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맛있는 한끼, 밥심(心) 느끼고 싶은 당신을 기다리는 집”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7-06-02 00:00

우리집(家)

◇ 설렁탕에 들어가는 얇게 썬 부드러운 편육에 양파, 파, 깨소금을 넣어 새콤 달콤 무쳐 낸 소고기 무침. 이집 가장 별미로 강력 추천.

"오가며 그 집 앞을 지나노라면 ~ 그리워 나도 몰래 발이 머물고~” 한식당 ‘우리집’은 그런 곳이다. ‘맛’을 앞장세워 찾아가보라고 권할 만한 특별한 메뉴가 있는 것도 아니고, 맛으로 사람을 깜빡 넋 놓게 할 감춰진 ‘무엇’이 숨어 있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그것이 또 이 집을 그립게 만드는 이유가 된다. 세월이 지나면 지날수록 잊혀지지 않고 입안에서 맴도는, 평범한 듯 그러나 누구도 흉내 낼 수 없는 엄마의 손 맛이 그리워 기억 속을 더듬게 되는 그리운 맛이 있다. ‘평범해서’ 더욱 생각나는 집. 노래 가사처럼 ‘오히려 눈에 띌까 다시 걸어도 되오면 그 자리에’ 주변 거리를 걷다가 나도 모르게 고개를 기웃거리게 되는. 한마디로 한식당 ‘우리집’은 평범하면서도 한끼 맛있게 밥을 먹을 수 있는 ‘밥 집’이다.

‘우리집’에서 만나자고 해 놓고 우리 집으로 오면 어떡해~

“내일 우리집에서 만나~”
“집 주소는요?”
“주소? 잘 모르는데 어쩌지?”
집 주소도 모른다면서 집으로 오라는 건 오라는 말인지 오지 말라는 말인지 도대체 속내를 알 수가 없다. 잠시 후 주소는 모르지만 위치는 안다며 킹스웨이 근처 어디라는 말에 더욱 아리송해진다. 어제까지 버나비에 살던 사람이 야반도주를 한 걸까? 킹스웨이….
한식당 ‘우리집’에서 약속을 하는 사람들 가운데는 이렇게 동문서답하는 사람이 꽤 있을게다. 실제로 어느 교회 목사님은 교인들에게 ‘우리집’에서 만나자고 했다가, 일부는 목사님댁으로 일부는 ‘우리집’으로 왔다는 에피소드가 있다.
‘우리집’은 킹스웨이 3490번지, 현대수퍼 근처에 있다. 실내는 열 평 공간이 될까 말까 작고 아담한 ‘우리집’에서 약속을 할 때는, 구체적으로 ‘한식당 우리집’이라고 분명히 말 하지 않으면, 우왕좌왕하느라 때를 놓치고 고픈 배를 움켜쥐고 아우성쳐야 할 지도 모른다.   
작은 공간이기도 하지만  ‘우리집’은 문을 여는 시간부터 문을 닫을 때까지 손님이 끊이질않는다. ‘열 평’ 작은 공간에 식사를 할 수 있는 테이블은 다섯개. 작은 2인용 식탁을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어 두 명에서 스무 명이 한꺼번에 들어가도 오붓한 식사를 할 수 있다.
이런 집의 장점은 바로 주인과 주방과 빠른 ‘내통’이 가능하다는 것. “아줌마” 한번만 부르면 주방에서도 달려오고 서빙하는 아줌마도 손만 뻗으면 김치든 깍두기든 바로 바로 초고속 리필이 이루어진다는 거다.

