯.   
하지만 주인의 인간성과 인격이 아무리 훌륭하다 손 쳐도, 식당 주인은 맛있는 음식을 만들어 내는 것이 또 하나의 인격(人格). 노스 밴쿠버 일식당 주방장도 휴일이면 찾아와 한 그릇 먹고 간다는 감자탕을 시켰다. 큼직한 냄비에 대파와 향긋한 미나리, 감자가 불룩하게 올려진 속으로 돼지 등뼈가 숨은 감자탕은, 진한 국물들 사이로 통 들깨가 동동 떠다니는 것 말고는 국물 위에 뜨는 기름기가 없는 게 신기하다.
“등뼈는 맛있게 잘 익은 된장을 넣고 삶아서 한번 버리고, 다시 끓이면서 계속 기름기를 걷어냅니다. 그런 다음 갈비를 재우던 방법으로 만든 양념을 숙성시켜서 부드러운 맛을 가미하죠.”
감자탕은 특별한 비결이라 내세울 만한 것이 없다는 김씨는 “음식의 가장 맛있는 양념은 정성이며 각 재료의 궁합을 맞추고, 저마다의 정직한 맛을 어우러지게 만들어 내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래서일까. 구월산 감자탕은 국물이 칼칼하면서 어른들이 좋아할 ‘한국적인 맛’을 간직하고 있다. 지나치게 다듬어지고 가미되어 세련된 맛을 뽐내지 않으면서 구수하고 진중함을 담고 있다. 

소문의 진위! 궁금해서 참을 수 없는 설렁탕!
구월산을 찾는 사람들이 즐겨 먹는 또 하나의 메뉴는 설렁탕과 선지 해장국.
“나두요~~~”
맛을 보지 않고는 한 마디도 언급할 수 없는 병적인 결벽증에 설렁탕과 선지 해장국을 주문했다. 정말 솔직히 말하자면 설렁탕은 워낙 고소한 맛이라 항간에 ‘우유를 넣는다’는 소문의 확인을 하고 싶은 것이 이유였다. 맛을 확인하는데 ‘맛을 보는 방법’ 외 더 이상 확실한 게 있을까. 서울 모모 할매 설렁탕 집이라는 구체적인 상호를 들먹이며, 그 집이 고소하라고 우유를 섞는다는데…… 말을 빙빙 돌렸다.
“나도 들었어요. 미국이나 캐나다처럼 소 뼈가 싼 나라가 어디 있습니까. 설렁탕은 좋은 뼈 사서 양지를 넣어 오래 오래 끓이기만 하면 되는데, 여기에 뭘 왜 첨가해요. 한국은 뼈 값이 비싸니까 그런 생각을 하는 경우가 있겠지요.”
10시간 동안 푹 끓여서 만들었다는 설렁탕은 누가 먹어봐도 사골 그대로의 맛을 느낄 수 있다. 그래도 꼭 눈으로 보고 싶은 충동이 수그러들 기미가 없다.
“설렁탕 끓이는 솥이 어디 있어요?”
주방 안쪽에서 퇴근할 때를 제외하고 항상 켜져 있다는 사골 솥에 뽀얀 설렁탕 국물이 부글 부글 끓고 있는 게 보인다. 괜한 소문이 들릴 때 마다 주인의 속도 저렇게 ‘부글 부글’ 끓었을 듯.

사골 국물로 끓인 선지해장국과 순대국! 
6시가 되면서 사람들이 몰려들기 시작했다. 한 떼의 대학생들과 일요 축구를 끝낸 ‘버나비 동네 축구’팀, 주말외식을 나온 가족들이 한꺼번에 몰려들었다. 손님이라도 나서서 당장 일을 도와주지 않으면 안될 지경으로 눈 깜짝 할 사이에 입구는 손님들로 가득 찼다. 더욱이 내리는 비 때문에 가게 안으로 들어와 서 있는 손님들을 세워둔 채 먹는 일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서둘러 먹는 것도 보였다.
주인은 ‘오늘 특별히 바쁘다’고 했지만, 손님들이 약속하고 이날 들이닥친 것은 아닐 터, 내친 김에 주방 안으로 들어가 밥을 담는 일을 거들며 이런 이야기 저런 이야기를 나누었다. 덕분에 주방 안을 ‘합법적’으로 샅샅이 훔쳐볼 수 있었다.
