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세계 경제와 캐나다 부동산 시장(2)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7-12-03 00:00

집값 하락에 따른 ‘역부의 효과(reverse wealth effect)’는 소비심리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아니다. 미국에서는 자택보증대출이 유행으로 자기집을 보증 잡아 돈을 꾸는데, 많은 사람들이 이런 형태로 돈을 빌려 아파트 등 다른 형태의 부동산에 투자를 했다. 계속 집값이 오르고 있어서 집값이 오른 만큼 쓸 수 있는 한도가 늘어나는 대출로 투자한 타 부동산도 올라가니 미국의 무역적자나 재정적자가 웬만한 후진국 저리 가라 할 정도로 엉망인데도 불구하고 경제는 잘 돌아갔고 소비는 왕성했다.

그런데 집값이 내리면 바로 은행에 빚을 갚아야 하지만 하락하는 부동산 시장에서 현찰을 마련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갚지 못하면 집을 압류당하니 투자 부동산을 헐값으로 덤핑하며 이는 모든 부동산의 가격 하락을 촉진시키는 악영향을 끼친다. 압류 당하는 집이 올해만 100만 채가 넘을 걸로 본다. 미국 주택 자산가치는 약 25조달러로 보는데 집값이 10%만 내려도 2조5000억달러가 증발한다. 소비는 미국 경제성장에서 70%를 차지하며 현 미국경제 구조상 소비가 둔화되면 경제에 치명적이다. 미국 전체 일자리 중 14% 정도가 주택업종과 관련돼 있어 주택경기 침체로 줄잡아 노동인구 중 100만명이 넘는 사람이 실직을 할 수도 있다. 이건 반드시 미국만의 현상이 아니고 캐나다도 이 함정에 빠질 확률이 낮지 않다.

물론 미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내리면 많은 문제가 해소된다. 금리가 떨어져 소비심리도 회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월가에서 짐승 떼처럼 몰려다니며 금리 인하라는 말만 외쳐대고 로비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으며 일부에서는 기준금리를 연 3.0%까지 인하해야 한다고 우긴다. 하지만 그럴 경우 월가의 증권업은 또 살아나겠지만 문제는 그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수반될 수밖에 없는 지금 석유값 경우처럼 모든 비금융자산의 가격 상승과 더불어 인플레로 나타난다. 이 경우 70년대처럼 17, 18%의 살인적인 두 자리 숫자의 이자율로만 인플레 및 석유, 금 등의 자원가격 조정이 가능하다. 80년대 초반에는 캐나다 모기지도 20% 선으로 올라가 많은 사람들이 집을 잃었으며 이런 현상은 충분히 반복될 수 있다. 어쨌던 이자율이 다시 올라가면 전세계가 불경기의 늪에서 오랫동안 갇혀야 한다.

미국이나 한국 증시가 아직 안 쓰러지는걸 보면 아직 미 중앙은행장인 버냉키 의장에 대한 막연한 짝사랑 같은 믿음, 즉 월가의 로비가 다시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모양인데 버냉키는 결코 그린스펀 같은 사이비 경제학자가 아니다. 계속해 월가와 증권업계는 금리인하 없이는 모든 경제가 죽는다고 아우성치며 로비를 하려 하겠지만 버냉키는 그린스펀과 같은 시장통이 아닌 정통파 학자이며 부동산 및 자원 인플레를 큰 문제로 보는 사람으로 그린스펀의 실수를 반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어쨌던 금리를 인하해도 문제, 안 해도 문제, 즉 ‘Catch 22’이니, 미국의 멍청하고 부패한 경제정책으로 글로벌 경제까지 같이 어려워지며 상대적으로 캐나다화는 강세를 보이지만 그도 잠깐이다. 캐나다 경제는 대미 수출로 먹고 산다. 서부 캐나다 경우 미국의 부동산 붐으로 목재 등 자원 수출로 막대한 이익을 내고 있었으나 캐나다화의 상승과 미국 부동산 경기 몰락은 큰 타격을 주기 시작했다. 하지만 BC주 인구 400만에 대비해 인구 2000만이 넘게 있는 온타리오와 퀘벡이 캐나다 정치판을 좌지우지하기에 이들의 캐나다화 인하 요구를 연방 정부가 받아들여 캐나다화는 95센트 선에 갈 테니 미화를 갖고 있다 하더라도 급하게 처분할 필요는 없다.