정성으로 만드는 엄마 손맛이 느껴지는 집

이 집은 밴쿠버조선일보 애독자 박용택씨가 추천한 집. 주인 이정숙씨는 유학생 어머니들과 남자들에게 요리를 가르쳤고, 서울에서부터 중식을 잘 만드는 ‘손 맛’이 소문난 준요리사라는 것. 그렇다고 자격증 내걸고 음식점을 한 경험은 없지만 남다른 ‘미각’을 지녔다는 게 단골손님들의 부연.
우리집은 지난 3월 1일 문을 열었다. 일체의 조미료를 쓰지 않는다는 주인의 말끝에 날카로운 ‘토’를 달았다.
“다시다도 쓰지 않나요?”
“네”
조미료 쓰지 않는다는 말만 믿고 한 숟갈 푹 떠서 입에 넣는 순간 능글맞은 기계 맛에 실망 한적 얼마나 많았던가. 그런 맛일수록 첫 술에 더 짝 달라붙는 ‘손맛’과는 전혀 다른 맛이 있기 마련, 이 집에는 조미료가 빚어내는 획일화 된 그런 맛이 없어 좋다. 조미료가 빠져 다소 허전하고 심심했다면, ‘정성’이라도 느끼고 갈 수 있다.

◇ 조갯살, 홍합, 새우가 들어있는 해물 손칼국수. 아삭한  깍두기와 먹으면 그만이다. 설렁탕으로 끓인 해장국은 국물만 마셔도 설렁탕 한그릇을 먹는 셈이니 일석이조. 엄마 손맛이 그리울 때, 비가오려고 잔뜩 날씨가 찌푸렸을 때 등등 수시로 마음이 그 집앞에 가 있을 ‘우리집’.

해장국을 시키면 ‘다 먹은’ 것

문을 열면 한눈에 실내와 주방까지 훤히 보이는 이 집에서는 굳이 메뉴판 들춰보지 않고 벽에 걸린 액자 속에서 고르면 그만.  10평 남짓 작은 식당에 어울리는 단촐한 가짓수다. 단행본두께와 맞먹는 다른 집 메뉴판에 비하면 엄청 비교되지만, 그 점이 바로 밥 한 그릇, 국 한 그릇에 압축된 손맛을 담아내는 비결이다.
손님들이 가장 많이 찾는 메뉴는 설렁탕, 도가니탕, 해장국. 주인이 권하는 메뉴는 해장국.  파전, 소고기무침은 먹어 본 사람만이 다시 찾게 되는 특별한 맛을 가지고 있다.
몇 테이블 손님만으로도 혼이 쏙 빠진 초보 티 폴폴 나는 주인 부부를 보면서, 아직은 주문 즉시 맛도 모양도 찍어낸 듯한 음식이 나오리란 기대를 딱 접고 설렁탕, 해장국, 도가니탕, 해물칼국수, 육개장까지 시켰다.
설렁탕은 좋은 뼈 찾아 3만리(?)를 헤매다 찾아낸 사골을 12시간 푹 우려 낸 국물이 뼛속에서 적당히 빠져나온 골수가 구수하다. 얼마나 우려냈으면 먹고 난 입술이 금세 ‘쩍쩍’들러 붙는 이 설렁탕은 색깔이 약간 노르스름한 빛깔이다. 통후추를 넣고 고아내기 때문이라는 설명. 어쨌거나 진국이다.
이 집에서는 해장국을 먹으면 ‘전부’를 먹은 거다. 12시간 고아서 만든 이 설렁탕 국물에 콩나물, 야채 넣어 만들기 때문이다.
어떤 메뉴를 시켜도 김치와 깍두기, 소고기 장조림이 반찬으로 딸려 나온다. 적당히 잘 익은 깍두기 국물을 두어 수저 설렁탕에 떠 넣고 휘휘 저어 소금으로 간을 맞춰 훌훌 마셔보라. 서울 청진동 생각이 간절해진다. 그 맛이 느껴지니까. 그리운 거다.

