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성공하는 삶(2)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7-04-24 00:00

어느 의과대학에서 교수가 학생에게 질문을 했다. "한 부부가 있는데, 남편은 매독에 걸려있고, 아내는 심한 폐결핵에 걸려있다. 이 가정에는 아이들이 넷 있는데, 하나는 며칠 전에 병으로 죽었고, 남은 아이들도 결핵으로 앓아누워 살아날 것 같지 않았다. 이 부인은 현재 임신 중인데, 어떻게 하면 좋겠느냐?" 그러자 많은 학생들이 서로 눈치를 보다가 한 학생이 자신있는 소리로 "교수님, 낙태수술을 해야 합니다"라고 대답했다. 교수는 "자네는 방금 베토벤을 죽였을지도 모르네"라고 말했다. 그러자 그 학생은 깜짝 놀라서 교수가 도대체 무슨 소리를 하는 건지 모르겠다고 하자, 교수는 웃으면서 이 불행한 상황에서 다섯 번째 아이로 태어난 사람이 바로 베토벤이었다고 설명했다(‘목회와 신학’1998년 3월호).

사실 베토벤의 아버지는 그때 당시 많은 남자들이 쉽게 걸리는 매독에 걸려있었다. 그리고 그의 4남매 가운데 하나는 이미 죽었고, 나머지 셋은 결핵에 걸려 살 희망이 없어 보였다. 그 상황에서 그의 부인은 폐결핵 중증인데 베토벤을 임신했다면 의대생의 판단대로 어쩌면 낙태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맞을지 모른다. 하지만 성공하는 삶을 살아가는 사람은 어떤 열악한 상황에서도 삶을 쉽게 포기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삶을 실패하는 사람은 일반적으로 어려움이 다가오면 모든 것을 부정적으로 보기 때문에 사실 자신이 당면한 어려운 상황들이 실제보다 더 훨씬 크게 보일 수가 있다.

이 세상에 어느 누구도 어려움이 없는 사람은 한 명도 없다. 그런데 그 어려움을 ‘문제’로 보는 것인가 아닌가에 따라서 상황은 많이 달라진다. 또한 ‘문제’로 보인다고 할지라도 해결할 수 있는 ‘문제’로 보는가 아니면 해결할 수 없는 ‘문제’로 보는가로 그 사람을 성공적인 삶을 사는지 아니면 처음부터 실패하기로 계획하고 있는지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우리는 삶의 성공과 실패의 ‘이정표’에 서서 이리 갈까 저리 갈까 망설일 때가 아주 많다. 쉽게 결정할 수는 없지만 그때마다 우리는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지식, 경험, 신앙, 지혜를 총 동원해서 결정하려고 최선을 다한다. 재미있는 것은 잘 살펴보면 분명히 각 개인마다 결정하는 방법이 있고 그 방법을 일반적으로 삶의 철학이니 또는 삶의 지혜, 신앙이라고 표현한다. 그런데 우리의 삶의 결정을 하는 모든 것(삶의 철학)을 잘 살펴보면 분명히 그때마다 처음부터 성공·실패라는 무의식의 세계 속에서‘색안경’을 쓰고 일의 순서를 밟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워터루 대학교를 다닐 때 한 심리학 교수가 수업 중에 자기 최면을 걸면 성공할 확률이 무척 높다고 했다. 그러자 같이 공부했던 내 친구 로이 써머빌(Roy Summerville)은 아침마다 일어나서 샤워하면서 거울 앞에서 “너는 뭘 하든 잘 될거야…성공할거야…모든 사람들이 너를 좋아 할거야…” 등 자기 최면을 걸어서라도 삶을 성공해보려고 했다. 그래서 그랬는지는 몰라도 그는 공부를 다 마치고 졸업 후에 신학교를 다시 졸업하고 멋진 여자와 결혼했고 지금은 훌륭한 목사님으로 ‘질투’나게 행복하게 살고 있다.

어떤 방법으로 자신의 무의식의 세계를 ‘성공’이란 색깔로 바꿀 수만 있다면 좋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우리의 무의식의 세계는 우리의 생각과 노력으로 쉽게 하루 아침에 바꿀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삶을 행복하게 만들어 보려고, 아니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성공이란 삶을 살고 싶어서 ‘신앙’을 갖고 절대자(신)에게 기도하면서 무의식의 세계가 자신도 모르게 바뀐 것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만일 우리가 무의식의 세계에서 확실하게 ‘성공’을 믿는다면 어떤 일을 해도 절대로 실패는 없다. 만일 있다면 성공의 삶의 얻기 위해 종종 다가오는 어려운 일과 고통들이 있을 것이다. 반드시 성공한다는 무의식의 세계를 갖고 있는 사람에게는 어려움과 고통은 삶의 시련이 아니고 스릴로 느껴질 것이다. 다음 주에는 우리의 무의식의 세계는 긍정적인가 아니면 부정적인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나누어 보겠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