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성공의 배경은 이렇습니다”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7-10-26 00:00

아시아계 지도자로 주목 받는 4인

북미주아시아계전문가연합(NAAAP: 냅)이 25일 개최한 ‘스포트라이트 온 리더십 셀레브레이션(Spot light on Leadership Celebration)은 수상자들이 어떻게 사회적으로나 개인적으로 성취를 이룰 수 있었는지 들어볼 수 있는 기회였다. 아시아계 지도자로 주목 받는 네 사람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정직”
짐 추 밴쿠버 경찰청장

기조 연설을 한 짐 추 밴쿠버 경찰청장은 자신의 인생의 성공요소 5가지를 소개했다.
중국 상하이 태생으로 밴쿠버 동부에서 성장한 추 경찰청장은 1979년 순경으로 입문해 올해 아시아계 최초로 밴쿠버 시경 최고위직에 올랐다.

매번 승진할 때마다 조직을 혁신시킨 그는 밴쿠버 시경 웹사이트를 만들었고 현재 911 신고시스템을 체계화한 공적을 갖고 있다. 이런 성과를 이룰 수 있었던 것에 대해 추 경찰청장은 ‘배움’을 강조했다. “젊을 때는 파티에 갈 시간도 많겠지만 나는 모든 배움에는 때가 있다고 믿었다. 젊을 때 배움에 헌신한 것이 사회에 나와서 큰 자본이 됐다”고 말했다. 그는 UBC 경영학과 출신이다.

그의 배움에 대한 열망은 공립도서관에서 생겨났다. 집에 TV가 없었기 때문에 7살 때 누나와 함께 공립도서관을 찾아가 책을 읽었고, 이것이 어린 시절 그에게 세계로 향한 문을 열어주었다. 그는 책과 친해지기 위해 도서관에서 자원봉사를 하기도 했으며 성인이 된 후에는 도서관 이사회 이사로 활동했다.

그는 리더십에 대해 “긍정적인 마음으로 주변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드는 것. 여기서 리더쉽이 나온다”며 “항상 긍정적인 마음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준비하라”고 강조했다.

또한 출세에 대해 “자기개발에 충실하면서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의 결과가 세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생각하고 산다면 나와 우리 사회가 함께 성공에 이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자기의 성취뿐만 아니라 자신의 속한 사회의 성취에도 힘쓸 것을 주문한 것이다.

추 경찰청장은 워런 버핏이 “나는 사람을 쓸 때 정직(integrity), 지능(intelligence) 그리고 동기(initiative)를 본다. 그리고 이 중에 정직이 없다면 지능과 동기는 당신을 죽일 것이다”라고 한 말을 인용해 자신도 정직을 최우선으로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민을 온 후 ‘가장 돈을 많이 벌어야 할 나이’에 실직했지만 좌절하지 않고 택시운전사를 해서 가족을 부양한 자신의 아버지를 소개하며 “어려울 때 떠올리는 나의 아버지의 그런 모습은 내가 역경을 이기는데 큰 힘이 됐다”고 덧붙였다.

“사회 안으로 들어가자”
이민 전문지 발행인 남 누라니씨

기업 및 전문적인 성취분야에서 상을 받은 남 누라니씨는 1998년 이민을 와 이민자들을 위한 신문을 창간했다. “신문 시장을 보니 캐나다는 잡지 천국이었다. 심지어는 망가진 가구 전문 잡지도 있었다. 그런데 이민자를 전문으로 하는 영어 신문은 없었다.”

그는 이민 후 자신이 직면한 적응, 정보부족, 문화장벽 문제를 해결하는 방편으로 긍정적인 모델을 제시한다는 언론관을 갖고 ‘캐네디언 이미그런트(Canadian Immigrant)’지를 창간했다. 현재 8만부를 발행하는 이 잡지는 주류언론사인 스타미디어에 매각됐다.