미국 덕으로 전세계는 본격적인 불경기에 들어가고 있고 이 현상은 오래 갈 것 같으며 미국 경기의 몰락은 바로 캐나다 경기의 침체를 뜻한다. 경제를 알았던 피에르 엘리엇 트뤼도 전 캐나다 총리는 미국이 재채기를 하면 캐나다는 독감이 걸린다는 표현을 했었다. 캐나다 부동산도 미국 부동산과 같은 길을 안 갈 수가 없다.               -끝-

www.kwangyul.com  
kwangyul.peck@myasset.com

*외부 필자의 글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새로 탄생된 ‘이명박 정부’는 정부명칭을 ‘실용정부’로 할까도 생각했을 정도로 경제를 중심으로 한 실용화 추진을 확고히 하고자 하는 성향을 숨기지 않고 있고, 이것은 선거기간 내내 그들의 원칙이자 대국민 공약으로 내세우면서 기록적인 득표율을 거둬...
미국 부동산시장의 참담함은 마침내 종착점을 향해 달리고 있는 것 같다. 언제나처럼 호황을 구가하리라고 미국 부동산시장은 자신하였지만 미국경제의 불확실성이 계속 이어지면서 ‘비우량 담보 주택시장(서브프라임 모기지)’발 부동산 금융 네트워크는...
BC주 내륙·상업용지 감정가격 급등
BC주 부동산의 감정평가액이 전년대비 16% 상승한 것으로...
집값 하락에 따른 ‘역부의 효과(reverse wealth effect)’는 소비심리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아니다. 미국에서는 자택보증대출이 유행으로 자기집을 보증 잡아 돈을 꾸는데, 많은 사람들이 이런 형태로 돈을 빌려 아파트 등 다른 형태의 부동산에 투자를 했다. 계속...
붕괴하는 미국 부동산 시장이 결국 세계경제를 심각한 불경기(recession)에 빠뜨리고 있다. 영어로 설상가상, 진퇴양난을 ‘Catch 22’라 한다. 짧게 설명 하자면 ‘Catch 22’는 조셉 헬러의 20세기 미국의 최고 문학작품 중 하나로 평가 받는 베스트셀러 소설 제목이다....
캐나다 부동산 경기와 금융위기(하)
캐나다 6대 은행 중 하나인 캐나다은행(National Bank of Canada)이 이번 서브프라임 사태로 불량채권이 된 20억달러어치의 비금융권 보증 채권(non-bank asset backed commercial paper)을 자사 자산으로 구매를 했다. 캐나다은행이 고객의 돈을 이 금융상품에 넣었는데 이...
캐나다 부동산 경기와 금융위기(상)
미국발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가 ‘글로벌한 전염’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번 사태가 캐나다에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한 전문가 기고‘캐나다 부동산 경기와 금융위기’를 2회에 걸쳐 싣는다. 요즘 많은 시간을 보내는 베트남을 떠나...
베트남 증시의 단기 반등 이유는 작년 말부터 올해 초까지 모집된 베트남 주식시장을 투자대상으로 모집된 해외 투자펀드의 모집규모가 대략 30억달러 정도인데, 이 중 20억달러가 아직 투자가 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드래곤, 프루덴샬, 도이치, 쟈캬, 블랙번...
외국에 들어가 사업을 하려면 그 나라의 정치·사회·경제를 이해하여야 하며, 경제 발전은 그 나라의 문화와 역사에서 시작된다. 베트남은 전세계 최남단 유교국가이며 최서단 동북아시아로 정의된다. 동북아시아는 한·중·일 삼국을 일컫는 지명이다. 베트남은...
작년 자유당이 선거에 져 야당이 되자 바로 한국의 동양증권 고문으로 자리를 옮겼다. 캐나다 수도 오타와는 모스크바보다 추울 정도라 캐나다에서 야당하면 정말 춥고 배고프다. 서울을 베이스로 미국, 일본은 물론 북구의 에스토니아, 라트비아부터 중동의 터키...
