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PR카드, ‘5·2 원칙’ 잊지 말아야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7-11-09 00:00

거주 의무기간 채워야 재신청 가능 중요 서류 공증된 사본 만들어 놔야

많은 한인 이민자들이 궁금해 하는 영주권 카드(Permanent Resident Card) 재신청에 대한 설명회가 BC이민자봉사회(ISS) 주최로 9일 코퀴틀람 주님의 교회에서 열렸다. 이민법 전문 방정희 변호사(Hwang & Company)가 진행한 이날 설명회에는 영주권 카드 갱신에 대해 궁금해하는 많은 한인들이 참석했다.

지난 2003년 영주권 카드를 받은 많은 이민자들은 내년에 카드를 갱신해야만 앞으로도 캐나다 입출국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영주권 카드 재발급을 앞두고 의무 거주기간인 5년을 채우지 못해 불안해하는 이민자들이 늘고 있다.

◆신청 시점부터 과거 5년간 심사=영주권자의 의무거주 기한은 지난 2002년 개정된 이민법 28조에 따라 매(과거) 5년 중 2년(730일) 이상이다. 즉 영주권 카드 재발급을 신청한 날로부터 5년을 거슬러 올라 간 기간 중 최소 2년 이상 캐나다 내 거주했어야 5년 기한의 새 PR 카드를 발급 받을 수 있다는 말이다. 특히 이민법 조항에는 “physically present in Canada”라는 말이 명시돼 있는데, 이는 이민자가 실제로 캐나다 내에 거주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영주권 카드를 신청할 경우 이민관이 랜딩한 날짜를 보는 것이 아니라 신청날짜로부터 과거 5년간의 시간을 본다는 것이다. 5년이 아직 안된 영주권자의 경우는 과거 기간 중 과연 캐나다에 얼마나 오래 살았느냐를 심사하게 되며, 5년이 넘은 후부터는 신청 시점부터 과거 5년의 기간을 보게 된다.

방  변호사는 “영주권 카드의 유효기간이 다 끝났더라도 캐나다에 사는 것에는 아무 문제가 없으며, 기존 PR카드의 유효기간 내에 신규 카드를 발급 받아야 하는 의무가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전했다.

5년 중 2년의 거주기간을 채우지 못했더라도 영주권 카드 만료기간 전 캐나다에 들어와 계속 거주한다면 영주권을 지킬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공항이나 국경 이민관은 언제든지 의무거주 기간에 대해 물어볼 수 있으며, 거짓말이 들통날 경우 영주권 박탈은 물론 출국조치까지 당할 수 있다.

◆거주 의무기간 심사도 예외는 있다=의무거주기간 심사는 캐나다 입국시 공항이나 국경에서 이민관이 하거나, 영주권카드 발급/재발급 신청 시, 혹은 해외 캐나다 대사관에서 긴급 여행자 증명을 발급받기 위해 하게 된다.

이때 신청자가 의무기간 조항을 피해 갈 수 있는 3가지 예외가 존재한다.

첫째, 영주권자가 시민권자인 배우자와 출국해 함께 같은 곳에 살았을 경우 그 기간은 캐나다 거주로 인정한다. 이때도 같이 있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 함께 출국한 비행기 티켓, 은행 공동구좌 등의 증거를 갖춰야 한다.
두 번째로는 캐나다 법인 소속이거나 공무원 신분으로 업무상 출장,파견근무인 경우이다. 이때는 회사에서 발령 받았다는 추천서가 필요하며, 캐나다 내 회사가 계속 영업을 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해야 한다. 방 변호사는 최근 캐나다 내에서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페이퍼 컴패니’를 통해 의무거주기간을 조작하려는 사람이 많아져 오히려 사장일 경우 심사가 더 까다로워졌다고 전했다.
마지막 세 번째는 법인이나 공무원으로 업무상 해외에 나간 이들의 배우자가 해당된다.

◆영주권 카드 발급 약 두 달 소요=현재 이민국의 영주권 카드 발급 처리기간은 평균 53일로 알려졌다. 이민국은 긴급하게 출국해야 하는 이들을 위해 급행(Urgent Processing)으로 발급을 하고 있다. 급행을 원하는 이들은 봉투 겉면에 “Urgent-Proof of travel included” 라고 기재하고 출국 비행기표 사본을 첨부해야 한다.

