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베트남 부동산 및 증권투자(중)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7-06-02 00:00

외국에 들어가 사업을 하려면 그 나라의 정치·사회·경제를 이해하여야 하며, 경제 발전은 그 나라의 문화와 역사에서 시작된다. 베트남은 전세계 최남단 유교국가이며 최서단 동북아시아로 정의된다. 동북아시아는 한·중·일 삼국을 일컫는 지명이다. 베트남은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등 인근 동남아시아 국가들과는 완전히 다르다. 베트남의 역사와 문화를 보면 우리와 상이한 부분이 거의 없음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베트남은 한국처럼, 일본처럼 그리고 중국이 경제성장을 이룩한 것처럼 필연적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필자는 확신한다.

베트남 전설은 대부분 선비가 과거 시험에 낙방해 낙향하는 길에 도인을 만나는 이야기로 시작하며, 하노이의 지명이 바뀐 역사를 보면 베트남의 정체가 드러난다. 1010년 다이 비엩(大越·대월)의 태조가 홍강에서 승천하는 용을 보았다 하여 탕롱(昇龍·승룡)으로 이름을 지었고, 전쟁을 겪으며 타이도(西都 ·서도), 동도(東都·동도), 그러다 명나라에 패배하여 일개 관으로 천락해 동콴(東關·동관), 다시 1428년 승전으로 동킨(東京·동경-유럽인들이 이 단어를 톤킨으로 발음해 현 Tonkin의 유래가 되었다)으로 되었다가 박탄(北城·북성)을 거쳐 강 안의 도시, 즉 홍강 속의 도시라 해 하노이(河內·하내)가 되었다. 하이룽 베이로 유명하며 하노이의 항구인 하이퐁(海防·해방)은 바다에서 베트남을 지킨다는 뜻이다.

베트남은 한국과도 인연이 깊다. 베트남의 국부인 호지명의 일기를 보면 그는 1917-1918년 미국 유학 시절 뉴욕에서 조선인 독립운동가로부터 집중적인 정치교육을 받고 베트남 독립의 원대한 뜻을 품게 된다. 호지명을 교육시킨 이 조선인들이 공산주의자였기에 역사에서 사라진 걸로 보인다. 따라서 호지명은 평생 한국에 호감을 갖고 있었고 한국군의 베트남전 개입도 "가난하고 힘 없는 나라에서 먹고 살기 위해"한 것이라고 관대하게 평했다고 전해진다.

호치민은 독립운동을 하며 몸을 피하느라 이름이 30여 개 정도였다. 그 중 제일 유명한 이름은 웬 아이 쿽(Nguyen Ai Quoc·元愛國·원애국)인데 이 필명으로 "동아시아에서의 프랑스 제국주의 (l'imperialisme francais en Asie extreme)" 라는 논문을 Jeune Annam(젊은 베트남) 이라는 신문에 게재했고, 이 글은 베트남 독립선언문 역할을 하게 되며 프랑스 총독은 신문을 바로 폐간시켰다. 웬 (Nguyen·元 ·원) 다음으로 흔한 베트남 성인 짠(Tran·陳·진) 또한 우리처럼 중국 성이다.

사이공의 어원은 중국어로 ‘사이곤’ 비슷하게 발음되는 柴棍(시곤)이라는 역설이 있으나 사실은 캄보디아 말로 ‘깊은 숲’이라는 뜻이다. 16세기 베트남이 캄보디아를 침공하여 얻은 땅이 남부 베트남과 이 사이공이기 때문이다. 남부 베트남과 북부 베트남은 민족과 언어가 다르게 시작되었으며 그 이유로 아직도 남-북 갈등은 한국의 영-호남 갈등과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심각하다.