랭리 단독주택 집값 1년새 20.7% 폭등
 프레이저 밸리 지역의 부동산 가격이 큰 오름세를 기록하며 BC주 부동산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프레이저 밸리 부동산 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3월 프레이저 밸리 지역의 주택 거래량은 총 1743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6% 줄어들었지만 가격은 평균 15%...
바이유, 제3회 부동산 박람회 개최
바이유 리얼티 네트워크(Buyou Realty Network 대표 이상훈)가 오는 27일 밴쿠버 컨벤션 센터에서 제3회 'BC 부동산 박람회'를 개최한다. 특히 이번 행사에는 광역 밴쿠버 각 행정도시의 도시기획 담당자들과 트랜스링크의 교통담당자들이 참석하고 부동산과 관련된 법률,...
광역밴쿠버 집값 25년래 242% 상승
부동산은 역시 최고의 안전투자 상품임이 입증됐다. 24일, 부동산 전문기업 리맥스(re/max)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1981년이후 2006년까지 캐나다 주요지역의 주택가격은 264% 올랐다.  이 회사가 분석한 17개 지역 주택가격 상승률은 240%를 넘는 곳은 7군데에 달했다....
심층취재 / 부동산 개발 열풍의 허상 한국 개발업체, 현지 사정 제대로 파악 못해 한인끼리 시세보다 높게 사고 파는 경우도
첫번째 타워가 건설되고 있는 써리 인피니티 건설현장. 땅으로 돈벌기, 생각보다 쉽지 않다 4~5년 전만 해도 광역밴쿠버에서 집을 구매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그러나 한번 달아오르기 시작한 부동산 열기는 식을 줄 몰랐고, 부동산 시장은 매년...
BC감정평가원 감정가격 22.8% 급등
BC주 부동산 감정평가액이 큰폭으로 상승했다. 2일 BC감정평가원..
2007년도 BC주의 부동산 가치가 2006년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06년의 평가액이 6580억달러였던 것에 비해 2007년 평가액은 8080억달러로 늘어난 것. BC 평가기관은 2일부터 각 부동산의 소유주들에게 재산의 가치를 통고하는 평가서류를 발송했으며,...
최근 세무서(Canada Revenue Agency)의 부동산 매매 차익에 대한 소득세 부과 방법과 경향에 대해 알아봅니다. <편집자주>  일반적으로 부동산 매매 차익에 대해서 캐나다 현행세법은 이를 크게 두 가지 형태로 취급하고 있다(특별한 케이스를 제외하곤 또는...
7월 주택거래량 25.2% 감소... 가격 상승세 지속
7~8월은 BC주 주택시장의 전형적인 휴가철 비수기다. 광역밴쿠버 부동산위원회가 발표한 7월 주택시장 동향보고에 따르면 전체 거래량(2732건)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무려 25.2%가 줄었다. 반면, 주택가격은 유형에 관계없이 두자리수 상승세가 이어졌다....
메이플리지-피트 메도우 등 10-20% 상승 전망
BC 주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1번 고속도로 확장, 캐나다 라인, 에버그린 라인 건...
부동산시장이 계속 호황입니다. 거래량도 많고 부동산가격도 꾸준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특히 신축시장과 재판매시장 모두 캐나다 서부가 가장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1  2  3  4  5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