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연말연시, 주변의 이웃을 돌아봅시다-메트로 밴쿠버 푸드뱅크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7-12-20 00:00

굶주린 이들에게 오아시스 역할 매주 2만5000명에게 음식 제공

아이팟, 휴대폰 최신형, 컴퓨터. 이것들은 대부분의 학생들이 크리스마스 때 원하는 것들이다. 하지만 세상 어디를 가나 아이팟은 커녕 밥 한끼 조차 먹지 못하는 사람들이 수두룩하다. 집이 없고 돈이 없어서 강물도 꽁꽁 어는 추운 밤에도 밖에서 매일 밤을 지새야 하는 노숙자 역시 많다. 우리는 두꺼운 잠바를 포함하여 옷을 몇 겹이나 껴입어도 밖에만 나가면 추위에 몸을 떠는데, 가진 것이라곤 얇은 티셔츠밖에 없는 사람들은 어떠할까? 어느 선진국에 가더라도 주위 사람들은 이들한테 너무나도 냉정하다. 밖에 거친 폭풍우나 우박이 쏟아져도 노숙자들의 출입을 허락하는 쇼핑몰, 빌딩 아니면 가게가 있는가?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이 추위에 따뜻한 잠자리는 커녕 밥 한끼도 못 먹는 사람이 있다면 어떨까? 타인이 그런 게 아니라 내가 당장 한끼 식사도 못하는 어려운 상황이라면 어떠할까? 사람을 지탱해주는 영양을 원초적으로 차단당하는 상황을 생각하면 그 상황이 몸서리쳐지도록 무섭기까지 하다. 주거가 안정적인 사람도 필요한 영양을 섭취 못하면 당연히 병들게 되거늘 하물며 불우한 사람들이 겪는 그 고통이란 더욱 클 수 밖에 없다. 그래서 절대 빈곤은 타파되어야 하고 의식주는 기본적인 사람의 권리라고 얘기하는 것일 게다.

굶주림을 비롯한 빈곤 문제는 후진국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세상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중에 하나인 밴쿠버에도 여느 도시와 마찬가지로 빈곤 문제가 없어지지 않고 있다. 거리에서 “I am hungry”라는 푯말을 들고 도움을 요청하는 사람도 있고, 쓰레기통을 뒤지는 사람도 있다. 그런가 하면 아예 굶주림에 추운 길거리에서 움츠린 채 절망하는 사람도 있다.

그나마 이 같은 아픔을 줄이기 위해, 절대 빈곤과 굶주림을 덜어주기 위해 묵묵히 우리 주변에서 열심히 노력하는 단체들이 있어서 다행이다. 그들의 아름다운 노력에서 우리가 사는 이 사회는 아직도 밝은 빛을 잉태하고 있다는 생각을 갖게 된다. 빈곤을 추방하기 위해 발벗고 나선 여러 단체들 중에 특히 우리 눈에 띄는 곳이 있다. 광역 밴쿠버 푸드뱅크(Greater Vancouver Food Bank Society: GVFBS)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어떻게 하면 극빈자들의 굶주림을 줄일 수 있을까 해서 생겨난 단체이다.

GVFBS는 1981년에 밴쿠버에 닥친 불경기 속에서 계속 늘어가는 극빈자를 돕기 위해 생겨난 단체로, 1982년부터 활동을 시작했다. 어언 25년이라는 성년이 되었고 그간에 꾸준히 활동을 해오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그들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은 세월이 흐를수록 많아지고 있다. GVFBS는 캐나다 정부에서 도움을 전혀 받지 않는 독립된 단체로서 회사나 시민들 같이 일반 기부자들의 기부(Donation)를 통해서 운영되고 있다.

현재 총 16개의 음식 보급소가 밴쿠버, 뉴웨스트민스터, 버나비, 그리고 노스쇼어에 퍼져있다. 푸드뱅크가 처음 생겨났을 땐 매주 200명 정도가 음식을 픽업했다고 한다. 하지만 그로부터 25년이 지난 지금은 보급소를 통해 매주 9000명에게 음식을 나눠주는 한편 100개가 넘는 대리점과 단체들에게 음식을 보내주어 이들을 통해 1만6000명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 즉, GVFBS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음식을 제공받고 있는 사람은 매주 총 2만5000명에 달하는 셈이다.