그러나, 이민국이 처리기간을 3일-1주일로 정해놓은 것과 달리 실제로는 한달 정도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출국 계획이 있는 사람들은 미리 신청하는 것이 좋다.
 
영주권 카드는 캐나다 내에서만 발급이 가능하며, 신청서(신규·재발급·분실시), 신분증명서류(Supplementary Identification form), 서류체크 리스트를 내야 한다. 신청 시에는 여권사본(ID Page, 1면과 2면), 기존 영주권 카드(재발급자에 한함), 랜딩 페이퍼 사본/BC주 운전면허증 사본(앞뒤), 사진 2장, 신청비 50달러(은행 또는 인터넷)가 필요하다.

김정기 기자 eddie@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캐나다 대학 세계 랭킹
최근 영국의 대학교육 관련 권위지인‘THES(The Times Higher Education Supplement)’와 채용 컨설팅 전문 다국적 기업인
2003년 영주권 카드를 받은 많은 이민자들은 내년에 카드를 갱신해야 앞으로도 캐나다 입출국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영주권 재신청을 앞두고 지난 주 본지가 보도한 BC이민자봉사회(ISS) 주최 ‘PR 카드 재신청 설명회’기사<본지 11월 10일자 참고>에 대한...
선샤인 컨비니언스 스토어 대표 원정희 씨
투자이민자로 밴쿠버에 오게 된 원정희씨는 이민 첫해 ESL 학교를 다니며 2년 동안 영어공부와 자녀들
‘추한 한국인’ 근절 캠페인(1)
해외에서 발생하고 있는 ‘추한 한국인(Ugly Korean)’은 큰 문젯거리다. 소수의 부적절한 행동으로 한국과 한국인의 이미지에 피해를 주는 일이 잦다. 한국 정부는 대한민국의 얼굴이 될 해외여행자를 위한 캠페인을 벌인다. 밴쿠버 조선일보와 밴쿠버 총영사관도...
BC주정부, 17개 기관에 800만달러
BC주정부는 “중급수준 이상 영어교육과정 제공해 이민자의 취업능력을 높이겠다”면서 엘사(ELSA) 레벨 4와 5를 제공하는17개 교육기관에 예산 800만달러를 지원한다고 9일 발표했다. 예산지원을 받게 된 지역은 노스쇼어, 밴쿠버, 버나비, 리치몬드, 뉴웨스트민스터,...
주정부, SFU에 4930만달러 지원
BC주정부가 밴쿠버 다운타운 이스트 사이드 지역에 세워지는 SFU 아트 스쿨을 위해 총 4930만달러를 지원하기로 했다. 고든 캠벨 주수상은 13일 대대적인 지원책을 발표하며 현재 공사 중인 우드워드 건물에 SFU의 현대미술 캠퍼스가 들어서면 뛰어난 예술 전공...
2011년부터 밴쿠버항과 태평양 주요항구 역할
"우리에게는 프린스 루퍼트항이 있다." 지난 주말 아시아 투자유치를 위해 떠난 캐빈 크루거 BC주 광산부 장관이 밴쿠버 공항에서 BC주의 강점을 설명하면서 강조한 말이다. 프린스 루퍼트항은 전적으로 아시아시장을 겨냥해 투자를 늘리고 있는 항구다. 이 항구는...
BC주 법무부 민사압류법 적용
최근 메트로 밴쿠버 지역 총격사건에 대한 주민들의 항의가 빗발친 후에야 그 동안 드러내놓고 활동하던 조직폭력단에 대한 공권력의 대응이 시작됐다. 존 리스 BC주 법무부 장관은 9일 나나이모에 위치한 ‘헬스 앤젤스 클럽하우스’를 민사 압류법(Civil Forfeiture...
밴쿠버 섬·프레이저 밸리 지역 큰 피해 페리 운행 한때 중단...연휴 여행객 큰 불편
연휴 기간 몰아친 강풍으로 밴쿠버 아일랜드와 로워 메인랜드 지역 약 20만 가구에서 정전 피해가 발생했다. 또 화이트락과 써리 일부 지역에서는 수 천 가구의 전화선이 불통됐다. 최고 시속 100km에 달하는 강풍으로 인해 곳곳에서 전신주와 나무가 쓰러지면서...
올해보다 낮아질 듯