뚝배기에 사골 국물을 넣고, 삶은 시래기와 콩나물, 선지 덩이를 넣어 보글보글 끓여 낸 선지해장국은 이 집에서 감자탕 다음으로 많이 팔리는 메뉴. 순대국은 따로 내 놓는 순대를 양념장을 넣어 먼저 내장을 건져 먹은 다음 순대는 살짝 살짝 담궈 빨리 껴내 먹지 않으면 풀어져 버리는 것이 단점이지만 냄새 없이 깔끔한 맛이 또 별미다. 
구월산에서도 결론은 ‘감자탕’, ‘설렁탕’, ‘선지해장국’에 별 ★★★★★, 순대국 ★★★.

*영업시간  
    월~금요일  10:00 am ~ 10:30 pm
     토~일요일  9:30 am ~ 10:30 pm
*주소   535 Clarke Rd. Coquitlam
*전화   (604) 931-5535

이재연 기자 jy@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자녀 교육에 있어서 가장 비극적인 일은 무엇일까? 영재교육과 독서 교육으로 미국에서 유명한 전정재 박사는 교육적으로 가장 큰 세가지 비극을 다음과 같이 꼽았다. 첫째, 능력이 있으면서 그 능력을 쓰지 못하는 일. 둘째, 머리가 있으면서 해내지 못하는 일,...
고교 졸업 후 전문직 진출을 돕는 지름길 대학교 1학년 과정 학점 취득도 가능
BC주 교육기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고등학교 졸업생들을 위한 도제(Apprenticeship) 과정과 대학교 준비(Post-secondary Transition)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본다. 자신의 직종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일과 관련된 많은 경험과 기술을 축적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기숙사신청·보증금 납부마감 반드시 확인
대학 원서 접수가 마감되고, 일찍 지원한 학생들의 합격 결과가 나오는 4월이다. 복잡할 수도 있는 대학 입학, 합격 통지를 받기까지 남은 절차를 알아보자. 인터넷으로 성적표 보낼 수 있어 성적표가 5월 중순경 각 대학으로 보내지기 전에 인터넷으로 스스로...
‘BC 중국어 말하기 대회’…캐나다인 참가자 많아
지난 15일 다운타운에 있는 ‘밴쿠버 공자 학원’에서 BC주 중국어 말하기 대회가 열렸다. 매년 밴쿠버에서 열리는 BC주 중국어 말하기 대회는 이곳 밴쿠버 중국 영사관 교육부에서 주최하는 것으로, 중국 이민자 어린이들의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취지로...
한국 대학 여름학기 교환 프로그램
캐나다에서 대학생활을 하고 있는 한인학생들이 가장 하고 싶어하는 것 중 하나는 한국에서 대학생활을 해보는 것이다. 그 이유 중에는 한국 대학공부가 이곳만큼 힘들지 않고, 더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재미있게 놀 수 있다는 생각이 깔려 있다. 과연 이것은...
‘코리안 나이츠’ 기획 연출한 12학년 프로듀서 박경준군
“어른들 도움 없이 자신의 힘과 친구들 도움만으로 행사 열어” 대학입학을 앞둔 요즘, 2년 동안이나 짝사랑하던 여자친구와 드디어 데이트를 시작해 핑크빛 무드에 휩싸인 그에게 ‘첫사랑은 헤어지는 법’이라는 짓궂은 농담을 하자 “군대를 가지...
커넉스 응원 열기 ‘후끈’…정치인들도 가세 캠벨 주수상, 텍사스 주지사와 소고기 내기
◇샘 설리반 밴쿠버 시장(오른쪽)과 팀 스티븐슨 시의원이 17일 밴쿠버 커넉스 유니폼을 입고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Go, Canucks, Go!”  BC주민들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밴쿠버 커넉스 경기에 몰입하고 있는 가운데 정치인들 사이에서도 커넉스 응원...
 제6회 UBC 아시아 도서관(Asian Centre, UBC 1871 West Mall Van)오픈 하우스 행사가 21일 오전 10시30분부터 오후 5시까지 열린다. 2001년 처음 시작된 이 행사는 매년 주제를 달리하며, 5월‘아시아 문화의 달’을 기념해 도서관 안내와 함께 아시아 문화와 자료를 소개하는...
주민 58% “주정부 잘하고 있다”
낮은 실업률이 정부 지지율을 끌어올렸다. BC주정부 지지율이 2001년 이래 최고치인 58%를 기록하고 고든 캠벨 주수상에 대한 지지율도 53%로 상승했다.  BC주 집권 BC자유당(Liberal) 지지율은 49%로 제 1야당인 BC신민당(NDP) 지지율 32%를 크게 앞섰다. BC신민당 지지율은...
