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버나비 마운틴 산행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7-05-10 00:00

한인 산우회와 함께한 버나비 마운틴 산행

登本比山有懷
Burnaby Mt.을 오르면서 느낀바 있어

溫城韓裔頗好山 밴쿠버 한인들은 산행하길 좋아하여
櫛風沐雨還不關 비바람 몰아쳐도 무조건 나선다네
空山落木殘雪在 나목많은 텅빈 산에 묵은 눈도 남았는데
萬壑疎雨草木寒 온골짜기 성긴 비에 초목들은 추울시고
山容水色無古今 산의 모습 물의 빛깔 예나 지금 똑같은데
俗態人情隨時變 세상인심 삶의 모습 세월따라 변하누나
萬愁悠悠一笑揮 온갖 시름 세상사야 손 사래쳐 웃음짓고
却把塵機付自然 골치아픈 모든 일을 저 자연에 맡기노라

丁亥陽二月三日與韓人山友會登本那比山有隔世之感梅軒偶吟
정해년 양 2월 3일 모처럼 한인산우회를 따라 버나비 마운틴 산행을 갔는데 격세지감이
있어 매헌은 우연히 읊다.

불과 10년 전만 하더라도 산을 가는 교민들의 숫자는 극히 제한되어 있었다. 당시 극소수의 교민들이 산행을 시작하면서 조그만 모임이 결성됐고 이것이 불씨가 되어 산행 붐이 요원의 불길처럼 타올랐으니 이젠 교민들이 밴쿠버의 모든 명산을 누비고 다닌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마 교민사회에서 무슨 화두처럼 보편화되고 돌림병처럼 만연되고 있는 여가선용은 단연 등산으로, 이제 산행인구가 골프 인구를 능가한다고 봐야 할 것이다. 초기에 이민 온 교민들이 먹고 살기에 바빠 감히 산을 쳐다볼 여유도 없었던 70,80년대를 거쳐 90년대 이후 밴쿠버로 유입되는 교민인구가 폭증함에 따라 우리 교민사회가 그만치 다변화된 추세를 반영하는 일면도 있다.

필자가 과문한 탓인지는 몰라도 한국사람들처럼 등산을 좋아하는 민족도 없지 싶다. 산행을 나가 보면 이곳 서양사람들은 거의 두세 명씩 아니면 개인 산행인데 비해 교민들은은 삼삼오오에서부터 많게는 수십 명씩 떼를 지어 산에 올라가는 광경을 쉽게 목도할 수 있다. 그러다 보니 이젠 각 요일마다 산행을 안내하는 단체가 우후죽순격으로 난립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소그룹의 익명 산행 동아리만 해도 그 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으리만치 많다. 이런걸 두고 다다익선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사람들 사이에서 이제 등산이 고달픈 운동이 아니라 건강증진의 최고 보약으로 각인되어가고 있음이 분명한 것이다.

우리가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이런 저런 친목단체나 종교단체에 소속하기 마련이지만 산행클럽에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불문율내지는 기본 철학이 있다. 산행 단체는 여타 친목단체와는 달리 산을 올라가고 내려올 때 편의상 필요한 조직이지 산을 내려오면 해체되어 존재하지 않는다. 마치 구름이 모였다 흩어지는 것처럼 산행 후 속세에 내려와서까지 이 동아리가 존재해야 할 필요를 느끼지 않으니 하는 말이다.

산행클럽은 당일치기 캐러반에 다름 아니다. 그러다보니 산 아래 사회단체처럼 무슨 감투의식같은 것은 찾아 볼 수 없다. 참여한 회원들끼리 누가 누구라는 것을 알 필요도 없고 구태여 알려고도 하지 않는다. 말하자면 편의상 단체로 산을 올라가는 것이지 결국은 산과 내가 1:1로 만나는 단독 산행이라는 개인적 존엄성이 엄존하는 것이다. 물론 산을 오르며 동고동락하는 사이에 친분이 두터워지기도 하겠지만 산에서 만난 사람들이니 이해관계가 전혀 없는 길벗인 셈이다.