푸드뱅크가 제공하는 음식은 누구나 받을 수 있다. 굶주려 배고픈 사람은 물론 굶주림에 위협을 느끼는 일반인도 누구나 음식혜택을 받을 수는 있다. 하지만 당초 푸드뱅크의 설립취지만큼 되도록 절박한 사람에게 더 많은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즉, 매일같이 음식을 제공하지 않고 오직 일주일에 한번씩 음식을 제공해서 항상 절박한 사람들을 위한 음식을 비축하고 있다. 비록 1주일에 1회씩 음식을 나눠주긴 하지만, 한번 제공할 때마다 3~4일 동안 먹을 수 있을 만한 양의 음식을 주기 때문에 큰 도움이 된다.

푸드뱅크를 통해 지난 한해 동안 제공된 음식은 총 800만 파운드에 달한다. 363만6400kg에 해당하는 엄청난 양이다. 이 모든 음식들이 일반 시민들과 뜻 있는 회사들의 기부에 의해서 모아진 것이다. 같은 시간, 같은 지역 안에서 우리가 더불어 사는 이 사회에서 생활의 기적이 매 순간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이 참으로 감동적이고 세상을 살 맛나게 한다.

어떻게 해서 일반인들이 엄청난 음식을 제공하고 있을까? 그 중에 하나가 푸드뱅크에서 설치한 음식 기부함이다. 밴쿠버 곳곳에 많이 설치되어 있는 기부함을 통해서 십시일반 음식들이 모여든다. 슈퍼마켓, 종교기관, 대형 유통체인 등 우리 주변에 푸드뱅크가 설치되어 있는 만큼 한번쯤 눈 여겨 보면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학교, 일반 단체, 기업 등에서는 매년 겨울과 추수감사절 즈음엔 푸드 드라이브(Food Drive) 행사를 개최해서 여기서 모은 음식을 푸드뱅크에 기증하기도 한다. 이밖에 GVFBS 자체적으로 주최하는 여러 스페셜 이벤트에서도 많은 음식이 모인다.

푸드뱅크에 따르면 음식 기부는 보통 겨울철에 많이 몰린다고 한다. 특히 크리스마스를 전후한 겨울철에 모아지는 식품의 양은 한 해 총량의 80%에 달한다고 한다. 이 말을 다시금 생각해보면 날씨가 따뜻해지는 봄, 여름이 되면 기증자나 기증물량이 눈에 띄게 줄어들고 동시에 자원 봉사자도 많이 준다는 의미이다. 때문에 여름에는 항상 일손과 음식이 딸린다고 한다. 굶주림은 계절과 상관없이 타파되어야 할 고통인 만큼 여름에도 많은 기부자들이 생겨서 계절과 상관없이 꾸준히 도움의 손길이 이어지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란 생각이 든다.

푸드뱅크에 참여하는 방법은 음식을 기부하는 것 외에 현금을 기부하는 방법도 있다. GVF-BS에 따르면 음식보다 현금 기부가 더 도움이 많이 된다고 한다. 그 이유는 푸드뱅크 단체에서도 상당량의 필요한 음식을 매주 사들이는데, 현금이 확보되어 있다면 대량으로 음식을 살 수 있는 만큼 훨씬 싸게 구입해서 더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한다. 한 예로 현재 푸드뱅크가 음식을 구입할 때 지불하는 가격은 시중가격의 1/3 수준이라고 한다. 즉 일반 시민들이 1달러를 기증하면 푸드뱅크는 3달러에 해당하는 음식을 구입해서 어려운 사람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셈이다.

또한 음식 중에는 ‘필요한 음식’이 있기 마련인데 음식기증에만 의존하면 이 ‘필요한 음식’을 확보할 수가 없단다. 때문에 성금기부가 있을 경우에는 이 ‘필요한 음식’을 구입할 수 있어서 훨씬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고 한다. 성금 기부을 희망하는 사람은 인터넷으로 하는 방법, 직접 방문해서 성금을 전달하는 방법, 또는 체크를 우편으로 보내는 방법이 있다. 기부금이 20달러 이상이면 세금공제혜택이 있다. 인터넷으로 기부하고 싶은 사람은 웹사이트 www.foodbank.bc.ca에 자세한 설명이 나와 있다.

한편, 푸드뱅크는 자원봉사자를 많이 모집하고 있다. 독립된 자선단체이다 보니 모든 활동도 자원봉사자의 힘에 의존하고 있다. 음식창고에서는 각종 음식을 분류하는 일, 트럭이나 교통수단을 이용해서 각 보급소에 음식을 전달하는 일, 보급소에서 극빈자에게 음식을 제공하는 일, 사무실에서 각종 서류작업을 하고 행정을 맡아서 하는 일 등 푸드뱅크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이 바로 자원봉사자의 손과 발을 통해서 이뤄진다.

