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캐나다데이 공모전 수상 전형준군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7-05-24 00:00

미술공모전 2000여 출품작 중 9세~11세 부문 BC주 1위

◇ 캐나다 데이를 기념하는 미술공모전에서 BC주 9-11세 부문 1등 상을 수상한 직후 아버지 전병호(맨 왼쪽)씨,  선생님, 어머니 이미현(맨 오른쪽)씨와 함께 한 기념사진.

아이다운, 전형준다운 짧은 수상소감

“되게 좋았어요.”
수상소감을 묻는 말에 아이스크림을 먹고 있던 전형준군이 한 대답이다. 그림을 그리는 데 얼마나 생각하고 그렸냐고 묻는 캐나다 CTV 인터뷰에서도 ‘1Day!’ 한마디만 했단다.

그림 외 색소폰, 바이올린, 하키, 사진촬영, 설치미술을 좋아하고, 길을 가다가도 궁금한 것을 보면 반드시 만지고 들여다보며 이해하고 지나가는 아이. 전군은 태어날 때부터 장폐색증이란 희귀병을 앓다가 겨우 극복하고, 아홉 살 때 19kg의 몸무게로 밴쿠버로 왔다.

그때가 2004년 9월. 그로부터 불과 2년 반이 지난 지금, 몸무게는 46kg으로 늘어났고 씩씩하고 건강하게 자라나 2000여명의 캐나다 학생들과 겨뤄 당당히 1등을 차지했다.

전군의 인터뷰는 작은 골프 공, 컴퓨터, 액세서리 하나에 이르기까지 무엇에든 관심을 갖는 아이다운 호기심 덕분에 상가로 달려가면 끊어졌다가 돌아오길 기다려 다시 시작하며 2시간 동안 이어졌다. 

수상 작품의 주제는 ‘캐나다를 대표하는 상징적 표현’

캐나다 데이를 기념해 연방정부 헤리티지부가 주최한 미술공모전에서 BC주 9-11세 부문 1위를 차지한 전군의 작품 주제는 ‘캐나다의 문화를 상징할 수 있는 그림’.

“여기 높은 탑은 토론토에 있는 CN 타워구요, 이 건물은 퀘벡의 의사당건물, 아래 긴 나뭇잎은 캐나다의 상징 메이플리프, 뒤에 산은 그라우스 마운틴, 나이아가라 폭포, 뒤에 큰 산은 록키산맥, 여긴 캐나다의 수도 오타와, 연어 떼와 이글루도 있어요.”

모두 인터넷과 책에서 보고 읽은 캐나다를 상징하는 것들을 그린 것이란다. 11세 어린이의 작품치고는 사실적인 표현의 구체적인 면과 다소 난해한 색감의 선택으로 복잡한 감도 있다. 하지만 그림 하나 하나에 담긴 의미를 듣고 나면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그림 속에는 배를 타고 캐나다를 향해 오고 있는 사람들 틈에 태극기를 들고 있는 한국인도 보인다. 그런데 카누의 끝 부분, 조그맣게 표시되어 있다.

“캐나다는 이민 온 민족들이 모여 사는 곳이잖아요. 우리 한국인이 캐나다로 지금처럼 이민을 많이 오기 시작한 건 다른 나라 사람들보다 늦게 시작되었으니까 뒤에 그린 거에요.”

전군은 그림 공부를 비공식적으로라도 배운 적이 없다. 색소폰과 바이올린, 하키, 사진, 설치미술까지 다양한 관심사의 한 부분이다. 특히 좋아하는 사진촬영은 수동카메라만 10여대를 가지고 있을 정도.

그의 어머니는 아직 ‘작품’이라고 말할 수준은 아니라고 하지만, 집 정원에는 찰흙으로 빚은 전군의 작품과 폐품을 이용해 만든 설치작품이 곳곳에 있다. 구경하는 사람들로부터 아이디어가 꽤 신선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전군의 작품은, 이번 공모전에서도 엔조 구에리에로 캐나다데이 행사준비 위원장으로부터 ‘아이디어가 신선하다’는 평가를 전해 들었다.