지수 400선에서 오르기 시작해 3월 12일 고점인 1170을 기록한 후 900선 밑으로 추락하는 듯 싶다 다시 상승할 것 같은 베트남 증시는 어떻게 될까? 한 마디로 "지속적인 상승" 이다. 모든 증시가 그렇듯 당연히 오르락내리락하며 투자자들의 애간장을 태우겠지만 결과적으로는 올라갈 수 밖에 없다는 것이 필자의 의견이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지금 베트남을 이끄는 세대는 학교에서 "한국군이 잔인하게 양민학살을 하자, 우리 베트남 군인 아저씨들이 한국군을 상대로 철저하게 보복을 해 다음부터 그러지 못했다"고 배웠다 한다. 그런 베트남이 한국기업은 쌍수를 들고 환영한다? 혼동되는 베트남정부의 對한국 정책의 해답의 일부는 일본에 있다.

2차 대전 중 베트남을 점령했던 일본은 벼농사를 못 짓게 하고 피마자 재배를 강요하여 3모작을 하는 베트남 땅에서 400만명이 아사했다. 지금도 국제회의에서 베트남과 일본이 부딪치면 기자들이 나가자 마자 회의실 문 닫고 베트남 측에서는 협상 기선을 잡기 위해 "400만 아사" 이야기부터 꺼낸다고 한다. 그런 역사적 과오를 저지른 일본이 하노이와 호치민 사이 1630Km 구간에 부설될 예정인 베트남 국토종단 고속철도 공사비 330억달러(이하 미화) 가운데 270억달러를 실질적인 무상원조로 지원하고, 호치민 지하철1호선 공사비 11억달러 중 9억달러 또한 원조할 예정이다. 위안부가 없었다고 망언을 일삼으며 과거를 반성 못하는 왜인들이 개과천선해서 이러는 것일까? 물론 아니다. 베트남에서의 자국 기업들의 투자우위를 노린 치밀한 전략일 뿐이다.

태국에 가서 삼성전자가 어느 나라 기업이냐고 물어 보면 열에 아홉은 일본 기업이라 한다. 얼마 전에 일본과 자유무역협정까지 체결한 태국의 경제는 완전히 일본 손에 넘어갔다. 태국인들에게 잘 나가는 기업은 무조건 일본 기업인 것이다.

후진국 경제가 발전하려면 자본과 기술이 필요하다. 그래서 1960~70년대 한국 정치가와 기업인들이 일본에 가서 머리 숙여가며 일본 차관을 얻어다 기술협정을 맺어 기업을 만들어냈다. 포항제철의 경우, 세계은행과 미국의 철강기업을 찾아가 자본과 기술을 제공해 줄 것을 요청하였으나 번번히 거절당하고 말았다. 결국 일본으로 가서 대일청구권 자금으로 자본을 해결하고 일본의 야와타, 후지제철 등의 철강기업으로부터 기술을 받았다. 대한항공은 일본항공이, 현대자동차는 미쯔비시가 포스코에서의 일본 제철사 역할을 했고 지금 베트남처럼 그 당시 한국은 노동집약 산업을 일으켜 가난한 젊은 처녀들이 공장으로 갔다.

미국이나 유럽과 달리 일본은 한국의 잠재력을 알았기 때문이었고, 지금도 일본은 베트남의 잠재력을 알기에 대규모 원조에 나서고 있다. 2006년에 일본의 對베트남 원조자금규모는 약 8300억원 수준이었는 바, 2007년에도 대외정부단체로부터의 원조자금규모 약 4조5000억 가운데 일본이 약 8900억을 제공할 예정이다.

