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내 고향 안의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7-07-13 00:00

登須陀山有懷
Stawamus 산에 올라 소회를 읊다

餘生足布衣 나머지 나의 인생 초야에 만족하니
悠悠太古情 태고의 깊은 정회 끝없이 흐르누나
流水回千曲 천구비 돌고 돌아 계곡물 흘러가고
巖逕履僅通 바윗길 험한틈을 신발 겨우 통과하네
峰頂眺大野 정상에서 넓은 들을 바라다 보니
茫茫春樹暢 새잎 튀운 봄나무들 끝없이 화창하네
山虛松鳶啼 텅빈 산속에는 송골매가 울어외고
風泉吼遠空 휘날리는 폭포수는 저멀리 메아리져

丁亥陽四月十九日與二人登須陀山有仙興梅軒偶吟
정해년 4월 19일 두 사람과 함께 스타와머스 정상에 올라 신선의 흥취가 있어
매헌은 우연히 읊다.

한국에 살든 외국에 나가 살든 이런 저런 친목단체에 몸을 두기 마련이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응집력이 강한 친목회는 고교동창회라고 할 수 있다. 초등학교나 중학동창회가 있긴 하지만 저마다의 추억이 뿌연 안개 같아 흡인력이 떨어져 유명무실하기만 하고, 대학동문회는 워낙 범위가 크고 선후배간의 위계질서가 분명하지 않기 때문에 결속력이 없다. 하지만, 저마다 제임스 딘같은 '이유없는 반항아'(Rebel without cause)로서 사춘기의 절정을 마무리했던 고교시절은 아무리 세월이 흘러도 선명한 추억의 편린이 고스란히 남아있으며, 선후배간의 애증이 교차하는 끈끈함, 오늘의 나를 있게 한 진정한 모교의식(alma mater mentality)등이 강한 소속감을 느끼게 한다. 그러니 이곳 밴쿠버에도 연말연시면 모든 교민 신문이 고등학교 동창회 송년회 광고로 대목을 맞는 것이고 사람들은 만사를 제쳐놓고 참석하는 것이 상례로 되어있다.
하지만 필자는 이때만큼은 어김없이 소외감을 느낀다. 이유는 단 하나. 내가 지지리도 오지인 지리산 골짜기 산골고등학교 출신이기 때문이다. 확인해 보진 않았지만, 아마 대한민국에서 제일 작은 초미니 고등학교요, 유일한 면소재지 고등학교일 것이다. 전교생이 250명도 채 못 되는 가난한 사립학교라 교직원도 10명이 넘질 않았고 전기시설도 없는 교실마저 6개에 불과한 남녀공학이었다. 찢어지게 가난했던 60년대, 학교가 끝나기가 무섭게 논밭으로 나가 농사일을 거들어야 했던 촌무지렁이 학교였던 것이다. 수학여행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가을엔 수업을 전폐하고 전교생이 벼 베기로 기금을 마련했던 일, 미군부대 원조로 지어 주는 학교 건물 공사에 전교생이 개미떼처럼 돌과 모래를 날라야 했던 일, 매일같이 10리 길을 걸어서 통학했던 일 등이 주마등처럼 스쳐갈수록 나는 모교 안의고등학교를 사랑한다. 그리고 나를 낳아주고 나의 잔뼈를 굵어가게 한 내 고향 안의를 누구보다 더 사랑한다.

5공 시절 88 고속도로가 생기기 이전까지는 서울에 가려면 김천까지 서너시간 버스를 타고나와 열차나 고속버스를 타야 했고 부산을 가려 해도 자갈길 신작로를 버스로 8시간 이상이 걸렸으니 오지치고는 강원도 산골이 이보다는 나았을 것이다. 지리산과 덕유산이 만나는 서부경남의 끝자락이라 전남 남원이나 구례를 가려면 팔령재가 가로막고 전북 장수로 가려면 육십령재가 가로막았으며 대구나 김천쪽으로 가려 해도 고령재나 웅양재를 넘어야 갈 수 있는 지리적 고립을 천형처럼 떠안고 있는 곳이 바로 안의라는 곳이다. 하지만 문자그대로 산자수명(山紫水明)한 고장이라 예로부터 명현일사(名賢逸士)들의 안식처로서 안의의 서북쪽 계곡은 유홍준이 ‘나의 문화답사기’에서 밝혔다시피 조선 정자문화(亭子文化)의 요람이라고 할 수 있을만큼 수십 개의 정자가 계곡마다 들어서 있어 빼어난 경관을 자랑한다. 인걸지령(人傑地靈)이라 했던가. 남쪽 고개 너머 산청엔 남명 조식 선생이 칩거하셨고, 문익점 선생의 목화 재배지가, 그리고 현대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성철 스님의 생가가 자리잡고 있으며 수동엔 거유 일두 정여창(鄭汝昌) 선생의 고택이, 북으론 동계 정온(鄭蘊) 선생이 바로 안의 출신이다. 임진왜란 때 곽재우의 조카 곽준이 안의 현감으로 있으면서 함양 거창 안의 3개 군민을 규합하여 왜놈들과 싸우다 장렬하게 전원 옥쇄한 황석산성이 주민들의 심령에 영감의 원천으로 작용하고 있다. 해방 후 남한의 무정부주의 운동의 효시가 바로 이곳 안의에서 있었다는 사실도 결코 우연의 일치는 아닌 것이다. 첩첩산중에서 오로지 농사만을 짓고 살아가는 순박한 사람들이라도 불의와 타협할 줄 모르는 기개와 어떤 시련도 극복해 낼 수 있는 투지만큼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강인한 사람들이 살았던 곳이기에 해방 후 당장 면민들의 뜻을 모아 면소재지에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사립으로 세울 수 있었던 것이다.