“집안에 온갖 잡동사니를 끌어들여 정원에 설치하는 게 싫어서 못하게 말리죠. 그래서 이번 미술도 저 몰래 혼자 그렸나 봐요. 공부 안하고 엉뚱한 짓 한다고 혼내도 그만두질 않아요.”

관심분야와 재능이 도대체 어디서 어디까지인지 가늠 할 수 없는 아들을 키우는 엄마의 고충도 이만 저만 아니었던 듯, 한국을 떠나 온 지금은 ‘휴식’ 같은 기분이 든다고 한다.   

완치가 불가능한 희귀병 안고 태어나

완치가 불가능하다는 장폐색증을 안고 태어난 전군은 태어난 지 한 달 만에 소장 수술을 받고, 정상적인 성장이 불가능하다는 진단이 내려졌다. 사람들로부터 ‘잘 살 수 있을까’ ‘괜찮아지겠지’ 라는 위로조차 상처가 되던 이씨는 아들을 5살이 될 때까지 포대기로 감싸 안고 다녔다고 한다. 한 밤중이라도 아프면 응급실로 달려가야 하는 상황 속에서 유치원은 상상할 수도 없었다.

7살이 될 무렵 기적같이 조금씩 회복되어 초등학교에 입학할 정도의 건강을 되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회복을 했을 뿐, 또래의 몸집이나 키에 비해 작고 어린 전군은 한글도 깨우치지 않은 채 입학 했고, 학교생활은 생각했던 것 보다 힘겨운 일들이 많았다.

“형준이는 학교생활이 너무 재미있고 신기한 반면, 친구들과 선생님의 눈에는 이런 형준이가 신기하고 이상한 아이로 비춰졌죠. 그저 호기심으로 하는 행동이 무엇을 해도 튀어 보였고, 어떤 생각을 해도 특이한 아이로 바라보는 통에 제 마음이 하루도 편할 날이 없고 까맣게 타 들어갔어요.”
초등학교 1학년 첫 봄소풍을 갔던 날, 학부모들이 항의하고 난리가 난 적이 있었다고 했다.

“동물이나 식물을 좋아하는 호기심 많은 애가 개구리나 두꺼비를 처음 보고 얼마나 신기했겠어요. 형준이가 잡은 개구리를 본 친구들이 1000원씩 팔라고 해서 팔았나 봐요. 두꺼비는 좀 더 희소성이 있다고 생각해서 안 팔겠다고 하니까 한 친구가 5000원에 팔라고 졸랐지만 자기가 제일 친한 친구에게 공짜로 그냥 주었답니다.”

5000원에 달라고 했던 아이가 울고 난리가 났고, 개구리를 놓친 아이들은 돈을 돌려달라고 난리. 하지만 그것은 놓친 사람의 부주의라며 환불을 거절하는 형준군. 끝내 “내가 좋아하는 친구에게 주는 건 내 마음이고, 놓친 사람이 책임 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고집을 꺾지 않는 아들 때문에 이날 소풍이 끝난 후 학부모들의 항의전화를 받느라 곤욕을 치러야 했다.

1등으로 받은 상금 200달러 밴쿠버 조선일보에 맡겨

새벽 1시가 되도록 책상 앞에 붙어 앉아 공부를 하는 초등학생. 폐품을 주워 정원에 무언가 설치하고 내 주장이 정확하고 분명한 아이, 평범하지는 않다. 이씨는 구체적으로 아들의 행동이나 생각이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알 수 없지만, 평범한 것과는 동떨어진 아들을 둔 덕에 한국에서는 늘 주눅들어 살아야 했다고 한다.

“획일적인 모습이 ‘정상’이라고 단정짓는 한국학교에서는 선생님도 아이를 이해하려 들기보다 이상한 눈으로 바라 볼 뿐이고, 또 형준이도 서로에게 적응을 못했죠. 그래서 외국의 교육방식이 더 맞을 것 같아서 미국으로 가려다가 이곳으로 올 때 형준이가 19kg이었어요. 지금 45kg이에요.”
무엇보다 아이들이 각각 다르다는 점을 이해하고 아이의 시각에서 바라봐 주려는 교사들의 노력이 ‘특별함’을 결코 달라 보이지 않게 만드는 정서가 아이에게도 잘 맞았던 듯.

