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나한테 맞는 교육환경, 알아보고 결정하자”-대학기관의 규모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7-12-20 00:00

졸업 후 진로에 따라 소규모 대학이 유리할 수도

캐나다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유니버시티 칼리지나 일반 칼리지는 실용적인 교육위주의 고등교육프로그램을 갖춰 많은 고등학교 졸업생들뿐 아니라, 대학을 졸업한 학생들도 공부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유독 한인 사회에서는 칼리지를 한국의 전문대학, 혹은 ‘4년제 대학에 못 미치는 낮은 수준의 교육기관’이라는 색안경을 끼고 보는 경향이 있다. 뿐만 아니라, 각 학교의 교육환경이나 그 장단점을 따져보지 않은 채 대학원 시설을 갖춘 큰 대학들만을 고집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캐나다의 25개 고등교육기관의 졸업생들을 상대로 이루어진 설문조사를 통해, 그 교육환경의 차이를 알아보자.

지난 2006년 캐나다 대학원 설문 컨소시엄(Canadian Undergraduate Survey Consortium)에서는 캐나다 내 25개 고등교육학교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교육환경, 학업성과, 취업, 전반적인 만족도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그 결과를 학교의 크기에 따라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정리했다.

‘그룹 1’은 비교적 학생수가 적고 대학원 과정이 없는 학교들, ‘그룹 2’는 중간 정도의 학생수와 대학원 과정을 갖춘 학교들, ‘그룹 3’은 많은 학생수와 대학원 과정을 갖춘 학교들로 나뉘어졌다.

표1> 학교의 규모에 따른 그룹별 분류

학과별 진학률을 보았을 때, 3개 그룹 전부 전체적으로 비슷한 분포도를 보였다. 특정 학과를 지원하는 학생들이 큰 대학교로 몰린다거나, 반대로 작은 학교로 몰리는 현상은 없는 듯하다. 세 그룹 모두 대부분의 학생들이 4년 프로그램에 등록되어있다고 했지만, ‘그룹 2’가 다른 두 그룹보다 약 20% 높은 81%의 학생들이 4년제 프로그램을 졸업했다고 밝혔다.

학생들 평균 성적 큰 차이 없어

작은 대학교에서는 성적 받기가 더 쉽다거나, 큰 학교들은 학생수가 많아 일부러 학생들을 ‘걸러내기 위해’ 점수를 짜게 준다는 등은 루머에 불과한 듯하다. 이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세 그룹 모두 학생들의 평균 성적이 B+(7점 만점의 GPA 계산법을 기준으로 평균 4.8)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들을 성적순으로 나누었을 때 그 분포도 또한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교로부터 장학금을 받은 학생수는 ‘그룹 1’이 46%로 가장 높았으며 ‘그룹 2’와 ‘그룹 3’은 33%와 31%로 비슷한 수를 보였다.

이를 통해 결론을 지으면 학생의 성적은 어떤 규모의 학교에 가느냐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본인 스스로 얼마나 공부를 열심히 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이다.

표2> 그룹별 대학 소속 학생들의 성적분포 비율

표3> 학교 규모별 캠퍼스내의 학생관련 활동

표4> 학교 규모별 학생들의 대외활동 지원

대학교 규모에 따라 교육 방법 차이

각 대학교 생활에서 접할 수 있었던 교육 방법에 대해서는 비교적 비슷한 결과를 보였지만, 조교의 도움을 받는 부분에서 ‘그룹 1’의 학생들이 가장 낮은 활동을 보였고, ‘그룹 2’는 온라인 설명(instruction) 부분에서 다른 그룹들보다 많은 활동을, 또 ‘그룹 3’는 연구실 경험에서 다른 두 그룹보다 활발한 활동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룹 2’의 졸업생들이 평균 33%로 가장 높은 코업 프로그램(co-op program) 참여도를 보였으며, ‘그룹 3’과 ‘그룹 1’은 각각 25%와 18%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한편, 이런 교육방법들이 자기계발에 끼친 긍정적 영향에 대해서 조사했을 때, ‘그룹 1’의 졸업생들이 정규 수업과 수업 중 토론에 대해 다른 그룹들보다 10%를 웃도는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반면, 실험수업/참여에 대한 만족도는 다른 그룹들보다 1-3% 낮은 결과를 보였다.

