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예쁘게 봐주세요, 학교에서 배웠어요”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7-10-26 00:00

새내기 레서피 / 박연준(오크 마운트) 파스타 피자 & 블루베리 케이크

지난 여름, 중고등부 하계 수련회 기금마련을 위한 성산교회 바자회에서 시작한 지 10분만에 매진되어버린 블루베리 머핀이 있었다. 쉬폰 케이크와 비스킷 등 모두 직접 만든 것이라고 했지만 분명 엄마가 만들어 준 것이려니 생각했다. 그래서 학생이 아니라 그 엄마 김현정씨 손을 끌고 행사장 한 켠으로 가서 레서피를 알려달라고 했더니, 친구들과 농구를 하고 있던 아들을 데려왔다.    

“정말 네가 만들었어? 혼자? 어떻게? 어디서 배웠어?”
놀라워서 묻는다는 게 다그치듯 되고 말았지만 이 녀석, 어른의 긴 질문에 ‘쉬워요’ 달랑 한마디 던지곤 휙 돌아서려는 순간 다시 잡았다.
“얘야…… 우리 아줌마들은 말이다. 쉽다면 어떻게 쉬운가를 알려줘야 한단다”

한국 나이로 치면 이제 14살 중학교 2학년이다. 그런데 ‘네’ ‘아니오’ 대답 대신 엄마께 여쭤 보고 대답하겠단다. 잘 생긴 녀석이 요리도 잘하고 게다가 예의까지 반듯하다.

▲ 연수, 연준, 해연 3남매. 서울에 계신 아버지를 기쁘게 해드리기 위해 맏아들이 대표선수로 나섰다. 막내 해연이는 오빠 눈치보면서도 연신 돕겠다며 나서서 망쳐 놓곤 했지만, 그때마다 연준군은 아빠가 막내 딸 바라보듯 따뜻하게 다둑거리며 자상하게 챙기는 것이 참 기특해 보였다.

엄마 허락은 받아 줄 테니 걱정 말라고 했더니, 화들짝 놀라며 꼭 자기가 받아야만 한다고 고집을 부린다. 진지하게 이유를 설명하는 연준이와 이후 나눈 대화는 이랬다. 
“우리 엄마는 집에서 그릇이나 그런 거 깨뜨리면 혼내지 않으세요.”
-흠, 아주 사랑이 많은 교육적인 훌륭한 엄마군……
“그냥 각자의 용돈으로 ‘사 놓아야 한다’는 게 원칙이에요.”
-돈도 너네가 내구?
“네. 그리고 엄마 허락 없이 사용하다가 가구나 바닥에 흠집 내면, 원래대로 고쳐놔야 해요.”
-왜 그래야 된대?
“엄마 집이기 때문이래요. 그래서 꼭 사용 허락을 받아야 해요.”
그렇게 ‘윤허’를 얻어 찾아간 ‘엄마 집’ 주방에는, 다닥다닥 별 스티커가 붙어 있는 종이 세 장이 나란히 붙어있다. 연준이와 두 동생 연수, 해연이가 용돈을 벌기 위해 치열하게 살아가고 있는 흔적이다. 곁에는 이런 내용이 또 붙어 있다.
‘쓰레기 버리는 일 별 1개, 아침에 깨우지 않아도 일어나기 별 1개, 하루 종일 TV시청하지 않은 날 별 1개, 책 1권 읽을 때마다 별 2개, 설거지 별 1개……’
좋은 일, 착한 일, 해야 할 일을 스스로 알아서 챙길 때마다 붙이는 별 1개의 가격은 25센트. 10달러라면 총 20개 항목이라는 이야기다. 
“햐~ 너네 참 돈 벌기 쉽네. 다 지켜서 돈 많이 벌어” 했더니, 돈 벌기가 쉽지 않아서 쓰는 것을 줄이기로 했단다. 그래서 학교에서 배운 ‘펌킨 케잌’을 하려다가 통조림 값 아끼기 위해 엄마의 재료로 만드는 블루베리 케잌을 준비했다는 녀석. 귀여운 구두쇠다. 
세 아이들이 갑자기 ‘착한이’로 변하면, 필시 용돈이 필요한 일이 생긴 것이라 했다. 정해진 룰을 철저히 지키고 따라서 엄마는 그만큼 편해진다. 엄마 입장에서는 어차피 줘야 할 용돈이기에 손해 볼 것 없고, 아이들도 돈의 사용처를 일일이 엄마께 보고하지 않아도 되기에 ‘상호 대만족’인 셈. 게다가 어릴 때부터 ‘일하지 않는 자 먹지도 말라’는 성경말씀과 ‘무노동 무임금’이라는 세상살이를 일찌감치 체득하게 하니 교육효과도 만점이라는 게 엄마 김현정씨의 말.
가족들을 위해 한국에서 열심히 일하시는 아버지를 기쁘게 해드리기 위해 ‘나만의 레서피’를 하기로 했다는 연준군의 ‘야심작’은 생각했던 것보다 재료 만지는 손이 섬세하고, 생각했던 것보다 또 맛있었다.
“먼저 고체를 채에 거르고, 액체를 섞은 다음, 고체를 액체에 붓습니다. 상태는 숟가락으로 떴을 때 고체가 흐르지 않는 정도로 반죽해 주시고……”
요리가 무슨 화학실험인가. 웃음을 참느라 애쓰며 ‘골고루 섞어서 골고루 뿌려야 한다’는 포인트를 빨리 받아 적지 않았다가 녀석에게 혼도 났다. 요리나 할 것이지 남의 취재 수첩은 왜 훔쳐보고 난리람. 모르긴 해도 이다음에 장가가면 가족에게 ‘깜빡’ 숨 넘어 갈 멋진 남편이 될게 틀림 없다. 서울에 계신 아빠처럼.