때문에 항상 많은 자원봉사자들을 필요로 하고 있다. 푸드뱅크에서 봉사하고 싶은 사람은 개인이든, 그룹이든 망설이지 말고 직접 GVFBS에 전화를 걸면 된다. 친절하게 여러 가지 일에 대해서 들을 수 있을 것이며 올 겨울 우리의 마음은 더 없이 따뜻한 계절을 맞이할 것이다. 또한 우리의 작은 도움을 통해서 많은 불우한 사람들은 더없이 따뜻한 위안과 훈훈한 정을 간직하게 될 것이다.

홍지연 인턴기자 jiyoun.hong@hotmail.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밴쿠버 시경 “2월중 5차례 범행”
밴쿠버 시경은 올해 2월7일부터 5차례 이상 택시운전사와 여성을 상대로 강도행각을 벌여온 남성의 사진을 17일 공개하고 시민들의 제보를 부탁했다. 용의자는 7일 이스트 브로드웨이(E. Broadway) 400번지에서 자정 경 귀가중인 여성에게 접근해 말을 걸려고 하다가...
BC주 투자액 감소…13억4800만달러 규모
캐나다 국내 비(非)거주용 건축 투자가 2분기 연속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이는 건축비용 증가가 원인인 것으로 지적됐다. 캐나다 연방통계청은 14일 “비거주용 건축투자 액수가 올 2분기 건축비용 증가로 인해 0.9% 늘어났다”며 그러나 “높아진 건축비와...
음주운전 등 집중 단속
밴쿠버 시경은 2007년 마지막 날인 31일 밤 9시부터 새해 첫날인 1월 1일 오전 5시까지 밴쿠버 다운타운 그랜빌가(Granville St.) 900~1000번지 구간에서 차량통행을 통제한다고 밝혔다. 시경은 술집이 밀집해있는 이 지역에 이날 밤 많은 사람들이 몰릴 것으로 예상돼...
투명교정(Invisalign)
이제 고른 치아와 아름다운 미소는 보편화된 현대인의 희망사항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결과적으로 교정치료
사업자 관련 GST 규정, 국세청 가이드 확인해야 부동산은 계약시점·소유권이전 시기 따라 달라져
신년 1월 1일부터 기존의 GST 6%가 5%로 적용 시행된다. 이는 연방정부가 지난 14일 Bill C-28을 왕실 가를 받아 세법으로 입법됨으로, GST 6% 적용은 2007년 12월 31일까지 하고, 신년 1월 1일부터는 1%포인트 삭감된 5%로 적용하게 되는 좋은 소식이다. 따라서 HST(Harmonized Sales...
이웃을 돕는 사람들(4) 퍼스트 스텝스 설립자 수잔 리치씨 加 한국어 통역관에서 북한 어린이들의 어머니로
지난 2006년 APEC 정상회담 당시 캐나다 스티븐 하퍼 총리와 한국 노무현 대통령의 만남이 있었다. 그보다 훨씬 전인 2001년 2월, 캐나다와 북한의 정식 수교 협정이 있었다.
밴쿠버 시경 주의 촉구
지난 27일 밴쿠버 시내에서 노인 3명이 차에 치어 중상 또는 사망한 사건이 연달아 발생해 밴쿠버 시경이 주의를 촉구했다. 27일 오전 10시 10분경에는 83세 남성이 41가와 던바에서 길을 건너다가 버스에 치어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숨졌다. 오후 2시 30분에는 69세...
웨스트코스트 익스프레스, 주말에도 운행
트랜스링크가 내년 1월 1일부터 버스와 스카이트레인 등 대중교통 요금을 일제히 인상한다. 새로운 요금인상에 따라 1존의 경우 기존 2달러25센트에서 2달러50센트로 25센트 인상되며, 2존과 3존은 각각 50센트가 오른 3달러75센트와 5달러가 된다. 또한 웨스트코스트...
오후 2시30분 잉글리시 베이
1월 1일‘북극곰 수영대회’가 잉글리시 베이(English Bay)에서 열린다. 대회는 오후 2시 30분에 시작하며 참가신청은 당일 오후 12시 30분부터 현장에서도 받는다. 밴쿠버 북극곰 수영(Polar Bear Swim) 대회는 이 클럽 설립자인 피터 팬타지스(Peter Pantages)와 10여명이...