필자는 이역만리 타국에 32년째 살고 있지만 아직도 내 고장 안의를 잊지 못한다. 보잘 것 없는 오지 시골 고등학교지만 나는 다른 넉넉한 친구들처럼 부산이나 대구같은 큰 도시 고등학교로 진학하지 못하고 고향고등학교를 나온 것에 대해 강한 자부심을 느낀다. 명문고를 나와 일류대학을 가진 못했어도 그렇게 우리 시골학교가 대견스러운 것이다. 그래서 우리 고장은 서울이나 부산의 고향 동창회가 초중고를 불문하고 차별없이 모든 초교동기면 함께 모이는 전통이 살아 있다. 좁은 산골동네 사람들은 너와 나의 구분이 없는 하나로 뭉쳐진 거대한 가족이었으니 그 끈끈한 정은 도시출신들의 부러움을 사고도 남을 우리들만의 위대한 유산인지도 모른다. 설령 이곳에서 연말 연시의 고교동창회에 못간다 한들 그것이 오히려 나에겐 위안과 자부심이 되어 이민생활을 힘차게 살아오고 있는 원동력이었음을 뒤늦게 깨달았으니 이제야 철이 들었다고 할 수 있을는지도 모른다. 산골에서 태어나 뼈가 굵은 탓에 산을 가면 마치 고향에 온 것 같은 안온함을 느끼며 향수를 되살릴 수 있어 뒤늦게나마 산행에 몰입하게 된 것도 시골출신이 누리는 복락이지 싶다. 그러니 산에 갈 때마다 얼마나 산이 고마운지 모른다.
산은 나의 영원한 존재의 탯자리이니까.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보란 드시’ 카페
거짓말쟁이들이야! 밴쿠버는 뭐 한여름에도 25도를 넘지 않는다구?  지난 주 37도 폭염은 웬일이야? 10년 만에 처음 찾아 온 이상기후라고도 말 하지 마. 못 믿겠어. 근데……그렇게 숨막히는 더위가 괴롭히는 여름철에 생각나는 거 없어? 그래 그거! 팥빙수!!!...
윌리엄 & 캐시 부부의 '이탈리아 스타게티'
다운타운 잉글리쉬베이 바다가 훤히 보이는 전망 좋은 아파트. 아내의....
낚싯대 끝에서... 2007.07.19 (목)
낚싯대 끝에서 희망을 찾다
이 세상의 모든 취미 활동 중 좀 별난 취미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단연 낚시가 으뜸이다.
여름특집-젊음의 도전! 유럽 배낭여행 초보자를 위한 다국적 단체 배낭여행 인기
태양과 젊음의 계절이다. 지루한 일상으로부터 탈출하고 싶은 계절이기도 하다. 아쉬운 여름 방학이 다 가버리기 전에 오랫동안 꿈꿔왔던 유럽 배낭여행에 도전해 보는 것은 어떨까?
다양한 아웃도어 활동 즐길 수 있어 여름철 호텔 요금 상대적으로 저렴
석양지는 키칠라노에서 바비큐 파티를 하거나 잉글리시 베이에서 태닝을 즐길 꿈에 부푼 방학, 그러나 조금 더 특별한 여름을 보내기 위해서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2010년 동계 올림픽 개최 준비로 바쁜 위슬러는 비단 겨울에만 방문하는 곳이 아니다. 카약,...
21세기 장난감 시장의 온라인 혁명
90년대 세계적으로 폭발적인 반응을 불러일으켰던 일본의 ‘다마고치’의 인기가 사그라들 무렵 인터넷이 세계의 정보 시장을 점령했다. 이에 따라 인터넷 시대에 맞춘 새로운 스타일의 게임이 소개됐는데 이 가운데 북미주 어린이들의 이목을 집중시킨 것이 바로...
밴쿠버시, 커머셜 드라이브-UBC 연결 검토 버나비 시장 “에버그린 라인 건설이 우선”
트랜스링크가 18일 회의 의제로 공개한 올해와 내년도 사업 계획에 에버그린 라인 건설이 누락되어 있어 버나비-코퀴틀람-포트무디를 경전철로 연결하는 이 사업이 또 다시 연기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밴쿠버 시청은 밀레니엄 라인을 밴쿠버 커뮤니티...
17일 코퀴틀람서 운전자 1명 숨져
광역밴쿠버 곳곳에서 차량사고가 빈발하고 있어 운전자의 주의가 촉구되고 있다. 17일 코퀴틀람 로히드 하이웨이에서는 낮 12시경 차량 사고가 발생해 운전자 1명이 현장에서 숨지고 또다른 1명은 병원으로 이송됐다. 경찰은 피해자 신원에 대해서는 유가족에게...
경찰 전국 수배령
코퀴틀람 관할 연방경찰(RCMP)은 1996년 가족 폭행 경력이 있는 정신병 환자가 리버뷰 인근 수용시설에서 18일 오후 6시 이후 종적을 감춰 전국에 수배령을 내렸다고 19일 발표했다. 경찰이 찾고 있는 사람은 테리 하이버트(40세)씨로 키 180cm, 몸무게 121kg 가량인...
