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소박하고 자연스러운 삶의 소리를 내는 대금연주 모임입니다”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7-12-06 00:00

대금연주 동아리

회원들 앞에서 대금연주를 들려주고 있는 오명근씨. 현재 8명의 회원들이 매주 화요일과 토요일 오후 1시부터 에드먼즈에 위치한 오씨의 집에서 대금을 배우고 있다. 회원들 대부분 초보이므로 음악에 문외한인 사람들도 대금 소릴 듣고 싶은 사람은 차를 마시며 참여해도 환영하고 있다.

밴쿠버 대금연주동아리 모임은 무형문화재 45호 대금산조 이수자 오명근씨가 대(竹)소리를 내는 우리 전통 관악기 중금, 소금, 단소 퉁소와 함께 젓대(箸聲)소리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대금, 소금, 중금, 단소, 퉁소 등 우리 관현악을 배우는 모임이다.

북소리가 원초적인 삶의 소리라면 대금(大琴)은 소박하고 자연스러운 삶의 애환이 서린 소리를 내는 대금은 가슴 속으로 들리는 혼이 깃들어 있다. 시인 백우선은 대금소리를 ‘저리 높고 맑은 대금산조’라는 시에서 대금 소리를 “저리고 시린 가슴, 눌리고 맺힌 가슴, 썩고 문드러진 가슴이 삭고 삭아서 몇 천 년을 또 그런 가슴 만나 울려나는 것일까”라고 노래하고 있다.

이 대금이 우리나라에서 처음 만들어진 기원은 약 1300년 전 신라 신문왕 때 동해 한가운데 갑자기 거북이 머리 같은 모습의 조그만 산이 생겼는데, 그 산 위에 한 개의 대나무가 낮에는 두 개였다가 밤이면 한 개로 합쳐졌고, 이를 신비하게 여긴 신문왕이 그 대나무를 잘라 옆으로 부는 악기로 만든 것이라고 전해져 내려 온다.

그래서 예전에는 이 대금을 불면 "적병이 도망가고 병이 치유되며, 가뭄에는 비가 오고 바다에 거친 파도가 일어날 때는 잔잔해졌기 때문에 국보로 소중하게 여겼다"라고 하여 만파식적(萬波息笛)으로 불렀다고 전한다.

‘밴쿠버 대금연주동아리’를 이끌고 있는 오명근씨는 “대금은 처음에 소리를 잘 내는 것까지 초보자들이 어려워하지만, 이 과정만 잘 견디면 음계가 아닌 아랫단, 중간단, 높은 단으로 이루어진 대금의 음정과 연주법은 아주 쉽다”고 말한다. 또한 정악대금(正樂大?: 풍류대금)과 산조대금(散調大?: 시나위 젓대)으로 나누어져 있고, 쌍골죽 대금, 준쌍골 대금, 황죽 대금(민죽)오죽 대금, 합죽 대금 등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가장 좋은 것은 살이 두껍고 단단하면서도 양쪽 줄기에 홈이 깊이 팬 쌍골죽(雙骨竹)으로 만든 것이라고 한다. 

“정악대금은 명상, 드라마에 삽입되는 연주 등 맑고 청아한 깊이 있는 소리를 내는 것이고, 산조대금을 쉽게 설명하면 우리 민요와 서민적인 음악을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는 대금이죠. 단순한 소리인 듯하지만 대금으로 ‘스와니 강’, ‘기다리는 마음’과 같은 외국 곡, 우리 가곡 무엇이든 연주할 수 있습니다.”

처음 나온 회원들에게 다양한 장르의 연주를 직접 들려주며 대금을 배우기 위해서 먼저 ‘소리를 많이 듣고 그 소리를 즐길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하는 오씨는, 지난 달 자신의 집을 ‘사랑방’ 삼아 ‘밴쿠버 대금연주동아리’를 열었다. 현재 노스밴쿠버, 써리, 밴쿠버에서 찾아 온 8명의 회원들이 오씨에게 대금, 중금, 소금, 단소를 배우고 있다. 모임에서는 대금을 배우는 것 외 따끈한 차를 우려 마시며 명상도 함께 즐긴다. 