해장국을 먹다가 다시 술땡기는 해장국

우리집 식당은 술을 마시고 온 사람들의 속을 풀어주는 맛있는 해장국은 있어도, 그 해장국으로 다시 술 땡길 때 채워 줄 술은 팔지 않는다. 어쩌다 저녁에 팔고 남은 밥이 있으면 막걸리를 담아 단골들에게 한잔씩 준다는 정보는 있지만 ‘주고 말고’는 주인 맘.
고백컨대 이 집은 특별히 손님을 홀릴만한 메뉴는 없다. ‘밥심(心)을 길러주는’ 밥의 맛을 느끼고 싶은 ‘당신’이 가볼 만한 곳이다. 그러나 ‘밥은 식상하다. 무언가 색다른 것을 찾아내라’고 한다면, 설렁탕에 들어가는 소고기 편육을 새콤달콤하게 무친 소고기 무침을 시키면 메뉴 중에서 단연 으뜸인 탁월한 선택. 탕들에 비해 비싼 가격이 결코 아깝지 않다. 거짓말 ‘쬐금’보태서 감동이 심장 밑바닥에서부터 쓰나미처럼 밀려와 …….
그러나 눈 딱 감고 이 집을 한번만 다녀오면, 출출할 때, 엄마 손맛이 그리울 때, 비가 오려고 잔뜩 날씨가 찌푸렸을 때 등등 이후부터 당신의 맘은 가끔 그 집, ‘우리집’ 앞에서 머물게 될 것이다.

*영업시간  
    8:00 am ~ 8:00 pm (월요일 휴무)
*주소   3490 Kingsway, Vancouver
*전화   (604) 451-5177

