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Invitation to Camp Korea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7-04-26 00:00

by Grace Cho

Earlier this month, I happened to catch the final round of the CanWest CanSpell National Spelling Bee, broadcast live on TV.
I had watched the students get selected from their schools, move on to compete against other brilliant spellers in the province, and finally compete against even more brilliant spellers in the country. So, I knew the last five finalists were exceptional.
I focused immediately on a girl named Soohyun Park. I knew she was Korean by her very Korean name. After an intense half hour, and many bizarre words (some that I had never heard of even as an English major), Soohyun won!
I’d never met this girl or even heard of her before, but I’d been cheering for her the whole time and actually cried when she won. Mind you, I had also just finished watching an emotional movie, but I genuinely felt happy for her. I felt connected to her because of our shared cultural background. I also found myself leaving a message about this good news to my mentor, who taught me that embracing my identity as a Korean Canadian is a wonderful thing.
I didn't always feel good about being Korean Canadian. 
I had an average life in Korea until I was 12-years-old and shortly after I turned 12, my family moved to Canada. Of all the places that we could have picked to live, we moved to Amherstview, Ontario. I never say that I lived in Amherstview, because no one knows where that is, especially if you are not from Ontario. I always just say that I lived 3 hours from Toronto. We only lived in Amherstivew for five years, but those were the first five important years of my adolescent life as the only Korean girl in my school.
I managed to fit in pretty well and, up until recently, I thought I had done a good job immersing myself into Canadian society. I learned how to speak English, crave "Canadian" food and hung out with "Canadians." I thought being a successful Canadian meant that I had to be less Korean.
I met my mentor last year. I work as a teacher in Coquitlam, and I was surprised to find another Korean-Canadian teacher in the same school. Even though it has only been a year since I met her, it has been the most valuable year of my life. She not only helped me feel proud as a Korean Canadian, but allowed me to meet others like me. Whether or not we call ourselves “bananas” (yellow on the outside and white on the inside), most Korean Canadians have learned to deal with living in two, very different cultures. My heart goes out to the next generation of Korean Canadians who may feel burdened by their background, rather than lucky.
This year, I will be serving as the camp director for Camp Korea, an educational camp focused on Korean culture for young children. C3 Society, its volunteers and advisors have already started preparing for this year’s camp. Planning for it makes me think about my Korean background and how I got to where I am.
If I had been told about Camp Korea a few years ago, I may have had mixed feelings about it, because I was more interested in learning about Canadian culture. But I have realized that not all Korean children who live in Canada have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or to remember their Korean roots. I find myself fortunate to have had a childhood in Korea, and I now want to share my memories. I want to be able to become a friend for those Korean-Canadian children who may feel frustrated while trying to figure out their own dual identities.
I believe every culture has something unique to offer to this world. Our families moved to Canada, hoping for a better future, but that does not make us inferior to its society. We become part of the Canadian society with our Korean background.
This August, children from all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will be attending Camp Korea for the second year in a row. There are limited opportunities to experience Korean culture here in the Lower Mainland, so I invite you to come out and play. I invite you to come experience Korea in Canada.