필자는 8년 전 한인산우회에 왕초보 주말 나이롱 산행인으로 가입하여 한 4년 부지런히 다닌 적이 있어 산행클럽의 아기자기한 분위기를 지금도 기억한다. 대개는 처음 나오는 분들이 산우들과의 서먹서먹함을 떨치기 위해 음식을 만들어 나오는 경우가 있었다. 통성명 인사대신 군대 내무반에 갓 전입한 신병의 신고식에 가깝다고나 할까? 그 이후 '신고식' 때 가지고 나온 음식 이름이 곧 그 사람의 이름이 되는 게 상식이 되어있다. 모씨는 큰 문어를 삶아와 초고추장에 찍어먹는 별미를 선보였는데 그 이후  ‘문어’가 되어 버렸고, 또 한 사람은 집에서 붕어빵을 대량으로 구워와 ‘붕어빵’으로 통했던 일화를 지금도 기억한다.

당시 한인산우회 산행 분위기는 H라는 위트 넘치는 여인이 좌지우지 했었다. 조그만 체구지만 산을 펄펄 날아 다닐만한 산행실력, 숫기없는 장난기와 위트에 모든 회원들이 매료되어 항상 웃음꽃이 만발했던 기억이 생생하다. 그러다보니 한때 많이 나오면 40-50명이 나오는 이변이 속출했는데 그런 분위기메이커가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이러한 대부대가 ‘떼거지’로 기분좋게 산행하는 분위기는 이민생활에서 적체된 피로나 스트레스를 한방에 날려 버릴 수 있는 좋은 보약이었다. 이역만리 이 땅에서도 우리 한국 사람들은 ‘산행 캐러반’의 동아리 의식이 그 어느 민족보다 뛰어난 것에 큰 자부심을 느낀다. 조조가 통일한 위나라 의진수(陳壽)가 저술한 중국 역사책 삼국지(三國志)에 고대 한국 정서를 소개한 위지동이전이 있다. 그는 요즘 말로 하면 고구려를 여행하며 문화인류학적으로 고찰한 기사를 썼는데 이런 흥미로운 동아리 의식을 엿볼 수 있다. "그곳 사람들은 동맹이나 제천의식이 있는데 남녀노소가 어울려 몇 날 며칠 하루 종일 엄청 먹고 마시며 가무를 즐기는데 우리 중국에서는 보기 힘든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다"는 내용이 그것이다. 말하자면 한국 사람들은 상다리가 부러지게 차려먹어야 직성이 풀리고 놀았다 하면 화끈하게 놀아야 논 것 같이 보이더라는 말이다. 이런 전통이 면면이 우리들 핏속에 흘러 산행에서도 이런 광경을 목격할 수 있으니 흐뭇하지 아니한가.