이재연 기자 jy@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버나비 ‘와인, 푸드 & 뮤직 페스티벌’
이번 와인 페스티벌에서 선보인 와인들. 지난 주 2일 저녁 메트로타운 쇼핑센터에서는 800여명의 시민들이 참가한 가운데 제6회 ‘와인, 푸드 & 뮤직 페스티벌(Burnaby Wine, Food & Music Festival)’이 열렸다. 행사에 참석한 시민들은 여러 종류의 밴쿠버산...
모진 비바람 광풍이 유난하게 잦았던 지난 겨울, 그렇게 많이 내린 비가 산정상엔 모두 적설로
밴쿠버 한인테니스회, 서울 테니스협회 초청
밴쿠버 한인테니스회(회장 신현섭)가 오는 10일 한국의 전직 테니스 선수들을 초청해 친선 테니스 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친선경기는 서울과 밴쿠버 테니스 동호인 간의 우호증진을 위해 마련된 행사로, 밴쿠버 한인테니스회 회원과 서울 테니스회 회원 50여명이...
도로, 가옥침수 이재민 1000여명 발생
BC 북부지역의 주요 하천이 범람하면서 도로 곳곳이 물에...
BC자유당 집권 이후 투자 활기… 2006년 광산업 수익 23억달러
불과 몇 년 전만하더라도 BC주의 광산업은 주정부에게는 ‘원수’ 같은 존재였다. 그러나 지금은 BC주 수상을 초청할 정도로 모든 것이 변했다. 가장 골치덩어리가 가장 주목 받는 대상으로 바뀌었다. 고든 캠벨 BC주 수상은 갈로어 크릭(Galore Creek) 구리금광을...
가정의에게 최고 10만달러 지원
BC주 보건부가 BC의사협회와 손잡고 BC주에 90명의 새로운 가정의를 영입하는데 힘을 모으기로 했다. 조지 애봇 BC주 보건부 장관은 7일 “가정의가 없어 불편을 겪고 있는 지역 주민들을 위해 1000만달러의 예산을 들여 90명의 가정의를 확보할 것”이라 말했다....
밴쿠버 아트 갤러리, 클리브랜드 미술관 특별전
근·현대 서양미술사 100년간의 흐름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거장들의 작품이 밴쿠버에 온다. 밴쿠버 아트 갤러리(Vancouver Art Gallery)는 미국 5대 미술관중 하나인 클리브랜드미술관 소장품을 소개하는 ‘모네에서 달리까지(Monet to Dali)’ 특별전시회를 연다. 이번...
랭리•메이플 리지•칠리왁 일부 지역도 위험
하천 범람으로 인해 BC 북부 지역 약 100가구가 대피하고 비상..
공실률 최저.. 임대도 어려워
주택 가격의 오름세가 5월에도 계속됐다. 4일 광역밴쿠버 부동산위원회가 발표한 주택시장 동향보고서에 따르면 모두 4331건의 거래가 성사돼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 증가했다. 프레이저 밸리지역은 4% 감소한 2152건의 매매가 이뤄졌다. 매물 등록건수는 늘고...
BC주정부, 총 1000만달러 지원
BC주정부가 인턴십을 찾는 대학원생들을 위해 1000만달러를 지원한다. 머레이 콜 BC주 고등교육부 장관은 5일 “기존보다 3배나 증액된 인턴십 지원에 따라 앞으로 4년간 650개 이상의 인턴십 일자리가 추가로 창출될 수 있을 것”이라며 “대학원생들을 위한 인턴십...
출소한 강간 전과자 다시 써리로 이주
지난 봄 출소한 연쇄 강간 전과자가 써리에 거주하게 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지역 주민들의 반발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20년형을 살고 지난 2월 출소한 폴 캘로우는 당초 써리에 거주지를 정했다가 반발 여론이 심하자 뉴웨스트민스터로 옮겼다. 그러나...
가정의 중요성(3) 2007.06.05 (화)
부부는 육체가 하나가 될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마음과 생각이 하나가 되어야 한다. 건강한 결혼생활은 두 몸이 하나가 될 뿐만 아니라 두 마음이, 그리고 생각이 하나가 되어야 한다. 그런데 정말 재미있는 것은 많은 부부들이 같이 살면서 마음과 생각이 아주...
하천 수위 급상승…범람 우려
지난 주말 로워 메인랜드를 비롯한 BC 전역의 수은주가 급상승하면서 홍수 발생 우려가 다시 높아지고 있다. 특히 BC 북서부 지역의 경우 기온 급상승으로 빙원이 빠른 속도로 녹아 내리고 있는 데다가 11일부터 비까지 쏟아지고 있어 하천 수위가 무서운 속도로...
우리집(家)
◇ 설렁탕에 들어가는 얇게 썬 부드러운 편육에 양파, 파, 깨소금을 넣어 새콤 달콤 무쳐 낸 소고기 무침. 이집 가장 별미로 강력 추천. "오가며 그 집 앞을 지나노라면 ~ 그리워 나도 몰래 발이 머물고~” 한식당 ‘우리집’은 그런 곳이다. ‘맛’을 앞장세워...
'쿠킹파파' 모임의 '찹쌀 붕어빵' “흥! 너나 나나 가짜이긴 마찬가지 아냐? ”
빵인가 하면 떡이고, 떡인가 하면 빵인 '찹쌀 붕어빵'...
BELCARRA PICNIC AREA
“게 잡이, 멀리 갈 거 있나요? 밴쿠버 속으로……”봄이라 하기엔 덥고 그렇다고 여름이라 하기에 반팔 셔츠가 썰렁한 요즘, 꽃놀이도 철 지났고 물놀이를 하기엔 어쩐지 이른 감이 있다. 이럴 땐 도심 속에서 물과 자연을 즐길 수 있는 게 잡이(crabbing)를 해 보는...
사업자의 GST 반납 2007.06.02 (토)
사업하는 분들을 접하다 보면, GST 반납(Return)과 관련된 고충을 많이 듣는다. 예를 들면, 매출시 징수한
외국에 들어가 사업을 하려면 그 나라의 정치·사회·경제를 이해하여야 하며, 경제 발전은 그 나라의 문화와 역사에서 시작된다. 베트남은 전세계 최남단 유교국가이며 최서단 동북아시아로 정의된다. 동북아시아는 한·중·일 삼국을 일컫는 지명이다. 베트남은...
초원유통 안평국 사장 초원유통, 캐나다 갈비 미국에 상륙시켜 6월 5일부터 미국 현지공장 생산 시작
알버타주 수상 관저에 초청받은 안평국(사진 오른쪽) 사장. 사진 가운데는 지난해 12월 알버타 주수상에 취임한 된 에드워드 스텔마흐 주수상과 부인 마리 스텔마흐씨. 여름을 예고하는 화창한 날씨가 계속되면서 바비큐 시즌도 함께 찾아왔다. 여름철...
밴쿠버 시청 이원철씨
한국과 캐나다의 취업에서 차이라면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에서도 한국에서와 다른 몇 가지 차이를 잊지 말자. 한국에서 사회적 문제라는‘일단 취업이라도 하고 보자’식의 취업이
 1461  1462  1463  1464  1465  1466  1467  1468  1469  1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