이재연 기자 jy@vanchosun.com


 블루베리 케이크

■ 재료   밀가루 3컵(200ml 기준), 설탕 2컵, 올리브유 1컵, 계란 4개, 베이킹 파우터 2ts, 소금, 계피가루 3ts, 블루베리 1.5컵
① 밀가루는 베이킹 파우더와 계피가루, 소금을 넣고 채에 내린다.
② 계란, 올리브유, 설탕을 잘 섞어 놓는다.
③ 1과 2의 재료를 혼합해 반죽을 한 다음, 블루베리를 넣어 다시 섞는다.
④ 빵 틀에 컵을 놓고 반죽을 2/3의 양만큼만 채운다.
⑤ 예열된 오븐에 넣어 타이머를 15분에 맞춰 알람이 울리면 젓가락을 찔러 한번 확인 후 꺼낸다.

파스타 피자

■ 재료   오색 파스타 4컵, 계란 2개, 우유 1/4컵, 소금 1ts, 올리브유 1ts, 색깔 별 피망 각 1개씩, 토마토, 단 호박, 스파게티 소스, 스팸, 치즈 4컵
① 소금과 올리브유를 넣어 물을 끓인 다음 파스타를 15분 가량 삶는다.
② 준비된 야채와 재료는 모두 채 썰어 놓는다.
③ 파스타가 익으면 채에 받혀 물기를 제거하고 뜨거운 채 피자 팬에 쏟은 다음, 평평하게 펴 준다.
④ 우유와 계란을 잘 풀어 3의 파스타 위에 끼얹어 준다.
⑤ 밑 치즈를 솔솔 뿌린 다음 스파게티 소스를 골고루 펴 준다.
⑥ 그 위에 준비해 둔 야채와 스팸을 토핑한다.
⑦ 다시 속 재료가 보이지 않을 만큼 듬뿍 치즈를 올린다.
⑧ 400도에서 30분간 구워 낸다.

박연준 군의 한마디!

■ Cooking Point
① 어머님들! 반죽은 꼭 2/3컵만 채워야 예쁘게 볼록한 모양이 됩니다.
② 계란에 우유를 조금 섞어 저어서 골고루 뿌린 다음 구워내면, 파스타가 흩어지지 않아요.
③ 파스타를 삶을 때 짭짤해야 피자가 완성된 후 싱겁지 않아요.