이날 나는 투병 이후 약 4 년 만에 처음으로 한인산우회 산행을 나갔었다. 하지만 낯익은 얼굴이라곤 단 한 명뿐 모두 새 얼굴이 아닌가. 아니 이럴 수가? 정확히 3년 반 사이에 천지개벽할 정도로 물갈이가 된 것을 보고 세월무상을 느끼지 않을 수 없었다. "산천은 의구한데 인걸은 간데 없네"라는 고려말 충신 길재의 시조가 절로 흥얼거려졌다. 하지만 캐러반은 어디까지나 캐러반인 것이고, 산행은 산행일 뿐 사람이 중요한 것은 아니지 않은가. 나는 옛날 처럼 낯선 사람들과 어울려 버나비 마운틴 일주산행을 거뜬히 소화하고 기분좋게 집으로 돌아오고 있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공실률 최저.. 임대도 어려워
주택 가격의 오름세가 5월에도 계속됐다. 4일 광역밴쿠버 부동산위원회가 발표한 주택시장 동향보고서에 따르면 모두 4331건의 거래가 성사돼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 증가했다. 프레이저 밸리지역은 4% 감소한 2152건의 매매가 이뤄졌다. 매물 등록건수는 늘고...
BC주정부, 총 1000만달러 지원
BC주정부가 인턴십을 찾는 대학원생들을 위해 1000만달러를 지원한다. 머레이 콜 BC주 고등교육부 장관은 5일 “기존보다 3배나 증액된 인턴십 지원에 따라 앞으로 4년간 650개 이상의 인턴십 일자리가 추가로 창출될 수 있을 것”이라며 “대학원생들을 위한 인턴십...
출소한 강간 전과자 다시 써리로 이주
지난 봄 출소한 연쇄 강간 전과자가 써리에 거주하게 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지역 주민들의 반발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20년형을 살고 지난 2월 출소한 폴 캘로우는 당초 써리에 거주지를 정했다가 반발 여론이 심하자 뉴웨스트민스터로 옮겼다. 그러나...
가정의 중요성(3) 2007.06.05 (화)
부부는 육체가 하나가 될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마음과 생각이 하나가 되어야 한다. 건강한 결혼생활은 두 몸이 하나가 될 뿐만 아니라 두 마음이, 그리고 생각이 하나가 되어야 한다. 그런데 정말 재미있는 것은 많은 부부들이 같이 살면서 마음과 생각이 아주...
하천 수위 급상승…범람 우려
지난 주말 로워 메인랜드를 비롯한 BC 전역의 수은주가 급상승하면서 홍수 발생 우려가 다시 높아지고 있다. 특히 BC 북서부 지역의 경우 기온 급상승으로 빙원이 빠른 속도로 녹아 내리고 있는 데다가 11일부터 비까지 쏟아지고 있어 하천 수위가 무서운 속도로...
우리집(家)
◇ 설렁탕에 들어가는 얇게 썬 부드러운 편육에 양파, 파, 깨소금을 넣어 새콤 달콤 무쳐 낸 소고기 무침. 이집 가장 별미로 강력 추천. "오가며 그 집 앞을 지나노라면 ~ 그리워 나도 몰래 발이 머물고~” 한식당 ‘우리집’은 그런 곳이다. ‘맛’을 앞장세워...
'쿠킹파파' 모임의 '찹쌀 붕어빵' “흥! 너나 나나 가짜이긴 마찬가지 아냐? ”
빵인가 하면 떡이고, 떡인가 하면 빵인 '찹쌀 붕어빵'...
BELCARRA PICNIC AREA
“게 잡이, 멀리 갈 거 있나요? 밴쿠버 속으로……”봄이라 하기엔 덥고 그렇다고 여름이라 하기에 반팔 셔츠가 썰렁한 요즘, 꽃놀이도 철 지났고 물놀이를 하기엔 어쩐지 이른 감이 있다. 이럴 땐 도심 속에서 물과 자연을 즐길 수 있는 게 잡이(crabbing)를 해 보는...
사업자의 GST 반납 2007.06.02 (토)
사업하는 분들을 접하다 보면, GST 반납(Return)과 관련된 고충을 많이 듣는다. 예를 들면, 매출시 징수한
외국에 들어가 사업을 하려면 그 나라의 정치·사회·경제를 이해하여야 하며, 경제 발전은 그 나라의 문화와 역사에서 시작된다. 베트남은 전세계 최남단 유교국가이며 최서단 동북아시아로 정의된다. 동북아시아는 한·중·일 삼국을 일컫는 지명이다. 베트남은...
