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스스로 기회를 만들어라. 실패는 또 하나의 과정일 뿐”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7-06-02 00:00

밴쿠버 시청 이원철씨

◇ 이원철씨는  한국에서 캐네디언 영어강사와 결혼해 한솔, 솔하 귀여운 두 아들을 두고 있다. 혼자 힘으로 힘들고 지리한 과정을 극복해내고 취업에 성공한 그의 취업성공은 취업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희망이 되고도 남음이 있다.

한국과 캐나다의 취업에서 차이라면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에서도 한국에서와 다른 몇 가지 차이를 잊지 말자. 한국에서 사회적 문제라는‘일단 취업이라도 하고 보자’식의 취업이 여기에서는‘경력’으로 인정받을 수도 있는 전혀 다른 결과를 낳는다. 100 통 이력서와 총 33회 면접을 거쳐 드디어 밴쿠버 시청 SAP Technical Consultant로 취업한 이원철씨의 경험은 취업희망자들에게 던지는 메시지가 크다.

◆ 합격하고도 한동안 믿어지지 않던 취업

이원철씨의 명함은 ‘SAP ABAP Technical Consultant’. 밴쿠버 시청 전산실에서 일을 하고 있다. 맡은 일은 전산 프로그래밍. 밴쿠버 시에서 관리하는 자원과 통계를 입력하고 예산 집행 등 전산으로 처리되는 모든 시청 업무가 부서별로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만드는 시스템 관리를 맡고 있다. 업무의 특성상 전산관련 지식과 경영학적인 지식이 많이 필요한데, 그의 전공이 경영학이고 ‘SAP’는 취업을 위해 별도의 공부를 했다. 취업을 하고 난 지금도 그는 틈나는 대로 업무에 필요한 전문 지식을 쌓으려고 노력한다.
이민 직후, 100통의 이력서를 내고서도 취업에 실패하고 한국으로 되돌아가야 했던 그의 취업은, 이민자들이 보편적으로 겪는 취업의 어려움이라고 말할 수 있다.
3년 전 가족들과 헤어져 다시 한국으로 돌아가 경력을 쌓은 뒤 재도전한 그의 취업도전 경험은, 현재 취업에 실패하고 좌절하고 있을 취업희망자들에게 작은 희망이 될 듯.
밴쿠버 시청에서 합격 통보를 받고 출근하기 전까지도 ‘믿어지지 않았다’는 그의 말에서 취업을 위해 그가 기울인 노력과 고통의 무게를 짐작할 수 있었다.

◆ 경력 쌓기 위해 다시 한국 행

이원철씨가 면접에서 실패하게 된 원인으로, 이민자들이 취업에 있어서 가장 걸림돌이라고 이야기 하는 영어 능력은 아니었던 듯 하다.
대학에서 경영학을 전공하고 대림산업에 근무하고 있던 그는, 학문적인 특정 전문용어가 아니라면 큰 어려움은 없었다. 따라서 5개월 동안 100통의 이력서를 내고도 취업이 좌절된 원인을 ‘SAP’관련 실무경력 부족이라고 단정지었다. 그러나 한국으로 다시 돌아가 추가한 3년 실무경력은 캐나다에서 재취업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고, 이메일로 이력서를 제출하고 기다리는 상황은 변함이 없었다. 이때 그가 이력서를 보낸 기업은 100곳, 면접만 총 33회를 했다. 즉, 100통의 이력서를 내고 33회 면접 후  성공한 것.

◆ 실패원인은 캐나다와 한국의 기업정서 파악 못한 것

“이 나라 기업에서 취업희망자에게 접근하는 정서를 빨리 파악하지 못했던 것이 가장 컸던 것 같아요. 예를 들면 한국에서는 ‘그 일을 얼마나 했으며 경력이 진짜인가 아닌가, 학교를 어디 졸업하고 전공이 무엇인가’를 묻는다면, 캐나다 기업에서는 이력서에 이미 기재된 경력이나 학교를 물어본 회사는 단 한 곳도 없었어요. 업무능력은 기본적으로 지원자의 이력서를 신뢰하는 것에서 출발하고 일보다는 인성, 그리고 이 일에 대한 관심이 얼마나 큰지 파악하는 것 같은 거죠.”
그 업종의 자격증을 취득하고 6년이라는 짧지 않은 경력도 갖춘 그가 이렇게 취업에 어려움을 겪은 구체적인 이유는 ‘한국과 캐나다의 문화적 차이’를 깨닫지 못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서로가 바라보는 관점이 다른 상태에서 받은 질문에 동문서답하게 되는 것. 더욱이 영어로 나누는 전화면접에서는 ‘감’조차 잡기 어렵고, 임기응변도 통하지 않는다. 이럴 때 스스로 당황하는 모습을 감추기 위해 ‘으~’하는 간투어가 자주 나오게 되고, 대답의 핵심이 흐려지기 쉽다. 심할 때는 대화가 끊어진 상태에서 수 십 초 동안 침묵하기도 했다. 당연히 좋은 결과를 기대하기란 어려운 상황.