이웃을 돕는 사람들(4) 퍼스트 스텝스 수잔 리치씨 加 한국어 통역관에서 북한 어린이들의 어머니로
지난 2006년 APEC 정상회담 당시 캐나다 스티븐 하퍼 총리와 한국 노무현 대통령의 만남이 있었다. 그보다 훨씬 전인 2001년 2월, 캐나다와 북한의 정식 수교 협정이 있었다. 이처럼 한국과 캐나다의 외교 역사를 새로 쓰는 곳에는 항상 캐나다 정부의 한국어 통역관,...
대지 돈까스
노스로드 한인타운 3번째 집은 ‘대지(DA GI)’돈까스. 정확한 명칭은 포크커틀릿(pork cutlet)이다. 하지만 자장면이 ‘짜장면’일 때 더 맛깔스러운 느낌으로 다가오듯, 돈까스도 ‘포크커틀렛 먹으라 가자~’하는 것보다 ‘돈까스 먹으러 가자’하면 훨씬 침샘에서...
조지씨의 말레이시안 닭고기 카레
뜨끈한 국물이 있는 말레이시안 카레를 만들며...
밴쿠버 인근 백 컨트리도 조심해야
크리스마스 이브인 24일 BC주에서 스노모빌을 타던 두 명을 희생시킨 눈사태에 대한 경고가 내려졌다. 캐나다 눈사태 센터 BC 지부는 “이번 주에 눈사태 발생 위험이 높다”며, 특히 내륙 산악지대를 방문할 계획이 있는 사람들은 안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BC주정부, 친환경 수칙 10가지 발표
BC주정부가 다가오는 2008년에 함께 지켜야 할 10가지 친환경 수칙을 발표했다. 베리 페너 환경부 장관은“모든 BC주 주민들이 친환경적인 마음가짐을 갖고 새해를 맞이하기를 원한다”며, “새해에 지켜야 할 수칙을 세울 때 친환경 실천방안을 함께 고려해...
보트하우스 식당 종업원 보균자 판명
포트무디에 위치한 보트하우스 식당에서 12월 10일, 11일, 14일 오후 4시30분전에 샐러드나 디저트를 주문해 식사한 사람들에게 A형 간염(Hepatitis) 예방접종 권고가 내려졌다. 프레이저 보건청은 이 식당 종업원 중 1명이 A형 간염 보균자로 판명됨에 따라 이 같은...
옷수선점 'Quay Dry Cleaning Depot’ 대표 박경자씨
캐네디언들에게 옷, 가구, 생활용품의 리폼이나 재활용은 지출을 줄이기 위해 수선집을 이용하는 우리 나라 사람들과 약간의 차이가 있다. 이들은 제품에 따라 수선비가 신제품 구입가를 웃도는 직접적인 손실을 감수하면서도, 더 이상 리폼이 불가능할 때까지...
오토 웨스트 BMW 강훈씨
“친절하다는 얘기를 많이 듣는 편입니다.”리치몬드에 위치한 오토 웨스트 BMW 대형 매장에서 한인으로는 유일하게 근무하고 있는 강 훈(사진)씨는 친절을 강조했다. 말로만 친절은 아니다. 자신에게 차를 구입한 고객들뿐만 아니라 다른 딜러로부터 BMW를 구입한...
감기도 울고 가는 설렁탕‘왕가마’
밴쿠버 한인 타운 왕가마하면, 바로 떠오르는 메뉴는 설렁탕과 돌솥밥, 보쌈. 설렁탕은 문을 열기도 전 진을 치고 기다리는 손님이 있을 만큼 워낙 잘 알려진 메뉴이고 보니, 특별히 알려야 할 이유도 없는 탓에 주방에서 짬 나길 기다리다 보니 6개월이 훌쩍...
메리 크리스마스! 2007.12.21 (금)
크리스마스는 역시 어린들에게 가장 즐거운 시간이다. 코퀴틀람 소재 몬테소리 유치원 키즈빌리지(Kidsvillage) 어린이들이 크리스마스를 맞아 산타 할아버지와 즐거운 한때를 보내고 있다.
학생융자 보조금 2년간 2500달러
BC주정부가 보육환경 개선을 위해 유아교육 전공자와 프로그램을 위한 새로운 학생융자 보조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실시한다. 린다 레이드 아동부 장관은 “정부는 유아교육 전공자들에 대한 지원을 통해 보다 질 높은 보육환경을 만들고자 한다”며 “유아교육...
 1411  1412  1413  1414  1415  1416  1417  1418  1419  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