2005년 밴쿠버 경영자상을 받은 그는 이민자로서 성공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자원봉사, 멘토, 그리고 네트워킹(인맥)”을 꼽고 “자원봉사를 할 때 거기서 이민생활의 선배(멘토)와 친구를 만나 네트워킹을 이룰 수 있었다. 현재 내게는 각국에서 온 친구와 12명의 멘토가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네트워킹과 가족들의 도움은 내 꿈의 바탕이 되어 주었다. 자원봉사와 가족의 협력이야 말로 이민정착에 가장 중요한 요소다”라고 강조했다. “어디서 왔는지를 친구의 기준으로 삼지 않는다”는 그는 “나는 캐나다의 한 부분인 것이 자랑스럽다”고 덧붙였다.

“しかたない를 극복해야”
일본어 신문 발행인 존 엔도 그린웨이

예술과 문화 부문에서 상을 수상한 존 엔도 그린웨이씨는 일본어 신문 발행인이자 타이코 공연자로, 어머니가 일본계다. 그는 발행부수 면에서 다른 언어 잡지보다 훨씬 적은 자신의 잡지 ‘불 레틴’이 폭넓은 인지도를 갖고 있는 이유에 대해 “우리가 누구이고, 어디로 가고 있으며, 어디로 가야 하는가를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1993년 발행인으로 활동한 그는 역사를 기억하며 현재를 살펴보고 미래의 지표를 제시하는 것을 이민사회 신문의 역할로 보고 있다.

그는 과거 일본계가 간첩으로 몰려 2차대전 당시 캐나다 내륙 수용소에 갇힌 상황에 대해 설명하면서 무고한 시민을 가둔 정부도 잘못이지만 당시 일본계 사이에 퍼진 ‘しかたない(어쩔 수 없다)’ 정신이 문제였다고 지적했다.

그린웨이씨는 “노력해봐야 별 수 없다는 ‘しかたない’의식의 확산이 모든 일본계를 순순히 감옥으로 몰아넣게 만들었다”며 아시아계가 스스로를 구속하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스로 한계를 설정하고 그 안에 자신을 가두는 것은 모든 가능성을 포기하는 행위라는 것이다.

그린웨이씨는 과거를 기억해야 하지만 과거의 부정적인 경험이 긍정적인 미래를 구속해서는 안 된다며 희망을 강조했다.

“해야 할 일은 가족 안에 있다”
헨리 유 UBC 교수

지역사회봉사와 문화홍보상을 받은 헨리 유 UBC대 역사학교수는 마가렛 미드의 유명한 경구 ‘소수의 사려 깊은 시민의 참여가 세상을 바꾼다(A small group of thoughtful, committed citizens can change the world)’는 말을 인용해 리더십에 대해 설명했다.

유 교수는 현재 1907년 밴쿠버에서 발생한 반아시아계 폭동에 대한 기념사업, 캐나다 암협회 모금활동 등으로 유명하다.
유 교수는 “나는 리더십이 강한 사람이 아니다. 당연히 해야 할 일들을 친구들과 했다. 어떻게 지도자가 되느냐는 내 관심 밖의 문제였다. 어떻게 처리하느냐가 주관심사였다”고 설명했다. 그는 ‘당연히 해야 할 일’을 가족에게서 찾았다고 말했다. 인종차별의 어리석음을 알리기 위한 반아시아계 폭동 기념 사업을 추진한 것은 그의 외증조부가 피해자였기 때문이다. 후손으로서 그 문제에 대해 외면할 수는 없었다는 것. 암협회 활동은 아버지를 암으로 잃었기 때문이다.

