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한국, 오늘의 나를 있게 한 자산”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4-10-08 00:00

캐나다 노스웨스트준주 이승신 의원 한인최초 州의원, 최고위 선출직 공무원
인구 1만8000명의 소도시 옐로우나이프(Yellowknife)는 다이아몬드광 개발과 오로라 관광으로 유명한 노스웨스트준주(Northwest Territories)의 수도다.





노스웨스트준주는 정당이 없는 합의제 형태의 정부(a consensus style of government)를 갖고 있으며 19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의회(Legislative Assembly)도 주의원 각자가 소속 정당 없이 개별적 정강과 정책으로 지역구 및 선거구민의 의사를 대변한다. 주의회에는 2명의 여성의원이 있으며 그 중 1명은 ‘샌디 리(Sandy Lee)’라는 한국인이다.





지난 1999년 주의원 선거당시 5명의 후보 중 유일한 여성후보로 나선 李의원은 전체투표자의 47%의 지지를 얻어 당선됐다. 옐로우나이프 지역에서 20년 만에 처음으로 의회에 진출한 여성 후보이기도 했던 그녀는 4년 뒤 실시된 2003년 선거에서는 투표권자의 82% 득표라는 압도적 지지로 재선에 성공했다. 李의원의 한국이름은 이승신(李昇信,사진).





북위 62도에 위치한 옐로우나이프에는 단 8명(그 중 7명이 이승신 의원의 가족이다)의 한인이 거주하고 있지만 그녀는 지역이 배출한 성공신화의 주인공으로 통한다. 중학교 2학년이던 지난 1978년 가족과 함께 옐로우나이프에 이주한 李의원은 지역의 중·고등학교 재학 중 탁월한 리더십을 발휘, 지역사회의 대표적인 상이란 상은 휩쓸다시피 했다.





이승신 의원의 정계입문은 토박이 못지않은 지역사랑과 봉사활동을 통해 한국인의 근면함과 성실성을 인정 받은 결과였다. 그녀는 대학교 진학을 위해 외지로 떠난 기간을 제외하고는 줄곧 옐로우나이프를 제2의 고향으로 삼았다.





지역구인 랜지 레이크(Range Lake)는 옐로우나이프의 교외지역으로 주로 중산층이 살고 있는 곳이다. 李의원은 정계에 진출하기까지 변호사로서 캐나다 맹인회, 노스웨스트준주 장애인보호위원회 등에서 자원봉사자로 일했다. 또, 소수민족의 역량을 키우고 더불어 사는 복합문화의 활성화를 위해 노스웨스트준주 복합문화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李의원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인이라는 사실은 오늘의 나를 있게 한 커다란 자산”이며 “주의원으로서의 업무 수행뿐만 아니라 모든 일상 생활에서 항상 염두에 두고 있는 하나의 가치관이자 신념체계”라고 했다.





또, 후배들에게는 “한국문화에 자긍심을 갖고 캐나다 생활 곳곳에서 그 정신이 살아 숨쉴 수 있도록 하라”고 조언했다. 李의원의 뿌리의식은 전화통화에서도 나타나 전자메일을 통한 인터뷰는 편의상 비록 영어로 했지만 말은 서툴더라도 우리말을 사용하겠다는 의지가 역력했다.





현재 사회복지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이승신 의원은 “지역주민은 물론 노스웨스트준주의 발전을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겠으며 캐나다 한인사회의 발전을 위한 일이라면 무엇이든지 나서서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 李의원은 10월 16일 C3주최 후원행사에서 기조 연설자로 참여한다.