◆ 세상에 공짜는 없는 법, 실패 뒤의 찬스

“한번에 30분씩, 전화면접만 30회 봤으니 결코 짧지 않은 시간을 면접에 소비했죠. 하지만 낭비만 한 건 아니었어요. 떨어지면서 오히려 면접 스킬이 생기더군요.”
우선 면접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질문을 정리, ‘모범답안’을 만들었다. 그리고 막힘 없이 대답하는 연습을 통해 ‘내 것화’했다. 
“면접에서는 질문자가 원하는 답변의 핵심을 짚어 막힘 없이 할 수 있게 되면서 자신감과 더불어 그로 인한 가산점까지 붙더군요.”
그렇게 노력한 끝에 드디어 100번 제출한 이력서 중 2차 면접 30회, 다시 3차 면접 3회째 성공할 수 있었다. 

◆ 취업성공 불변의 법칙‘직접 찾아가라’

이씨는 돌이켜 보면 직접 찾아가지 않고 이 메일로 접수한 것도, 시간을 많이 소비하게 만든 이유의 하나로 짐작했다. 직접 찾아가서 접수를 시도했더라면 적어도 한국 기업과 다른 관점의 면접을 원하는 기업정보와 정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도 있지 않았을까 하는 것.
마지막으로 취업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꼭 해주고 싶은 말은 “내가 선택되어지지 못하더라도 자존심 버리고 많은 곳에 면접을 보라”는 것. 그는 ‘실패도 취업의 한 과정’이라고 말한다. 그의 말은 그동안 밴쿠버에서 취업에 성공한 모든 사람들이 한결같이 말하던 ‘이력서를 들고 직접 찾아가라’는 것과 상통하는 조언이다.