유 교수는 “내 가족을 보라. 내 가족이 필요한 것은 사회적으로도 필요한 것이다. 우리 집안의 암 문제는 사회의 문제다. 내 가족의 차별 문제는 이 사회의 문제다”라며 사회를 위한 활동은 그 결과가 스스로에게 돌아오는 '내 가족을 위한 활동'임을 강조했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캐나다 현충일(Remembrance Day)을 맞아 재향군인회 캐나다 서부지회(회장 서정국)는 3일 노스로드 한인타운에서 파피(Poppy) 달기 행사를 벌였다. 11월 11일은 캐나다의 현충일(顯忠日)이다. 이날 오전 11시, 캐나다의 전국민들은 1, 2차 세계대전과 한국전쟁에서 자유와...
밴쿠버 시경, 11월 단속 캠페인
메트로밴쿠버 길거리에서는 보행자 우선이 중시되지만 아무 길이나 함부로 건너다간 경찰의 무단횡단 단속에 적발될 수 있다. 밴쿠버 시경은 11월을 무단횡단(jaywalking) 단속주간으로 정하고 집중단속을 시작했다. 시경 대변인은 “11월은 보행자의 무단횡단으로...
보수당 후보 김연아 ‘후원의 밤’ 성황
차기 연방 총선에서 보수당 후보로 출마하는 김연아씨 후원...
루니를 잡아라 2007.11.02 (금)
캐나다 달러환율이 47년래 최고기록을 돌파했다. 지난 29일 루니화는 장중 한때 미화 1.050달러를 넘어서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환율급등으로 인한 피해가 확산되기 전에 금리를 인하함으로써 루니화 상승에 제동을 걸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토론토 스타는...
캐나다인 10명 중 8명 “성탄 선물 필요 없어”
판매업체 입장에서는 실망할 만한 통계이지만, 캐나다인들 10명 중 8명(77%)은 ‘올해 크리스마스에 아무것도 필요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신 자신에게 선물을 줄 비용으로 처지가 자신보다 불우한 남들을 돕는 마음의 선물을 받겠다는 사람이 10명중 8명(84%)에...
6~23개월 유아·65세 이상 노인 무료 접종
BC주정부는 노약자를 대상으로 독감(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곧 실시할 예정이라고 29일 발표했다. 아이다 총 BC주 노인·여성부 장관은 “독감에 취약한 노약자의 독감 예방을 위해 백신 120만 정을 준비해 무료 접종을 곧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무료 접종...
캐나다인 4명중 1명 온라인 성인교육 이용
캐나다에서도 인터넷을 이용한 성인 교육이 각광을 받고 있다. 캐나다 통계청은 2005년 캐나다 성인 4명 중 1명(26%) 꼴인 640만명이 인터넷을 교육이나 훈련, 또는 학교 숙제용도로 사용했다고 발표했다.  학생들 사이에서도 인터넷은 숙제에 필수적인 도구로...
강혜정씨 / 밴쿠버 웨스트 “여섯 아줌마! 드디어 일냈다”
뚝딱뚝딱 손길만 스쳐도 육수에서 감칠맛이...
흥부네 같은 놀부 집 별미‘해물전골’
전골이라 하기엔 해물 샤부샤부같고, 샤부샤부라 하기엔 바글바글 끓인 해물과 야채의 육수가 진해 탕 같은 놀부해물전골. 큼직한 꽃게와 살아 있는 새우가 금방이라도 움직일 것만 같은 해물전골과 닭고기전골이 자랑인 한식당 ‘놀부’는 음식이 푸짐해서...
주말에 근교 가족나들이 여기 어때? - Weaver Creek 하이드 크릭 연어 페스티벌, 미션 위버 크릭(Weaver Creek) 러스킨 댐, 체하리스 리버 부화장
해마다 10월부터 11월까지 수 만 마리가 북상하며 장관을 이루는 연어회귀를 구경할 수 있다. 밴쿠버 근교에서 연어회귀를 직접 볼 수 있는 곳은 포트 코퀴틀람의 하이드 크릭, 미션 위버 크릭(Weaver Creek), 러스킨 댐, 체하리스 리버 부화장 등을 들 수 있다. 번식을...