성공하는 삶(1) 2007.04.17 (화)
이디오피아의 마라톤 선수 아베베는 1960년 로마 올림픽에 맨발로 출전해 금메달을 따서 세계적으로 유명해졌다. 마라톤을 처음 시작할 때 아베베는 경제적으로 너무 열악해서 변변한 운동화 한 켤레 사서 신지 못했다. 그의 맨발은 사람의 발이 아니라...
BC 소촌들, 비닐봉지 금지 고려 중
BC주에서 비닐봉지 사용을 금하자는 논의가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거론되고 있다. 북미주 대도시 중에서는 샌프란시스코시(市)가 지난 3월 27일 비닐봉지 사용을 금지해 첫 시범 도시가 됐다. 샌프란시스코 시청은 비닐봉지 사용을 중단해 연간 150만리터의 석유를...
2007 BC주 제조업체 주소록 완성
BC주정부 통계청은 2007년판 BC주 제조업체 주소록 ‘BC Manufacturers’ Directory’가 완성됐다고 지난 주 발표했다. 제조업체 주소록에는 총 257개 업종 4800개 회사가 등재됐다. 주소록에 등재된 제조업체수는 BC주 전체 제조업체 중 약 절반가량이다. 지난해 기준 BC주...
왜 한의학(漢醫學)이란 칭호가 한의학(韓醫學)으로 개명되었는가? (2)
한의학이 한국에 들어온 연도와 ‘동의보감’ 한의학이 우리나라에 정식으로 들어온 연도를 점검해보면 삼국시대(三國時代)로 밝혀진다. 당시 중국과 물물교환이 이루어질 무렵 한의학 서적이 처음 도입되었다.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명의별록(名醫別錄)...
아파트 노래 2007.04.16 (월)
우리 한국인들은 전세계 어디에서도 보기 드문 거대한 조형물을 만들어 놓았다. 아파트다. 국토 전체를 갤러리로 삼은 초대형 설치미술과도 같이 아파트 군락은 위풍당당하다.
Bobby- 2007.04.16 (월)
이번 주 DVD로 출시된 영화 ‘바비(Bobby)’는 1968년 발생한 미국 상원의원 로버트 F. 케네디의 암살사건을 다룬 정치 드라마다. 제목 '바비'는 로버트 케네디 의원의 애칭이다. 영화는 로버트 케네디가 엄청난 지지를 받았던 1960년대 후반 당시 미국 사회의 분위기와...
Q-MEDIA solutions-허정씨
석세스 이민자 봉사단체 사무실에는 취업자들에게 용기를 주기 위한 표어 하나가 걸려있다. ‘10 레쥬메->1 인터뷰, 5 인터뷰 1 석세스’. 즉, 50개 회사에 이력서를 내면 한 곳에서 합격통보를 받
가가종합건축 김용각 사장
김영선 실장과 김용각사장 (좌로부터) 가가종합건축은 이제 1년된 회사다. 이 회사가 중시하는 것은 ‘마음까지 행복한 공사’다. 설립 배경에 ‘마음까지 행복한 공사’를 위한 의지가 깔려있다. 김용각 사장은 “창립 전에 다른 회사들에 의뢰를 해본 결과...
Perfect Stranger 2007.04.16 (월)
할리 베리와 브루스 윌리스가 남녀 주인공을 맡은 ‘퍼펙트 스트레인저(Perfect Stranger)’는 한 여성의 살인사건 배후를 둘러싼 비밀을 파헤쳐가는 스릴러 영화다. 탐사전문 리포터인 로웬나 프라이스(할리 베리)는 어릴 적부터 알고 지낸 친구 그레이스의...
돈! 돈! 돈이 되는 알뜰 생활 정보 쑥쑥 커가는 아이 용품 위탁판매 할 수 있는 곳 KID'S KORNER
키도 몸집도 하루가 다르게 쑥쑥 크는 아이들 용품의 최대 사용기간은 6개월을 넘기기 어렵다. 아무리 비싼 장난감도 금새 싫증을 내고 새로운 것만 찾는다. 버리기엔 아깝고 다시 사용할 수도 없는 집안에 굴러다니는 옷과 장난감을 몽땅 담아서 이곳에 가면...
24년간 밴쿠버시 소방서에서 일해온 한 소방관이 노스델타 교외 초등학교 인근에서 대마초를 재배하다가 적발돼 지역 사회에 충격을 주고 있다. 델타시경은 12일 노스델타 112번가 9100번지 인근에 위치한 주택을 급습해 대마초 화분 380점을 압수했다. 시경은...
 1461  1462  1463  1464  1465  1466  1467  1468  1469  1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