Grace Cho is a 1.5-generation Korean Canadian and the director of C3 Society’s Camp Korea. To submit a column to C3 News & Views, contact Angela MacKenzie at aymackenzie@gmail.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밴쿠버 공항에서 일부 승객들이 방역복을 입은 채 출국을 기다리고 있다. / 사진=배하나 기자 지난 5월 1일부터 에어캐나다 밴쿠버-인천편이 재개된 가운데, 대한항공도 6월부터 밴쿠버-...
발색샴푸 개발한 카이스트 이해신 교수
이해신 카이스트 석좌교수가 자연의 갈변현상을 이용해 만든 샴푸로 실험한 자료를 들고 있다. photo 한준호 영상미디어 기자늘어나는 새치·흰머리, 그냥 두자니 나이 들어 보이고...
서킷 브레이커 락다운 종료···5인 실내 모임 허용
접종률·확진자 수 따라 4단계 걸쳐 일상 재개
BC주가 4단계에 걸친 일상 재개 계획을 발표하며, 본격적으로 ‘포스트 팬데믹’ 시대 준비에 나선다. 존 호건 BC주 수상은 25일 오후 기자회견에서 “오늘은 코로나19 바이러스와 싸움을...
한국, 캐나다 등 60여개국 적용··· 내년 초 시행
“승인 한 번 받으면 3년간 무제한 방문 가능”
내년에 유럽연합(EU) 국가를 방문할 계획인 이들은 기존에 무비자로 입국했던 것과 달리 여행 허가증을 새롭게 발급 받아야 한다. 24일 유럽연합은 한국과 미국, 캐나다 등 약...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크리스마스쯤에는 지급될 듯
호건 수상 “경제 회복 위해 지원 아끼지 않을 것”
1000달러 팬데믹 지원금 신청이 오는 18일부터 시작된다.   호건 수상은 7일 오후 빅토리아에서 개원 연설에서, BC주 총선 당시 공약으로 내건 한 가정당 1000달러 팬데믹 지원금을 올해...
확진자 수 급증에 3주간 부분적 락다운 돌입
실내 그룹 운동·종교집회도 다시 금지
BC에서 식당 내 식사가 다시 한번 금지됐다. BC 보건당국은 29일 오후 기자회견에서 빠르게 확산하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해 29일 자정부터 다음 달 19일까지, 3주 동안 부분적...
월요일 새벽 6시간에 걸쳐 랭리 곳곳서 총격
희생자 모두 노숙자··· 2명 숨지고 2명 중상
28세 용의자, 경찰에 사살··· 표적 범죄 추정
월요일 오전 랭리 곳곳에서 6시간에 걸쳐 노숙자를 표적으로 한 총격 사건이 발생해 용의자 포함 3명이 숨지고 2명이 다쳤다.   랭리 RCMP에 따르면 첫 총격은 25일 새벽 12시 1분쯤...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 소식이 전해진 19일 오후 평양 시민과 학생들이 거리에 나와 땅바닥에 엎드려 통곡하고 있다. 이날 평양 거리에는 무장 군인들이 4m 간격으로 보초를 선...
캐나다 시장 철수 발표··· 제한적 유통 환경에 타격
하기스, 코토넬 등 킴벌리-클라크 다른 제품은 남아
화장지의 ‘대명사’로도 불리는 크리넥스(Kleenex)가 캐나다 시장에서 철수한다.   크리넥스 제조업체 킴벌리-클라크(Kimberly-Clark)의 토드 피셔(Fisher) 캐나다 지역 부사장은 25일...
<▲버나비 브렌트우드 파크와 홀리 크로스 초등학교 사이 델타 에비뉴에 착시 현상을 불러일으키는 3D 트릭아트가 화제다. 비바람에 견디는 비닐 소재로 프린트 된 소녀의 이미지 "Pavement...
좌석 젖고 악취 심해 착석 거부했다 쫓겨나
에어캐나다 뒤늦게 사과··· 국책항공사 체면 구겨
에어캐나다가 토사물이 묻은 좌석에 대해 항의한 승객을 비행기에서 쫓아낸 사실이 밝혀져 빈축을 사고 있다.   지난달 26일 라스베가스에서 몬트리올로 향하는 에어캐나다 1706편에...
월 2000달러 혜택 지원, 총 24주로 늘어나
정부, “적극적인 구직활동 이행토록 할 것”
연방정부가 코로나19 정부지원 프로그램인 캐나다 비상 대응 혜택(CERB) 지원을 기존 16주에서 8주 더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저스틴 트뤼도 총리는 16일 대국민 성명에서 경제 재개...
외국인 유입 최소화 방안···캐나다 시민권자 영향
오는 13일부터 시행, “단기사증 효력도 잠정 정지”
한국 정부가 한국인의 입국을 막고 있는 국가나 지역을 대상으로 비자(사증) 면제와 무비자 입국을 잠정 중단할 계획이다. 외교부와 법무부는 8일(한국 시간) 최근 해외유입에 따른...
잇따른 제보… 어디까지가 사실? 정확한 사건 현장은 어디?
살인사건 발생 다음날인 19일 오전 CBC 등 현지 매체들은 살인 사건 뉴스를 비중있게 보도했다. 그중에는 부상을 당한 두명의 피해자뿐 아니라 수갑을 찬 가해자의 모습이 담긴 영상을...
CRA 전산착오 문제로 중복 지급 '문의 폭주'
추후 신청 자격 여부 확인..."지원금 도로 뱉어내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피해 지원을 위한 캐나다 긴급 대응 혜택(CERB) 프로그램이 접수 6일째를 맞이하고 있는 가운데, 정확한 수혜 자격에 대한 문의가 폭증하고 있다....
모임 제한, BC 전체로 12월 7일까지 연장
비필수 이동, 종교 모임, 운동 경기 관람도 금지
호건 수상 “비필수 이동 금지, 전국으로 확대해야”
BC주가 폭발하는 코로나19 확산세에 대응하기 위해 보건 수칙을 한층 강화한다.   BC 보건당국 보니 헨리 보건관은 19일 오후에 코로나19 대응 정례 기자회견을 열고 BC 내 모든 공공 실내...
사람 간 간격 1-2미터 유지···조건 맞지 않으면 상점 닫아야
▲ BC 보건당국 보니 헨리 박사 (사진=BC Government Flickr)BC주가 코로나19 확진자가 하루 사이에 83명이 늘고, 사망자도 3명이 추가됨에 따라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언했다. BC 보건당국은 17일...
by Grace Cho Earlier this month, I happened to catch the final round of the CanWest CanSpell National Spelling Bee, broadcast live on TV. I had watched the students get selected from their schools, move on to compete against other brilliant spellers in the province, and finally compete against even more brilliant spellers in the country. So, I...
회원만 구매 가능··· 안전자산 매력에 ‘불티’
미국계 창고형 대형 할인점인 코스코(Costco) 온라인에 ‘1온스 골드바’가 등장해 화제다. 28일 캐나다 통신에 따르면 코스코 홀세일은 캐나다와 미국에서 1온스짜리 골드바 판매를...
한인 디자이너 브랜드 ‘블루템버린’ 키즈 모델 초대
지난 15~16일 진행된 밴쿠버 키즈 패션위크 성황
▲한인 디자이너 브랜드 블루템버린(Blue Tamburin) 키즈 모델로 런웨이에 오른 이설아 양, 이수아 양, 이시안 군한인 디자이너 브랜드 ‘블루템버린’이 참여하는 밴쿠버 키즈 패션위크가...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