자율적인 학업활동/경험 부분에서는 읽기, 에세이 쓰기, 시험, 도서관 자료 수집 등의 면에서는 비슷한 결과를 보였지만, 학부 연구실적, 자가공부(self-directed study)나 코업/인턴십 활동에 있어서는 ‘그룹 1’ 졸업생들이 다른 두 그룹보다 조금 낮은 참여도를 보였다. 그렇지만 흥미롭게도, 연구나 인턴십에 대한 만족도나 그 활동들이 자기계발에 끼친 긍정적인 영향에 있어서는 ‘그룹 1’이 더 높거나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이 결과로 미루어보아, 참여의 기회에는 차이가 있을 지도 모르나 그 질에 있어서는 확연한 차이가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표5> 학교 규모별 학생들을 위한 시설 만족도

캠퍼스 내 학생활동 모두 비슷해

교내 클럽이나 학생회 참여도, 학생관련 서비스 이용 및 참여율은 세 그룹 모두 비슷한 결과를 보였지만 그 만족도는 그룹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해외 교환학생 프로그램은 ‘그룹 3’의 큰 학교들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학교 클럽, 학생회, 동료학생의 가이드 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그룹 1’의 학교들에서 높게 나타났다.

캠퍼스 내 시설에 대한 만족도면에서는 비교적 비슷한 결과를 보였지만, 도서관이나 교내서점 시설에 대해서는 ‘그룹 3’의 큰 학교 졸업생들이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교내 스태프에 대한 만족도는 ‘그룹 1’의 소규모 학교 졸업생들이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김혜인 인턴기자(UBC 4학년) hyein2@hotmail.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밴쿠버 시경 “2월중 5차례 범행”
밴쿠버 시경은 올해 2월7일부터 5차례 이상 택시운전사와 여성을 상대로 강도행각을 벌여온 남성의 사진을 17일 공개하고 시민들의 제보를 부탁했다. 용의자는 7일 이스트 브로드웨이(E. Broadway) 400번지에서 자정 경 귀가중인 여성에게 접근해 말을 걸려고 하다가...
BC주 투자액 감소…13억4800만달러 규모
캐나다 국내 비(非)거주용 건축 투자가 2분기 연속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이는 건축비용 증가가 원인인 것으로 지적됐다. 캐나다 연방통계청은 14일 “비거주용 건축투자 액수가 올 2분기 건축비용 증가로 인해 0.9% 늘어났다”며 그러나 “높아진 건축비와...
음주운전 등 집중 단속
밴쿠버 시경은 2007년 마지막 날인 31일 밤 9시부터 새해 첫날인 1월 1일 오전 5시까지 밴쿠버 다운타운 그랜빌가(Granville St.) 900~1000번지 구간에서 차량통행을 통제한다고 밝혔다. 시경은 술집이 밀집해있는 이 지역에 이날 밤 많은 사람들이 몰릴 것으로 예상돼...
투명교정(Invisalign)
이제 고른 치아와 아름다운 미소는 보편화된 현대인의 희망사항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결과적으로 교정치료
사업자 관련 GST 규정, 국세청 가이드 확인해야 부동산은 계약시점·소유권이전 시기 따라 달라져
신년 1월 1일부터 기존의 GST 6%가 5%로 적용 시행된다. 이는 연방정부가 지난 14일 Bill C-28을 왕실 가를 받아 세법으로 입법됨으로, GST 6% 적용은 2007년 12월 31일까지 하고, 신년 1월 1일부터는 1%포인트 삭감된 5%로 적용하게 되는 좋은 소식이다. 따라서 HST(Harmonized Sales...
이웃을 돕는 사람들(4) 퍼스트 스텝스 설립자 수잔 리치씨 加 한국어 통역관에서 북한 어린이들의 어머니로
지난 2006년 APEC 정상회담 당시 캐나다 스티븐 하퍼 총리와 한국 노무현 대통령의 만남이 있었다. 그보다 훨씬 전인 2001년 2월, 캐나다와 북한의 정식 수교 협정이 있었다.
밴쿠버 시경 주의 촉구
지난 27일 밴쿠버 시내에서 노인 3명이 차에 치어 중상 또는 사망한 사건이 연달아 발생해 밴쿠버 시경이 주의를 촉구했다. 27일 오전 10시 10분경에는 83세 남성이 41가와 던바에서 길을 건너다가 버스에 치어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숨졌다. 오후 2시 30분에는 69세...