회원들 가운데는 우리나라 무형문화재 45호인 대금산조 보유자 ‘죽향 이생강 선생’의 제자이기도 한 오씨의 대금연주를 듣기 위해 오는 사람들도 있다. 그는 “아직은 대금연주가 무엇인지도 모르고 그저 가슴을 저미는 듯한 대금 소리가 좋아서 오는 초급 수준의 실력을 가진 회원들이 대부분”이라며, 따라서 수시로 직접 연주를 들려주며 대금소리의 아름다움을 느껴 친밀함을 갖도록 관심을 기울인다고 한다.

“제가 어렵게 배우고 익힌 것을 저 혼자 가지고 그대로 죽는다면 그건 무형문화재 전수자 이수자로서 본분을 저 버리는 일이지요. 그래서 앞으로 대금 외에도 중금, 소금, 단소, 아쟁과 같은 악기들도 배우고자 하시는 분들만 있으면 모두 가르치려고 합니다. 우리 전통 악기를 대가 끊어지지 않도록 한 명이라도 더 알리라는 의미로 국가에서도 전수자와 이수자를 지정한 것인 만큼, 이제 제가 가진 모든 것을 의무적으로 가르칠 생각입니다. 국악기를 접하지 못한 초보라고 겁내지 마시고 모두 오세요.”

이제 겨울비가 수시로 내리는 밴쿠버의 겨울이 깊어지고 있다. ‘밴쿠버 대금연주동아리’는 단오를 전후 해 채취한 갈대의 속껍질로 청을 넣는 대금의 그 청아하고 깊이 있는 고음과 저음에 취하고 싶은 모든 사람들을 기다리고 있다. 