베트남 정부는 이런 복잡한 경제발전 과정을 확실히 이해하고 있으며 이는 또한 본인이 베트남 경제 발전에 확신을 갖고 있는 이유 중 하나이다. 따라서, 베트남의 입장에서 일본의 독주를 놔두면 일본의 경제 식민지가 된 태국 꼴이 나니 일본 기업의 독주를 막을 견제자가 필요한데 한국 기업보다 더 적당한 상대는 없다. 베트남이 한국 기업에 우호적인 이유는 결코 한국이 좋아서가 아니다. 한국 기업으로 하여금 일본의 독주를 막고 견제시키겠다는 생각이다. 우리는 이 점을 최대로 이용해야 한다. 본인도 하노이의 정책결정자에게 "베트남이 살려면 이 사업을 일본 기업에는 절대로 주지 말아야 하니 조금 모자라도 한국 기업에 주는 게 베트남에게 장기적으로는 유리하다" 고 주장한다. <계속>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버나비 ‘와인, 푸드 & 뮤직 페스티벌’
이번 와인 페스티벌에서 선보인 와인들. 지난 주 2일 저녁 메트로타운 쇼핑센터에서는 800여명의 시민들이 참가한 가운데 제6회 ‘와인, 푸드 & 뮤직 페스티벌(Burnaby Wine, Food & Music Festival)’이 열렸다. 행사에 참석한 시민들은 여러 종류의 밴쿠버산...
모진 비바람 광풍이 유난하게 잦았던 지난 겨울, 그렇게 많이 내린 비가 산정상엔 모두 적설로
밴쿠버 한인테니스회, 서울 테니스협회 초청
밴쿠버 한인테니스회(회장 신현섭)가 오는 10일 한국의 전직 테니스 선수들을 초청해 친선 테니스 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친선경기는 서울과 밴쿠버 테니스 동호인 간의 우호증진을 위해 마련된 행사로, 밴쿠버 한인테니스회 회원과 서울 테니스회 회원 50여명이...
도로, 가옥침수 이재민 1000여명 발생
BC 북부지역의 주요 하천이 범람하면서 도로 곳곳이 물에...
BC자유당 집권 이후 투자 활기… 2006년 광산업 수익 23억달러
불과 몇 년 전만하더라도 BC주의 광산업은 주정부에게는 ‘원수’ 같은 존재였다. 그러나 지금은 BC주 수상을 초청할 정도로 모든 것이 변했다. 가장 골치덩어리가 가장 주목 받는 대상으로 바뀌었다. 고든 캠벨 BC주 수상은 갈로어 크릭(Galore Creek) 구리금광을...
가정의에게 최고 10만달러 지원
BC주 보건부가 BC의사협회와 손잡고 BC주에 90명의 새로운 가정의를 영입하는데 힘을 모으기로 했다. 조지 애봇 BC주 보건부 장관은 7일 “가정의가 없어 불편을 겪고 있는 지역 주민들을 위해 1000만달러의 예산을 들여 90명의 가정의를 확보할 것”이라 말했다....
밴쿠버 아트 갤러리, 클리브랜드 미술관 특별전
근·현대 서양미술사 100년간의 흐름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거장들의 작품이 밴쿠버에 온다. 밴쿠버 아트 갤러리(Vancouver Art Gallery)는 미국 5대 미술관중 하나인 클리브랜드미술관 소장품을 소개하는 ‘모네에서 달리까지(Monet to Dali)’ 특별전시회를 연다. 이번...
랭리•메이플 리지•칠리왁 일부 지역도 위험
하천 범람으로 인해 BC 북부 지역 약 100가구가 대피하고 비상..
공실률 최저.. 임대도 어려워
주택 가격의 오름세가 5월에도 계속됐다. 4일 광역밴쿠버 부동산위원회가 발표한 주택시장 동향보고서에 따르면 모두 4331건의 거래가 성사돼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 증가했다. 프레이저 밸리지역은 4% 감소한 2152건의 매매가 이뤄졌다. 매물 등록건수는 늘고...
BC주정부, 총 1000만달러 지원