번식을 위해 목숨을 걸고 회귀하려는 연어의 삶을 통해 생명의 준엄함이 느껴지는 연어회귀는, 올해 그 숫자가 현저하게 줄어들어 10월에도 지난해와 같은 장관을 구경하기는 어려웠다. 밴쿠버 근교에서 연어회귀를 직접 볼 수 있는 곳은 포트 코퀴틀람의 하이드...
밴쿠버 최대의 화교 재벌 ‘통 루이’
100년 전 구멍가게로 시작한 가업 이어받아  BC 랭킹 4위 ‘H Y Louie 그룹’으로 키워 런던 드럭, IGA 등을 소유하고 있는 H Y Louie 그룹의 성장을 이끌어낸 통 루이 회장.1998년 5월 4일 밴쿠버 다운타운의 세인트 앤드류 웨슬리 교회에서 열린 한 장례식엔 수천...
밴쿠버한인청소년오케스트라
40명으로 구성된 ‘밴쿠버한인청소년오케스트라’ 단원들의 창단 공연 장면. 한인 청소년을 위한 ‘청소년들의 문화 돌파구’ 주말저녁 한국의 대학로와 신촌 홍대 앞, 인사동 거리에서 노래와 힙합을 즐기는 비보이 무리를 둘러싸고 환호하는 대부분은...
대학생들의 취업 준비
캐나다의 대학교는 산학협동프로그램(Co-op program)이 잘 조성되어 있다. 따라서 취업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학교의 커리큘럼을 적극
미국 명문대 입학 설명회 연 이정석 박사 “美 명문대 입학, 외국인에게 결코 쉽지 않아”
베리타스 교육원(www.veritaslearning.net) 주최 미국 명문대 입학 설명회가 지난 주 26일과 27일 이틀간 베티타스 포트무디 캠퍼스와 노스밴 캠퍼스에서 열렸다. 이번 설명회 강사로 초청된 이정석 박사(사진·현 아이비드림 대표·하버드대 물리학 박사)는 미 명문대...
UBC 한·일 교환학생 축구경기 열려
◇ UBC 한일 교환학생 축구 경기가 끝난 후 학생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이날 축구경기는 교환학생들이 서로 우정을 나눌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 지난 27일 UBC내에 위치한 울프슨 필드(Wolfson field)에서는 한일 국가대표 축구 경기를 방불케 하는 뜨거운 응원...
심리학
어떤 말을 해야 화가 풀릴까? 청소년들은 부모나 어른들과 사이가 서먹서먹한 경우가 많다. 청소년들은 그 이유 중 하나를 어른들의 독단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상대방이 나이 어린 고등학생이란 이유 하나로 학생들의 의견을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고 쉽게...
경제야 놀~자 / 중고차 제값에 사고 팔려면...
한인 B씨는 최근 차를 팔려다가 기분 나쁜 경험을 했다. 매매에 흥정은 기본이라지만 상대방이 “기준가격에 맞춰 팔지 않고 같은 한국 사람끼리 폭리를 취한다”며 혼잣말처럼 “한국사람 조심해야 돼”라고 한 말을 기분 좋게 들을 수는 없었다. 지난 5년 간...
BC주민 지난해 술 소비액 맥주구입에 가장 많이 지출
BC주민들은 지난 해 1인당 694달러어치의 맥주, 포도주, 과일주를 구입한 것으로 집계됐다. 구입액수 면에서 BC주의 1인당 연평균 술값은 뉴펀들랜드주(735달러), 퀘벡주(699달러)에 이어 3번째로 많다. 지난해 캐나다인 1인당 평균 술 소비액수는 652달러로, BC주민들은...
BC주정부, 단체당 5만달러 지원
이민자나 캐나다 국내 취업 희망자를 대상으로 하는 외국기술인증(Foreign Credential Recognition: FCR) 정책마련과 관련해 BC주정부는 소규모 예산을 직능단체에 지원하는 방식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BC주정부는 올해 6월 FCR에 대한 워크숍을 개최했으며 이를 통해 직능에...
 1421  1422  1423  1424  1425  1426  1427  1428  1429  1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