초원유통 안평국 사장 초원유통, 캐나다 갈비 미국에 상륙시켜 6월 5일부터 미국 현지공장 생산 시작
알버타주 수상 관저에 초청받은 안평국(사진 오른쪽) 사장. 사진 가운데는 지난해 12월 알버타 주수상에 취임한 된 에드워드 스텔마흐 주수상과 부인 마리 스텔마흐씨. 여름을 예고하는 화창한 날씨가 계속되면서 바비큐 시즌도 함께 찾아왔다. 여름철...
밴쿠버 시청 이원철씨
한국과 캐나다의 취업에서 차이라면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에서도 한국에서와 다른 몇 가지 차이를 잊지 말자. 한국에서 사회적 문제라는‘일단 취업이라도 하고 보자’식의 취업이
맥도날드 파크 잉어낚시
잉어 릴낚시 표준 채비 지난 5월 13일 일요일 아침 낚시 동호회 ‘밴피싱’ 회원들이 아보츠포드에 있는 맥도날드 파크(Mcdonald Park)에서 뭉쳤다. 올해 민물 시조회를 겸한 모임으로 필자를 포함 10명 정도의 회원이 참석했다. 이날 주공략 어종은 잉어(carp). 잉어...
데이비드 다지 캐나다 중앙은행 총재가 지난주 각 언론의 머리 기사를 장식했다. 북미주  ‘단일 통화’가 가능할 것이라는 그의 발언 때문이다. 물론 불가능한 것은 없다. 어느 날 하루 아침에 미국과 멕시코 국경에 쌓아 올린 장벽도 무너질 수 있다. 그러나...
이 부부가 사는 법 K(Korea) x C(Canada) 커플- 양필성 & 양말레나 부부
깨소금이 떨어진다. 아니 아주 깨 밭에서 막 털어 온 깨로 갓 볶아 짜낸 참기름이 뚝뚝 떨어진다. 그 주인공은 양필성, 양말레나 부부.
일반의원 연봉 9만8000달러
BC주의회가 반대 여론에도 불구하고 세비인상안을 통과시켰다. BC주의회는 지난 31일 세비 29% 인상 및 복지수당 증액안을 표결에 부쳐 43대 30으로 가결했다. 의석분포상 BC자유당 의원 전부가 찬성표를 던졌고 신민당 의원 3명은 표결에 불참했다. 이로써 주의원의...
첫번째 ‘메모리얼컵’ 품에 안은 자이언츠
여러분들은 혹시 밴쿠버 자이언츠(Vancouver Giants)에 대해 아시나요? 밴쿠버 커낙스는 모두 아실 테지만 자이언츠에 대해서는 “혹시 야구팀 아니야?” 라고 생각하는 분이 있을 수 있겠네요. 사실 밴쿠버 자이언츠는 NHL의 마이너 격인 웨스턴하키리그(WHL)에 소속된...
일행 중 1명 홍역 증세
일본고등학생 39명과 보호자 2명이 밴쿠버 국제공항 페어마운트 호텔에 격리 수용됐다. 일본으로 돌아갈 비행기를 타기 직전 격리 수용된 이들은 일행 중 한 학생이 홍역 증상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학생들은 이번 주초 밴프 호텔에서 격리됐던 일본 학생...
복권판매 종사자, 자기 근무처에서 복권 구입·당첨 확인 못하도록
BC주 복권 사업에 문제가 있다는 BC행정감찰관의 보고서가 파문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결국 BC 복권공사 빅 폴스척 CEO가 해임됐다. BC복권공사 존 맥러넌 이사회장은 “이사회는 대표를 해임해야 한다고 결론지었으며 이번 조치는 그 결정에 따른 것”이라고...
이중 언어권에서 자라는 아이들의 언어학습
지난 5월 10일 석세스의 패런팅 클럽에서는 포트무디와 코퀴틀람에 사무실을 두고 있는 SHARE라는 기관의 언어치료사가 와서 ‘Building a Home with More than One Language’라는 워크숍을 했다. 영어와 한국어의 이중 언어권에서 살고 있는 이민자 가정들의 공통된 고민을...
 1451  1452  1453  1454  1455  1456  1457  1458  1459  14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