BC주정부가 인턴십을 찾는 대학원생들을 위해 1000만달러를 지원한다. 머레이 콜 BC주 고등교육부 장관은 5일 “기존보다 3배나 증액된 인턴십 지원에 따라 앞으로 4년간 650개 이상의 인턴십 일자리가 추가로 창출될 수 있을 것”이라며 “대학원생들을 위한 인턴십...
출소한 강간 전과자 다시 써리로 이주
지난 봄 출소한 연쇄 강간 전과자가 써리에 거주하게 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지역 주민들의 반발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20년형을 살고 지난 2월 출소한 폴 캘로우는 당초 써리에 거주지를 정했다가 반발 여론이 심하자 뉴웨스트민스터로 옮겼다. 그러나...
가정의 중요성(3) 2007.06.05 (화)
부부는 육체가 하나가 될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마음과 생각이 하나가 되어야 한다. 건강한 결혼생활은 두 몸이 하나가 될 뿐만 아니라 두 마음이, 그리고 생각이 하나가 되어야 한다. 그런데 정말 재미있는 것은 많은 부부들이 같이 살면서 마음과 생각이 아주...
하천 수위 급상승…범람 우려
지난 주말 로워 메인랜드를 비롯한 BC 전역의 수은주가 급상승하면서 홍수 발생 우려가 다시 높아지고 있다. 특히 BC 북서부 지역의 경우 기온 급상승으로 빙원이 빠른 속도로 녹아 내리고 있는 데다가 11일부터 비까지 쏟아지고 있어 하천 수위가 무서운 속도로...
우리집(家)
◇ 설렁탕에 들어가는 얇게 썬 부드러운 편육에 양파, 파, 깨소금을 넣어 새콤 달콤 무쳐 낸 소고기 무침. 이집 가장 별미로 강력 추천. "오가며 그 집 앞을 지나노라면 ~ 그리워 나도 몰래 발이 머물고~” 한식당 ‘우리집’은 그런 곳이다. ‘맛’을 앞장세워...
'쿠킹파파' 모임의 '찹쌀 붕어빵' “흥! 너나 나나 가짜이긴 마찬가지 아냐? ”
빵인가 하면 떡이고, 떡인가 하면 빵인 '찹쌀 붕어빵'...
BELCARRA PICNIC AREA
“게 잡이, 멀리 갈 거 있나요? 밴쿠버 속으로……”봄이라 하기엔 덥고 그렇다고 여름이라 하기에 반팔 셔츠가 썰렁한 요즘, 꽃놀이도 철 지났고 물놀이를 하기엔 어쩐지 이른 감이 있다. 이럴 땐 도심 속에서 물과 자연을 즐길 수 있는 게 잡이(crabbing)를 해 보는...
사업자의 GST 반납 2007.06.02 (토)
사업하는 분들을 접하다 보면, GST 반납(Return)과 관련된 고충을 많이 듣는다. 예를 들면, 매출시 징수한
외국에 들어가 사업을 하려면 그 나라의 정치·사회·경제를 이해하여야 하며, 경제 발전은 그 나라의 문화와 역사에서 시작된다. 베트남은 전세계 최남단 유교국가이며 최서단 동북아시아로 정의된다. 동북아시아는 한·중·일 삼국을 일컫는 지명이다. 베트남은...
초원유통 안평국 사장 초원유통, 캐나다 갈비 미국에 상륙시켜 6월 5일부터 미국 현지공장 생산 시작
알버타주 수상 관저에 초청받은 안평국(사진 오른쪽) 사장. 사진 가운데는 지난해 12월 알버타 주수상에 취임한 된 에드워드 스텔마흐 주수상과 부인 마리 스텔마흐씨. 여름을 예고하는 화창한 날씨가 계속되면서 바비큐 시즌도 함께 찾아왔다. 여름철...
밴쿠버 시청 이원철씨
한국과 캐나다의 취업에서 차이라면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에서도 한국에서와 다른 몇 가지 차이를 잊지 말자. 한국에서 사회적 문제라는‘일단 취업이라도 하고 보자’식의 취업이
 1461  1462  1463  1464  1465  1466  1467  1468  1469  1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