BC주 GDP가 지난해 3.3% 성장한 가운데 올 들어 캐나다화 강세로 인한 수출감소 현상이 발생해 올해 BC경제성장률은 지난해보다는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BC주정부는 내년도부터 2009년까지 BC주 GDP가 3.1%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BC주는 알버타주와 함께...
주택소유주보호법 개정안 19일 발효
리치 콜맨 BC주 주택담당 장관은 소비자 보호 내용을 강화한 주택소유주보호법(Homeowner Protection Act) 개정안이 19일부터 발효한다고 14일 발표했다. 콜맨 장관은 “새 집 구입은 많은 BC주민들에게 가장 중대한 구매인 만큼 개정내용은 주민들에게 좀 더 투자 보호를...
캐나다 실업률이 고용증가에 힘입어 하락했다. 캐나다 통계청은 10월 실업률이 지난 9월(5.9%) 보다 0.1% 포인트 낮아졌다고 밝혔다. 이날 캐나다 달러 환율은 사상 최고기록을 또다시 경신했다. 그러나 지역과 산업별 불균형을 개선하고 환율급등으로 인해...
100년 전통의 유서 깊은 ‘스티브스톤 어시장’
밴쿠버로 이민 온 우리나라 사람들이 그리워하는 먹거리 중 하나는 활어 생선회. 그러나 이곳에서 바다로 나가지 않고도 펄떡펄떡 튀어 오르며 입을 쩍쩍 벌리고 숨을 쉬고 있는 생선을 만날 수 있는 곳이 그리 많지 않다. 한국이라면 한밤중이라도 집을 나서기만...
캄보디아 & 베트남 음식점
캄보디아 음식은 베트남 음식과 비슷하지만 조금 더 담백하고 소박하다. 특별히 튀지 않고 무난한 메인 요리에 20여가지 소스로 맛을 낸 음식은 어떤 요리사를 만나느냐에 따라 평범한 맛에서 신데렐라로 변신한다. 그러나 왠지 동남아 요리를 떠올리면,...
거주 의무기간 채워야 재신청 가능 중요 서류 공증된 사본 만들어 놔야
많은 한인 이민자들이 궁금해 하는 영주권 카드(Permanent Resident Card) 재신청에 대한 설명회가 BC이민자봉사회(ISS) 주최로 9일 코퀴틀람 주님의 교회에서 열렸다. 이민법 전문 방정희 변호사(Hwang & Company)가 진행한 이날 설명회에는 영주권 카드 갱신에 대해...
케빈 크루거 BC주 광산부 정무장관 한국 방문 “BC광산업 규모 연 80억달러…아시아 연결 유리”
케빈 크루거 BC주 광산부 정무장관이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권과 투자 및 사업유대관계 강화를 위해 9일 출국했다. 크루거 장관은 아시아 각지를 돌면서 BC주 북방 탐광이 끝난 지역을 중심으로 광산개발 투자유치에 관해 각 지역 회사와 정부 관계자를 만나 논의할...
이미경씨 / 아보츠포드 샤부샤부 & 워터체스트넛 묵
식탁 위의 육수가 부글부글 끓어...
BC주 실업률 4.4%
10월 BC주 실업률이 4.4%로 전달보다 높아졌다.BC주 통계청은 “10월 한달간 일자리는 5800건 증가했으나 구직자가 6700명 늘어나 실업률이 상승했다”며 “캐나다 서부 4개주는 전국 평균보다 낮은 실업률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BC주에서 고용은 주로...
기자수첩
11월 11일 캐나다 현충일(Remembrance Day)를 앞두고 공적인 자리에 출입하는 캐나다인들은 대부분 가슴에 ‘파피(poppy)’를 달고 있다. 파피는 널리 알려진 대로 1차대전에 참전했다 숨진 병사들의 무덤 위에 자라난 양귀비꽃으로, 이것을 달고 다닌다는 것은 그들의...
대학 졸업생들의 목소리 BC주 대학 졸업생 4분의1 전공선택 후회
2007년이 저물어가며 내년도 1월 학기 대학진학 접수기간이 다가오는 요즘, 출처를 알 수 없는 소문들이 학생 및 학부모들의 마음을 졸이게 한다. ‘어느 학교
 1421  1422  1423  1424  1425  1426  1427  1428  1429  1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