문의: 778-316-2816
 
이재연 기자 jy@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3명중 1명꼴…사고사 원인 1위는 자살
자연사로는 암, 사고사로는 자살이 BC주민의 생명을 가장 위협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BC주 통계청이 발표한 2005년 사망자 3만33명에 대한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BC주에서 가장 흔한 사망원인은 암(28%)이며 이어 심장질환(22%), 뇌혈관질환(7%) 순으로 나타났다. 사인...
2007년 거래량 사상 두 번째 많아
2007년 메트로 밴쿠버 지역 주택시장은 사상 두 번째 많은 거래량을 기록하는 등 뜨거운 열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밴쿠버부동산협회(REBGV)가 발표한 2007년 주택시장 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거래량은 3만8050건으로 2006년 보다 7.2%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새해 새 각오 2008.01.04 (금)
한 해가 저물고 또 새해를 맞았다. 이 맘때면 누구나 과거는 잊고 새롭게 거듭나려는 각오 하나쯤 가슴에 새긴다. 그 같은 마음으로 지난해 주요 뉴스에 등장한 각계 인사들이 참고할만한 조언을 뽑았다. 글로브 앤 메일과 토론토 스타의 사설은...
불확실성의 시대 2008.01.04 (금)
2008년 새해가 되었습니다. 작년 한해동안 정말 많은 일들이 주위에서 일어났지요.
버나비 시장, BIA 요청에 답장
2일 노스로스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본지 1월 2일자 보도)와 관련해 황승일 변호사는 노스로드상가번영회(BIA) 명의로 노스로드 도로 상 신호등 설치를 이메일로 요구해 버나비 시청으로부터 긍정적인 답장을 받았다고 밝혔다. 황 변호사는 시청에 보낸 이메일을...
밴쿠버에 본사를 둔 해운사 시스팬 코포레이션(Seaspan Corp.)은 한국 삼성중공업에 4520TEU 컨테이너선 5척을 주문하고 계약서에 서명했다고 3일 발표했다. 시스팬사는 한국에서 건조된 컨테이너선을 2010년 9월부터 2011년 11월 사이 인수해 자체 장기계약된 고정운임...
중국계상인협회 중국계 기업 이용 고수
밴쿠버시가 치안지원 정책을 추진하면서 특정 사설경비업체를 이용해야 지역 상인협회에 관련예산을 지원, 차이나타운 상인협회(CBMA)와 마찰을 빚고 있다. 밴쿠버 시의회는 지난해 12월 제네시스 시큐리티사와 독점계약을 통해 이 회사 직원이 밴쿠버 다운타운...
“아! 맛있다” 느낄 수 있는 먹고 싶은 것 마음대로 먹을 수 있는 자유. 자유로울 때는 잘 모른다. 마음대로 먹을 수 없을 때 더
재활용품 분리수거 단일화…정원쓰레기는 지정된 봉투에
써리시가 새해부터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를 단일화하고 정원용 쓰레기 배출시 생물분해성 봉투 사용을 의무화하는 등 쓰레기 수거 서비스를 대폭 변경했다. 또한 새해부터는 IPI(International Paper Industries)가 새로 쓰레기 수거 서비스를 맡게 된다. IPI는 1976년...
메트로 밴쿠버 중산층 거주지역 선호
“이민자들은 인종 문화적 동질성을 가진 선배 이민자들이 자리잡은 지역으로 이사 오는 경향이 있다.” 이 같은 사실은 캐나다 문화부의 예산 지원을 받아 SFU와 UBC 연구진이 공동으로 캐나다 주요 도시의 민족거주지와 상황을 분석한 ‘현장의...
가정의 통해 전문적 치료 주선 임산부 위한 가정의 보조도 확대
주정부가 심각한 정신적 질환을 앓고 있는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정신질환 환자들과 중독자들을 위해 총 800만달러의 예산이 새로 집행되는 이번 프로그램은 커뮤니티 내에서 가정의를 통한 진료가 효과적으로 확충되도록 하는 것이다. 조지...
BC주 그랜트법 2월 1일부터 발효 예정
홀로 일하는 점원을 보호하기 위한 그랜트 법(Grant’s Law)이 오는 2월 1일부터 BC주 전역에 발효된다. 이에 따라 종업원 혼자 밤 10시부터 오전 6시 사이에 영업하는 소매점과 주유소에서는 안전 규정과 판매대금에 대한 지시, 위험상황에 대한 대책을 문서로 마련해...
서해경씨(위슬러)의 안동 찜닭
안동에서 맛있기로 소문난 ‘안동 찜닭’...
2008년 새해를 맞아 Mundy Park 특별 기획 ‘2008 새해맞이 엘핀 레이크(Elfin Lake)’ 산행 행사가 1일 열렸다. 이날 산행에는 밴쿠버한인산우회, MTC(일요등산클럽), 노스쇼어하이커스(NSH), 밴쿠버백팩커스(VBP), 금요산우회에서 활동하는 회원들이 참가했다. 참가자들은...
질병 치료의 숨은 공로자-임상 병리 연구사
평균연봉 7만9225달러…수요 증가 전망  UBC와 BCIT에 전문과정…취업률 높아  환자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일은 환자의 생사가 달려있는 만큼 오진의 제로 확률을 보장하기 위해 최고도로 훈련된 전문 인력이 체계적으로 세분화 되어 포진되어 있다. 환자를...
다시 되짚어 보는 교육이슈
지난 2007년을 돌아보며, 한해를 시작하며 꼭 알고 있어야 할 교육관련 기사와 소식을 교육기사 헤드라인과 중요한 내용의 요약을 통해 되짚어 본다.
수업은 힘들지만 영어 능력 향상에 큰 도움 대학원 진학·취직 시에도 인정 받을 수 있어
캐나다는 올 겨울도 여느 해와 마찬가지로 한국에서 온 어학연수생들로 북적거린다. 더불어 현지에 와있는 유학생들도 이번 겨울만은 꼭 영어를 잡아 보겠다고 결심한다. 그렇게 굳게 다짐을 하고 멀리 외국까지 와있는 이들이지만, 정작 시작부터 어느 학원에...
한국에서 캐나다로 입국하는 많은 사람들은 이민국에서 오랜 시간을 보낸다. 특히 반입해온 김치나, 한국 음식들 때문에 캐나다 공항에서 눈치를 받기도 한다. 캐나다에 입국하는 몇몇 중국인들도 공항에서 이민국의 눈치를 본다. 이민국의 눈치를 보는 중국인...
BC주 내륙·상업용지 감정가격 급등
BC주 부동산의 감정평가액이 전년대비 16% 상승한 것으로...
GST 1%포인트 인하…BC주 65세 정년제 폐지
1월 1일부터 GST(연방소비세)가 1%포인트 인하된다. 인하조치에 따라 BC주에서 상품과 서비스 구입시에 일반적으로 과세되는 세율은 GST 5%, PST(주소비세) 7%
 1411  1412  1413  1414  1415  1416  1417  1418  1419  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