■ Cooking Tip
① 빵 재료 밀가루는 호밀을 쓰면 영양만점이죠?
② 식성에 따라 빵의 올리브유는 조금 적게 해도 괜찮아요.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캐나다 현충일(Remembrance Day)을 맞아 재향군인회 캐나다 서부지회(회장 서정국)는 3일 노스로드 한인타운에서 파피(Poppy) 달기 행사를 벌였다. 11월 11일은 캐나다의 현충일(顯忠日)이다. 이날 오전 11시, 캐나다의 전국민들은 1, 2차 세계대전과 한국전쟁에서 자유와...
밴쿠버 시경, 11월 단속 캠페인
메트로밴쿠버 길거리에서는 보행자 우선이 중시되지만 아무 길이나 함부로 건너다간 경찰의 무단횡단 단속에 적발될 수 있다. 밴쿠버 시경은 11월을 무단횡단(jaywalking) 단속주간으로 정하고 집중단속을 시작했다. 시경 대변인은 “11월은 보행자의 무단횡단으로...
보수당 후보 김연아 ‘후원의 밤’ 성황
차기 연방 총선에서 보수당 후보로 출마하는 김연아씨 후원...
루니를 잡아라 2007.11.02 (금)
캐나다 달러환율이 47년래 최고기록을 돌파했다. 지난 29일 루니화는 장중 한때 미화 1.050달러를 넘어서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환율급등으로 인한 피해가 확산되기 전에 금리를 인하함으로써 루니화 상승에 제동을 걸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토론토 스타는...
캐나다인 10명 중 8명 “성탄 선물 필요 없어”
판매업체 입장에서는 실망할 만한 통계이지만, 캐나다인들 10명 중 8명(77%)은 ‘올해 크리스마스에 아무것도 필요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신 자신에게 선물을 줄 비용으로 처지가 자신보다 불우한 남들을 돕는 마음의 선물을 받겠다는 사람이 10명중 8명(84%)에...
6~23개월 유아·65세 이상 노인 무료 접종
BC주정부는 노약자를 대상으로 독감(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곧 실시할 예정이라고 29일 발표했다. 아이다 총 BC주 노인·여성부 장관은 “독감에 취약한 노약자의 독감 예방을 위해 백신 120만 정을 준비해 무료 접종을 곧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무료 접종...
캐나다인 4명중 1명 온라인 성인교육 이용
캐나다에서도 인터넷을 이용한 성인 교육이 각광을 받고 있다. 캐나다 통계청은 2005년 캐나다 성인 4명 중 1명(26%) 꼴인 640만명이 인터넷을 교육이나 훈련, 또는 학교 숙제용도로 사용했다고 발표했다.  학생들 사이에서도 인터넷은 숙제에 필수적인 도구로...
강혜정씨 / 밴쿠버 웨스트 “여섯 아줌마! 드디어 일냈다”
뚝딱뚝딱 손길만 스쳐도 육수에서 감칠맛이...
흥부네 같은 놀부 집 별미‘해물전골’
전골이라 하기엔 해물 샤부샤부같고, 샤부샤부라 하기엔 바글바글 끓인 해물과 야채의 육수가 진해 탕 같은 놀부해물전골. 큼직한 꽃게와 살아 있는 새우가 금방이라도 움직일 것만 같은 해물전골과 닭고기전골이 자랑인 한식당 ‘놀부’는 음식이 푸짐해서...
주말에 근교 가족나들이 여기 어때? - Weaver Creek 하이드 크릭 연어 페스티벌, 미션 위버 크릭(Weaver Creek) 러스킨 댐, 체하리스 리버 부화장
해마다 10월부터 11월까지 수 만 마리가 북상하며 장관을 이루는 연어회귀를 구경할 수 있다. 밴쿠버 근교에서 연어회귀를 직접 볼 수 있는 곳은 포트 코퀴틀람의 하이드 크릭, 미션 위버 크릭(Weaver Creek), 러스킨 댐, 체하리스 리버 부화장 등을 들 수 있다. 번식을...