/이용욱 기자 lee@vanchosun.com





이승신 노스웨스트준주 의원





1964년 서울産. 1978년 옐로우나이프(Yellowknife) 이주. 1989년 오타와 칼튼(Carleton)대학교에서 정치학과 졸업, 1997년 핼리팍스 달하우지(Dalhousie) 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현 노스웨스트준주 주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한국 구상미술 작가들 한 자리에" '신미술회 초대전' 코반 아트 갤러리에서 열려 한국 구상미술 작가들의 작품 세계를 한 자리에서 감상할 수 있는 전시회가 28일부터 밴쿠버 코반 아트 갤러리에서 열린다. 코반 아트 갤러리 초대전으로 열리는 이번...
함정 공개 통해 한국 해군 위상 높여
26일 오전 한국 해군순항 훈련함대가 밴쿠버에 입항했다. 캐나다 플레이스에 정박한 훈련함대는 한국형...
‘신미술회 초대전’ 코반 아트 갤러리에서 열려
한국 구상미술 작가들의 작품 세계를 한 자리에서 감상할 수 있는 전시회가 28일부터 밴쿠버 코반 아트...
밴쿠버 한인 장학재단 2004년 한인 장학생 40명 선발내달 19일 '장학의 밤' 개최 밴쿠버 한인 장학 재단(이사장 이근백)이 2004년 한인 장학생 선발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한인 장학 재단은 본사에서 후원하는 '밴쿠버 조선일보 장학생'으로 선정된 김유나양,...
디지틀조선일보와 캐나다 UBC(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대학이 비즈니스...
의장대 및 군악대 시가행진 취소
2000년 가을이후 4년 만에 방문하는 해군순항훈련함대(사령관 吳成圭 준장, 53세)가 26일 밴쿠버에 입항...
내달 19일 ‘장학의 밤’ 개최
밴쿠버 한인 장학 재단(이사장 이근백)이 2004년 한인 장학생 선발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한인 장학 재단은...
채널 56번 통해 25일부터 한국 소개
푸드 네트워크(Food Network) TV가 10월 25일부터 11월 1일까지 인기 프로그램인 ‘Thirsty Traveller’를 통해...
단체전 0-3으로 무릎 꿇어
리치몬드에서 열리고 있는 세계주니어 배드민턴선수권 대회에 참가하고 있는 한국 대표팀이 24일 벌어진...
민주평통, 남북한 통일문제 포럼 열어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이하 민주평통)가 21일 남북한 통일문제 토론을 위한 인터렉티브 포럼...
16일 후원행사, 한인사회 큰 관심 나타내
‘한인사회와 캐나다 사회를 잇는 가교’ 역할을 자임하고 있는 자원봉사단체 C3의 활동을...
12일부터 삼성전자 ‘다맛’ 김치냉장고 판매
리베이트(Rebate)에 의존하던 기존 업무관행에서 탈피, 자체 수익원 확보를 통한 자생 역량을 강화하고 있는...
총영사관, 한국 여권 분실 주의 당부
한국 여권이 밴쿠버 국제 공항이나 스탠리 공원 등에서 분실되는 사고가 빈발하고 있어 밴쿠버 총영사관이...
캐나다 노스웨스트준주 이승신 의원 한인최초 州의원, 최고위 선출직 공무원
인구 1만8000명의 소도시 옐로우나이프(Yellowknife)는 다이아몬드광 개발과 오로라 관광으로 유명한....
세계Jr.배드민턴선수권, 21일 리치몬드에서 ‘배드민턴 강국’ 한국 선수단 선전 기대
오는 10월 21부터 30일까지 리치몬드의 미노루 아레나에서 세계주니어배드민턴선수권대회가 열린다. 총 25...
한상협 대책위원회 구성
한카식품상협회(회장 한재운, 이하 한상협)가 잡지 공급 업체인 뉴스그룹의 불합리한...
아, 고향아! 아, 가을아!개천절 기념 '내 마음의 노래' 공연 한국의 가을 내음이 이곳 밴쿠버에서도 가득 풍겨 났다. 2일 오후 4시 킬라니 팍 교회에서 밴쿠버한인성악인협회 주최로 '내 마음의 노래' 공연이 열렸다. 개천절을 맞아 열린 이날 공연에는 베이스...
"독도 문제 바로보기가 시급" 김영구 교수 초청 '독도 지키기 세미나' 열려 "영유권을 놓고 한국과 일본의 현격한 대립이 계속되고 있는 독도 문제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우리가 독도의 영유권을 지키기 위해서는 독도 문제를 바로...
한국을 대표하는 '로켓박사' 채연석 한국항공우주원(KARI) 원장 초청 강연회가 2일 오후 포트무디 세...
김영구 교수 초청 ‘독도 지키기 세미나’ 열려
“영유권을 놓고 한국과 일본의 현격한 대립이 계속되고 있는 독도 문제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