연방정부 600만달러 예산 지원
BC주 내륙 중부에 위치한 캠룹스 공항에 연방정부가 600만달러를 투자한다. 캐리 룬 연방 천연자원부 장관은 18일 캠룹스 공항 확장사업을 발표했다. 룬 장관은 “BC주내 제 2의 대규모 스키 리조트로 부상하고 있는 썬픽스 리조트(Sun Peaks Resort)와 지역 관광산업...
BCCPAC·교육부, 공교육 발전 위해 봉사할 학부모 모집
BC학부모자문위원회연맹(이하 BCCPAC)과 BC주 교육부가 주관하는 공교육 시스템에 학부모들의 참여를 활성화하고 이를 교육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학부모 리더십 세미나 시리즈(Support Parent Leadership Seminar Series)’에 참여할 한인 자원봉사자를 모집하고 있다. 이...
2006년 센서스 BC-광역밴쿠버 하이라이트
밴쿠버·버나비·웨스트밴은 65세 이상 비율 높고포트무디·메이플리지·써리은 15세 미만 비율 높아 광역 밴쿠버 서부 지역의 인구는 고령화되고 있는 반면 어린이 인구 비율은 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높아지고 있다. 캐나다 통계청이 17일 발표한 2006년 센서스...
BC주의 7월 제철 과일
BC주에서 나는 6월 제철 과일들은 이제 7월 과일들에 자리를 내주고 물러났다. BC 과수원협회에 따르면 6월 제철 과일은 체리, 딸기, 라스베리다. 딸기는 올해 6월 중순에 일찍 동이 났고 체리는 7월초로 수확 시즌이 끝났다. 7월 중순부터 BC주 최대의 과일 산지인...
그레이터밴쿠버 동물원 (GVZ)
연일 이상기후로 푹푹 찌는 요즘, 집안에 가만히 있는 게 ‘피서’라는 어른들과 집 밖으로 나가자고 조르는 아이들을 데리고 멀리 가지 않고 아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곳을 고르라면 단연 동물원. 1번 고속도로를 타고 64번 출구로 나가면, 3분 거리에 UBC 미생물학과...
밸류빌리지 (Value Village)
‘밸류빌리지(Value Village)’는 의류, 가정용품, 가구, 스포츠용품, 서적 등 2만 여종의 중고제품을 한꺼번에 모아놓고 판매하는 중고품 백화점으로 미국, 캐나다에 125개의 매장을 가지고 있다. 중고품 매장답지 않게 크고 깨끗한 분위기도 강점이다. 진열 하고...
Derby Reach Park
연어 낚시의 시작, 바 피싱(Bar Fishing)부터 시작해 보자. 7월 말부터 시작하는 연어시즌은 10월까지 계속되는데 강마다 회귀 시즌이 조금씩 다르므로 경험있는 선배 꾼들의 의견과
‘Cozy Cottage Tea Room’구병묵 씨
티 하우스는 차를 마시며 대화를 나누는 공간이라는 점에서는 비슷하지만, 차만 파는 커피 숍이나 찻집과는 차이가 있다. 원래 영국인들이 점심과 저녁 식사 사이에 차를 곁들인 간식을 먹는
56세에 공인회계사 된 정운경씨
“공부에 욕심이 있었습니다.” 젊은 사람들도 쉽지 않은 공인회계사 자격증 취득을 올해 쉰 여섯살인 정운경씨(사진 왼쪽)가 해낼 수 있었던 배경은 ‘공부에 대한 욕심’이라고 했다. 정씨가 밴쿠버로 이민을 온 시초는 밴쿠버 지사 근무 때문이었다. 한국...
    한인 국악 타악팀 ‘천둥’이 15일 오후 밴쿠버 아트 갤러리 앞에서 길거리 공연을 펼쳤다. 천둥팀은 완벽한 호흡으로 타악기 특유의 역동적인 소리를 선보여 많은 시민들로부터 큰 박수를 받았다. 천둥팀은 오는 19일 그랜빌 아일랜드에서 또...
밴쿠버시 공무원 노조 경고
캐나다공무원노조(CUPE)는 16일 노동관계위원회(LRB)에 파업 72시간전 경고를 제출하고 빠르면 19일 오전 11시부터 연장근무를 거부할 방침이라고 발표했다. 지난 주말 샘 설리반 밴쿠버 시장은 파업을 막기 위한 ‘마지막 협상안’으로 계약기간 39개월에 동기간 10%...
 1451  1452  1453  1454  1455  1456  1457  1458  1459  14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