번식을 위해 목숨을 걸고 회귀하려는 연어의 삶을 통해 생명의 준엄함이 느껴지는 연어회귀는, 올해 그 숫자가 현저하게 줄어들어 10월에도 지난해와 같은 장관을 구경하기는 어려웠다. 밴쿠버 근교에서 연어회귀를 직접 볼 수 있는 곳은 포트 코퀴틀람의 하이드...
밴쿠버 최대의 화교 재벌 ‘통 루이’
100년 전 구멍가게로 시작한 가업 이어받아  BC 랭킹 4위 ‘H Y Louie 그룹’으로 키워 런던 드럭, IGA 등을 소유하고 있는 H Y Louie 그룹의 성장을 이끌어낸 통 루이 회장.1998년 5월 4일 밴쿠버 다운타운의 세인트 앤드류 웨슬리 교회에서 열린 한 장례식엔 수천...
밴쿠버한인청소년오케스트라
40명으로 구성된 ‘밴쿠버한인청소년오케스트라’ 단원들의 창단 공연 장면. 한인 청소년을 위한 ‘청소년들의 문화 돌파구’ 주말저녁 한국의 대학로와 신촌 홍대 앞, 인사동 거리에서 노래와 힙합을 즐기는 비보이 무리를 둘러싸고 환호하는 대부분은...
대학생들의 취업 준비
캐나다의 대학교는 산학협동프로그램(Co-op program)이 잘 조성되어 있다. 따라서 취업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학교의 커리큘럼을 적극
미국 명문대 입학 설명회 연 이정석 박사 “美 명문대 입학, 외국인에게 결코 쉽지 않아”
베리타스 교육원(www.veritaslearning.net) 주최 미국 명문대 입학 설명회가 지난 주 26일과 27일 이틀간 베티타스 포트무디 캠퍼스와 노스밴 캠퍼스에서 열렸다. 이번 설명회 강사로 초청된 이정석 박사(사진·현 아이비드림 대표·하버드대 물리학 박사)는 미 명문대...
UBC 한·일 교환학생 축구경기 열려
◇ UBC 한일 교환학생 축구 경기가 끝난 후 학생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이날 축구경기는 교환학생들이 서로 우정을 나눌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 지난 27일 UBC내에 위치한 울프슨 필드(Wolfson field)에서는 한일 국가대표 축구 경기를 방불케 하는 뜨거운 응원...
심리학
어떤 말을 해야 화가 풀릴까? 청소년들은 부모나 어른들과 사이가 서먹서먹한 경우가 많다. 청소년들은 그 이유 중 하나를 어른들의 독단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상대방이 나이 어린 고등학생이란 이유 하나로 학생들의 의견을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고 쉽게...
경제야 놀~자 / 중고차 제값에 사고 팔려면...
한인 B씨는 최근 차를 팔려다가 기분 나쁜 경험을 했다. 매매에 흥정은 기본이라지만 상대방이 “기준가격에 맞춰 팔지 않고 같은 한국 사람끼리 폭리를 취한다”며 혼잣말처럼 “한국사람 조심해야 돼”라고 한 말을 기분 좋게 들을 수는 없었다. 지난 5년 간...
BC주민 지난해 술 소비액 맥주구입에 가장 많이 지출
BC주민들은 지난 해 1인당 694달러어치의 맥주, 포도주, 과일주를 구입한 것으로 집계됐다. 구입액수 면에서 BC주의 1인당 연평균 술값은 뉴펀들랜드주(735달러), 퀘벡주(699달러)에 이어 3번째로 많다. 지난해 캐나다인 1인당 평균 술 소비액수는 652달러로, BC주민들은...
BC주정부, 단체당 5만달러 지원
이민자나 캐나다 국내 취업 희망자를 대상으로 하는 외국기술인증(Foreign Credential Recognition: FCR) 정책마련과 관련해 BC주정부는 소규모 예산을 직능단체에 지원하는 방식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BC주정부는 올해 6월 FCR에 대한 워크숍을 개최했으며 이를 통해 직능에...
 1421  1422  1423  1424  1425  1426  1427  1428  1429  1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