전군은 이번 공모전에서 상금으로 받은 200달러 가운데 감사헌금으로 교회에 낸 20달러를 제외한 180달러를 밴쿠버 조선일보에 맡겼다. 작은 돈이지만 꼭 필요한 곳에 쓰고 싶다는 의미였다. 
현재 밴쿠버 베이뷰(Bayview)초등학교 5학년인 전군의 장래 꿈은 하버드대학에서 건축학을 전공하고 훌륭한 건축가가 되는 것.

이번 1등 수상은 자신을 힘들게 하고 있는 다양한 재능이 언젠가 이 나라와 세계 속에서 긍정적 특성으로 부각될 그때를 위한 출발이 될 것이다.

이재연 기자 jy@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Evan Almighty
이번 주말 개봉되는 ‘에반 올마이티(Evan Almighty)’는 짐 캐리가 주연했던 ‘브루스 올마이티’(Bruce Almighty·2003년)의 속편이라고 할 수 있는 코미디 영화다. 성서 속 ‘노아의 방주’ 이야기를 패러디한 ‘에반 올마이티’는 신의 부름을 받은 주인공 에반이...
CUPE 노조원 파업 결의
쓰레기 운반과 처리, 상하수도 및 공원 관리 등을 맡고 있는 밴쿠버 외근직 노조원들이 전면 파업에 들어갈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21일 파업 찬반투표를 실시한 밴쿠버 외근직 CUPE 노조원들은 투표 참가자의 96%에 달하는 지지로 파업을 결의했다. 만약 2000명에...
23일까지 밴쿠버해양박물관에서 기념 행사
밴쿠버 인근 해안을 측량해 지도를 작성한 조지 밴쿠버 선장(Captain George Vancouver) 탄생 250주년 기념 행사가 22일 밴쿠버해양박물관에서 열렸다. 샘 설리반 밴쿠버 시장은 밴쿠버 선장의 탄생일을 ‘조지의 날’로 선포하고 캐나다 포스트가 제작한 밴쿠버 선장 기념...
지난해 대한민국을 후끈 달궜던 그 바다…… 또 그 이야기? 지난 5월 20일 소리 소문 없이 슬며시 밴쿠버에 등장한 ‘바다이야기’. 이 집을 추천한 독자는 은정이 엄마, 윤주 엄마라고 밝힌 주부들. 어지간한 맛에는 눈도 깜빡 하지 않을 20년 차 ‘가정요리사’들이...
바다와 산, 노을이 아름다운 버나비 마운틴 파크
버나비 마운틴은 밴쿠버 시내에서 인렛의 아름다운 바다와 밴쿠버 전경과 야경을 한눈에
BC복권공사, 당첨금 사기 의혹 대책 마련
앞으로 BC주에서 복권을 판매하려면 관련 교육을 이수해야 할 전망이다. 캐나다 통신은 BC복권공사가 복권 사업 관리를 개선해야 한다는 짐 카터 BC주 행정감찰관의 권고안을 수용, 복권판매원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인증을 제공하는 과정을 도입할 방침이라고...
호준(초등 3년, 9세)이는 만 두 살부터 영재교육과 각종 사교육을 받아왔다고 한다. 지능검사 결과 IQ 138 로 매우 뛰어난 아이였다. 그런데 문제는 산만하다는 것이었다. 모든 사교육 학습을 거부하고 학습흥미도 잃은 상태이며, 부모에게는 정서적으로 좌절감과...
제 2회 영어 창의적 글쓰기 대회를 돌아보며
캐나다 거주 한국계 청소년들의 창의성과 상상력이 자유롭게 글로 표현되고 격려될 수 있는 환경조성을 위해 ‘어린이를 위한 창의적 글쓰기 사회(Creative Writing for Children Society)’가 주최하고 밴쿠버 조선일보 및 많은 한인단체들이 후원한 ‘제 2회 영어 창의적...
청소년을 위한 ‘Royal Canadian Cadets’ 프로그램 학기 중 일주일에 하루… 여름에 2~6주간 특별훈련
‘로얄 캐네디언 카뎃(Royal Canadian Cadets)’은 연방정부의 지원으로 운영되는 생도 프로그램으로 12세부터 18세까지의 청소년들이 도전적이고 가치있는 활동과 훈련을 체험하고 캐나다군에 대해