이재연 기자 jy@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공실률 최저.. 임대도 어려워
주택 가격의 오름세가 5월에도 계속됐다. 4일 광역밴쿠버 부동산위원회가 발표한 주택시장 동향보고서에 따르면 모두 4331건의 거래가 성사돼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 증가했다. 프레이저 밸리지역은 4% 감소한 2152건의 매매가 이뤄졌다. 매물 등록건수는 늘고...
BC주정부, 총 1000만달러 지원
BC주정부가 인턴십을 찾는 대학원생들을 위해 1000만달러를 지원한다. 머레이 콜 BC주 고등교육부 장관은 5일 “기존보다 3배나 증액된 인턴십 지원에 따라 앞으로 4년간 650개 이상의 인턴십 일자리가 추가로 창출될 수 있을 것”이라며 “대학원생들을 위한 인턴십...
출소한 강간 전과자 다시 써리로 이주
지난 봄 출소한 연쇄 강간 전과자가 써리에 거주하게 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지역 주민들의 반발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20년형을 살고 지난 2월 출소한 폴 캘로우는 당초 써리에 거주지를 정했다가 반발 여론이 심하자 뉴웨스트민스터로 옮겼다. 그러나...
가정의 중요성(3) 2007.06.05 (화)
부부는 육체가 하나가 될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마음과 생각이 하나가 되어야 한다. 건강한 결혼생활은 두 몸이 하나가 될 뿐만 아니라 두 마음이, 그리고 생각이 하나가 되어야 한다. 그런데 정말 재미있는 것은 많은 부부들이 같이 살면서 마음과 생각이 아주...
하천 수위 급상승…범람 우려
지난 주말 로워 메인랜드를 비롯한 BC 전역의 수은주가 급상승하면서 홍수 발생 우려가 다시 높아지고 있다. 특히 BC 북서부 지역의 경우 기온 급상승으로 빙원이 빠른 속도로 녹아 내리고 있는 데다가 11일부터 비까지 쏟아지고 있어 하천 수위가 무서운 속도로...
우리집(家)
◇ 설렁탕에 들어가는 얇게 썬 부드러운 편육에 양파, 파, 깨소금을 넣어 새콤 달콤 무쳐 낸 소고기 무침. 이집 가장 별미로 강력 추천. "오가며 그 집 앞을 지나노라면 ~ 그리워 나도 몰래 발이 머물고~” 한식당 ‘우리집’은 그런 곳이다. ‘맛’을 앞장세워...
'쿠킹파파' 모임의 '찹쌀 붕어빵' “흥! 너나 나나 가짜이긴 마찬가지 아냐? ”
빵인가 하면 떡이고, 떡인가 하면 빵인 '찹쌀 붕어빵'...
BELCARRA PICNIC AREA
“게 잡이, 멀리 갈 거 있나요? 밴쿠버 속으로……”봄이라 하기엔 덥고 그렇다고 여름이라 하기에 반팔 셔츠가 썰렁한 요즘, 꽃놀이도 철 지났고 물놀이를 하기엔 어쩐지 이른 감이 있다. 이럴 땐 도심 속에서 물과 자연을 즐길 수 있는 게 잡이(crabbing)를 해 보는...
사업자의 GST 반납 2007.06.02 (토)
사업하는 분들을 접하다 보면, GST 반납(Return)과 관련된 고충을 많이 듣는다. 예를 들면, 매출시 징수한
외국에 들어가 사업을 하려면 그 나라의 정치·사회·경제를 이해하여야 하며, 경제 발전은 그 나라의 문화와 역사에서 시작된다. 베트남은 전세계 최남단 유교국가이며 최서단 동북아시아로 정의된다. 동북아시아는 한·중·일 삼국을 일컫는 지명이다. 베트남은...
초원유통 안평국 사장 초원유통, 캐나다 갈비 미국에 상륙시켜 6월 5일부터 미국 현지공장 생산 시작
알버타주 수상 관저에 초청받은 안평국(사진 오른쪽) 사장. 사진 가운데는 지난해 12월 알버타 주수상에 취임한 된 에드워드 스텔마흐 주수상과 부인 마리 스텔마흐씨. 여름을 예고하는 화창한 날씨가 계속되면서 바비큐 시즌도 함께 찾아왔다. 여름철...
밴쿠버 시청 이원철씨
한국과 캐나다의 취업에서 차이라면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에서도 한국에서와 다른 몇 가지 차이를 잊지 말자. 한국에서 사회적 문제라는‘일단 취업이라도 하고 보자’식의 취업이
맥도날드 파크 잉어낚시
잉어 릴낚시 표준 채비 지난 5월 13일 일요일 아침 낚시 동호회 ‘밴피싱’ 회원들이 아보츠포드에 있는 맥도날드 파크(Mcdonald Park)에서 뭉쳤다. 올해 민물 시조회를 겸한 모임으로 필자를 포함 10명 정도의 회원이 참석했다. 이날 주공략 어종은 잉어(carp). 잉어...
데이비드 다지 캐나다 중앙은행 총재가 지난주 각 언론의 머리 기사를 장식했다. 북미주  ‘단일 통화’가 가능할 것이라는 그의 발언 때문이다. 물론 불가능한 것은 없다. 어느 날 하루 아침에 미국과 멕시코 국경에 쌓아 올린 장벽도 무너질 수 있다. 그러나...
이 부부가 사는 법 K(Korea) x C(Canada) 커플- 양필성 & 양말레나 부부
깨소금이 떨어진다. 아니 아주 깨 밭에서 막 털어 온 깨로 갓 볶아 짜낸 참기름이 뚝뚝 떨어진다. 그 주인공은 양필성, 양말레나 부부.
일반의원 연봉 9만8000달러
BC주의회가 반대 여론에도 불구하고 세비인상안을 통과시켰다. BC주의회는 지난 31일 세비 29% 인상 및 복지수당 증액안을 표결에 부쳐 43대 30으로 가결했다. 의석분포상 BC자유당 의원 전부가 찬성표를 던졌고 신민당 의원 3명은 표결에 불참했다. 이로써 주의원의...
첫번째 ‘메모리얼컵’ 품에 안은 자이언츠
여러분들은 혹시 밴쿠버 자이언츠(Vancouver Giants)에 대해 아시나요? 밴쿠버 커낙스는 모두 아실 테지만 자이언츠에 대해서는 “혹시 야구팀 아니야?” 라고 생각하는 분이 있을 수 있겠네요. 사실 밴쿠버 자이언츠는 NHL의 마이너 격인 웨스턴하키리그(WHL)에 소속된...
일행 중 1명 홍역 증세
일본고등학생 39명과 보호자 2명이 밴쿠버 국제공항 페어마운트 호텔에 격리 수용됐다. 일본으로 돌아갈 비행기를 타기 직전 격리 수용된 이들은 일행 중 한 학생이 홍역 증상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학생들은 이번 주초 밴프 호텔에서 격리됐던 일본 학생...
복권판매 종사자, 자기 근무처에서 복권 구입·당첨 확인 못하도록
BC주 복권 사업에 문제가 있다는 BC행정감찰관의 보고서가 파문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결국 BC 복권공사 빅 폴스척 CEO가 해임됐다. BC복권공사 존 맥러넌 이사회장은 “이사회는 대표를 해임해야 한다고 결론지었으며 이번 조치는 그 결정에 따른 것”이라고...
이중 언어권에서 자라는 아이들의 언어학습
지난 5월 10일 석세스의 패런팅 클럽에서는 포트무디와 코퀴틀람에 사무실을 두고 있는 SHARE라는 기관의 언어치료사가 와서 ‘Building a Home with More than One Language’라는 워크숍을 했다. 영어와 한국어의 이중 언어권에서 살고 있는 이민자 가정들의 공통된 고민을...
 1451  1452  1453  1454  1455  1456  1457  1458  1459  14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