웨스트코스트 익스프레스, 주말에도 운행
트랜스링크가 내년 1월 1일부터 버스와 스카이트레인 등 대중교통 요금을 일제히 인상한다. 새로운 요금인상에 따라 1존의 경우 기존 2달러25센트에서 2달러50센트로 25센트 인상되며, 2존과 3존은 각각 50센트가 오른 3달러75센트와 5달러가 된다. 또한 웨스트코스트...
오후 2시30분 잉글리시 베이
1월 1일‘북극곰 수영대회’가 잉글리시 베이(English Bay)에서 열린다. 대회는 오후 2시 30분에 시작하며 참가신청은 당일 오후 12시 30분부터 현장에서도 받는다. 밴쿠버 북극곰 수영(Polar Bear Swim) 대회는 이 클럽 설립자인 피터 팬타지스(Peter Pantages)와 10여명이...
이웃을 돕는 사람들(4) 퍼스트 스텝스 수잔 리치씨 加 한국어 통역관에서 북한 어린이들의 어머니로
지난 2006년 APEC 정상회담 당시 캐나다 스티븐 하퍼 총리와 한국 노무현 대통령의 만남이 있었다. 그보다 훨씬 전인 2001년 2월, 캐나다와 북한의 정식 수교 협정이 있었다. 이처럼 한국과 캐나다의 외교 역사를 새로 쓰는 곳에는 항상 캐나다 정부의 한국어 통역관,...
대지 돈까스
노스로드 한인타운 3번째 집은 ‘대지(DA GI)’돈까스. 정확한 명칭은 포크커틀릿(pork cutlet)이다. 하지만 자장면이 ‘짜장면’일 때 더 맛깔스러운 느낌으로 다가오듯, 돈까스도 ‘포크커틀렛 먹으라 가자~’하는 것보다 ‘돈까스 먹으러 가자’하면 훨씬 침샘에서...
조지씨의 말레이시안 닭고기 카레
뜨끈한 국물이 있는 말레이시안 카레를 만들며...
밴쿠버 인근 백 컨트리도 조심해야
크리스마스 이브인 24일 BC주에서 스노모빌을 타던 두 명을 희생시킨 눈사태에 대한 경고가 내려졌다. 캐나다 눈사태 센터 BC 지부는 “이번 주에 눈사태 발생 위험이 높다”며, 특히 내륙 산악지대를 방문할 계획이 있는 사람들은 안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BC주정부, 친환경 수칙 10가지 발표
BC주정부가 다가오는 2008년에 함께 지켜야 할 10가지 친환경 수칙을 발표했다. 베리 페너 환경부 장관은“모든 BC주 주민들이 친환경적인 마음가짐을 갖고 새해를 맞이하기를 원한다”며, “새해에 지켜야 할 수칙을 세울 때 친환경 실천방안을 함께 고려해...
보트하우스 식당 종업원 보균자 판명
포트무디에 위치한 보트하우스 식당에서 12월 10일, 11일, 14일 오후 4시30분전에 샐러드나 디저트를 주문해 식사한 사람들에게 A형 간염(Hepatitis) 예방접종 권고가 내려졌다. 프레이저 보건청은 이 식당 종업원 중 1명이 A형 간염 보균자로 판명됨에 따라 이 같은...
옷수선점 'Quay Dry Cleaning Depot’ 대표 박경자씨
캐네디언들에게 옷, 가구, 생활용품의 리폼이나 재활용은 지출을 줄이기 위해 수선집을 이용하는 우리 나라 사람들과 약간의 차이가 있다. 이들은 제품에 따라 수선비가 신제품 구입가를 웃도는 직접적인 손실을 감수하면서도, 더 이상 리폼이 불가능할 때까지...
오토 웨스트 BMW 강훈씨
“친절하다는 얘기를 많이 듣는 편입니다.”리치몬드에 위치한 오토 웨스트 BMW 대형 매장에서 한인으로는 유일하게 근무하고 있는 강 훈(사진)씨는 친절을 강조했다. 말로만 친절은 아니다. 자신에게 차를 구입한 고객들뿐만 아니라 다른 딜러로부터 BMW를 구입한...
감기도 울고 가는 설렁탕‘왕가마’
밴쿠버 한인 타운 왕가마하면, 바로 떠오르는 메뉴는 설렁탕과 돌솥밥, 보쌈. 설렁탕은 문을 열기도 전 진을 치고 기다리는 손님이 있을 만큼 워낙 잘 알려진 메뉴이고 보니, 특별히 알려야 할 이유도 없는 탓에 주방에서 짬 나길 기다리다 보니 6개월이 훌쩍...
메리 크리스마스! 2007.12.21 (금)
크리스마스는 역시 어린들에게 가장 즐거운 시간이다. 코퀴틀람 소재 몬테소리 유치원 키즈빌리지(Kidsvillage) 어린이들이 크리스마스를 맞아 산타 할아버지와 즐거운 한때를 보내고 있다.
학생융자 보조금 2년간 2500달러
BC주정부가 보육환경 개선을 위해 유아교육 전공자와 프로그램을 위한 새로운 학생융자 보조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실시한다. 린다 레이드 아동부 장관은 “정부는 유아교육 전공자들에 대한 지원을 통해 보다 질 높은 보육환경을 만들고자 한다”며 “유아교육...
 1411  1412  1413  1414  1415  1416  1417  1418  1419  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