자신의 처지와 성적에 맞는 튜터 골라야 튜터를 통해 고기 잡는 법 배우는 것이 중요
사례 1. 버나비 세컨더리 11학년에 재학중인 아들을 둔 김명숙(가명)씨는 얼마전 받아든 아들의 학기말 성적표를 보고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캐나다로 이민온지 4년밖에 되지않아 평소 영어에 어려움을 겪던 아들의 요구로 시간당 30달러짜리‘에세이...
행사의 중심에서-Alcan Dragon Boat Festival
지난 16일과 17일 밴쿠버 다운타운 펄스 크릭에서는 알칸 드래곤 보트 페스티발(Alcan Dragon Boat Festival)이 열려 백 여개의 팀과 수많은 시민들이 함께 행사를 즐겼다. 올해로 19번째를 맞는 이 행사는 다채로운 음악과 공연, 음식, 놀이문화 등을 통해 캐나다에서의...
‘복합문화 행사’23일 써리에서 열려 옵션스·PICS·석세스 등 공동 주최 다양한 정보·풍성한 볼거리 제공
다양한 기관과 단체에서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소개하고 서로 다른 커뮤니티간의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제 2회 복합문화 축제(Multicultural Resource Fair)가 23일 써리 플릿우드 커뮤니티 센터(Fleetwood Community Centre)에서 열린다. 이민자봉사단체 옵션스,...
登麟峯坐思Lynn Peak 정상에 올라 사색함 乾坤爲吾居 하늘과 땅을 나의 집으로 삼으니何論是與非 시비를 가려서 무엇하는가.生也本澹泊 사람이 태어날땐 담박했으나外物作萬機 바깥 사물에 온갖 번뇌를 짓는다浮生空自忙 덧없는 인생들은 부질없이...
한국시장자문단, 11개 권고안 담은 보고서 제출
BC주정부 정책자문기관인 아시아태평양무역카운슬 산하 한국시장자문단이 11개 권고안을...
직업 준비 프로그램 적극 지원
BC 주정부가 장애인들의 취업을 돕기 위해 커뮤니티 구직서비스 3곳에 총 1600만달러를...
학비 융자금 탕감 혜택
BC주정부가 입주 간병인 양성 프로그램에 총 900만달러를 지원한다. 메레이 콜 BC주 고등교육부 장관은...
BC주정부 캠페인 시작
BC주정부는 “식사를 가족과 함께” 하라는 ‘eat together’ 캠페인을 시작했다. 함께 식사할 것을...
골든이글 수로에서 잡은 잉어와 밴피싱 회원 ‘자손’님의 차남 Eric 지난 5월 11일 저녘 7시경 필자와 필자의 조우들이 한국으로 한동안 가 있어야 할 낚시동호회 “밴피싱” 전임 방장인 “밴낚시”님의 환송 모임을 겸해서 핏미도우(Pitt Meadow)에 위치한...
신포우리만두
속 터져! 속 터져! 신포우리만두 취재는 ‘이 집 이 맛’ 지면을 기획하고 35번째 음식점. “놀면서 맛있는 것 실컷 먹고 월급 받고, 무슨 팔자가 그리 좋으냐”고 물으면 속 터진다. “맛있는 집이라 해서 갔더니 맛 없더라”하면 더 속 터진다. 그때 마다 “밴쿠버...
밴쿠버 웨스트 지역 한인 구두, 가방 수선 집
소중한 사람에게서 받은 선물이나 기억에 남을 만한 기념비 적인 의미를 담은 애장품이 아니라 해도, 모서리가 ‘나달나달’해 지도록 절대 버리고 싶지 않은 애착이 가는 가방이 있는 가 하면, 벗어 놓았을 때 가죽구두가 고무신처럼 말랑말랑하게 낡은 구두도...
 1451  1452  1453  1454  1455  1456  1457  1458  1459  14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