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죠”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01-25 00:00

이재연 기자의 ‘창업 네트워크’(21) 새마을떡집 대표 손광진·박동기씨

버나비 킹스웨이에서 ‘새마을 떡집’을 운영하고 있는 손광진씨와 박동기씨는 한국에서 떡 만드는 기술을 익히고 돌아와 지난해 7월 이 집을 인수했다. 웰빙 열풍과 함께 제빵시장을 넘보는 수준으로 그 규모가 커진 한국에 비해 밴쿠버에서는, 그 수요가 적은 편이라 현재 운영되고 있는 떡집은 4곳 남짓. 다른 업종에 비해 많은 편이 아니라 경쟁도 그만큼 치열하지 않은 장점이 이는 반면, 그만큼 수요도 적은 편이다. 그러나 교민들 사이에서 ‘맛있다’는 소문이 나면서 개업 6개월 만에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할 만큼 주문이 밀려들고 있는 새마을 떡집 손광진·박동기씨의 창업 이야기.

■ 떡집의 첫째 조건 체력

“떡집은 체력이 첫째 조건 아닐까요? 평소에는 새벽 4시, 주문이 많은 주말에는 3시에 나와서 준비를 해야 약속한 시간에 모두 배달해 드릴 수가 있어요. 그러다 보니 기술력이 조금 손에 익숙해진 요즘 기술보다 체력이 우선 조건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기운이 부친다는 말이지요. ”

2006년 7월 기존에 운영하고 있던 떡집을 인수해 6개월째 운영하고 있는 손광진씨와 박동기씨. 이민 후 친해진 이웃으로 오래 전부터 형, 동생 하는 사이다.

▲떡집 창업을 염두에 두고 지난해 한국에 나가 떡집에서 일하며 떡 만드는 법과 운영 노하우를 익힌 후 '새마을떡집'을 인수해 창업한 손광진씨(오른쪽)과 박동기씨.

 손광진씨는 미국에서 보트를 수입, 판매하는 사업을 하다가 떡집 창업을 염두에 둔 지난해 한국으로 나가 부산의 ‘종로 떡집’에서 6개월간 떡 만드는 법에서부터 운영 노하우를 익히고 돌아왔다. 겉보기에는 기술력만 익히면 음식점 운영보다 훨씬 쉬울 것 같아 보여, 후배 박동기씨와 의기투합해 떡집을 인수했지만, 인건비가 비싼 이 나라에서는 지출을 줄이기 위해 새벽부터 주인이 직접 무거운 쌀가루와 떡 시루를 옮겨가며 떡을 쪄야 하고, 완성된 떡을 배달하고 나면 오후엔 녹초가 된다. 

■한번 망치면 한 순간 손님을 잃을 수 있어

흔히 떡에 대한 관심이 있는 사람이 떡집 창업을 생각하는 경우, 다른 업종을 생각하는 사람들보다 의욕이 많은 편이다. 이것은 평소 떡을 ‘잘 안다’고 생각하는 착각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요즘 떡은 빵만큼 종류가 다양하고, 멥쌀과 찹쌀, 그리고 혼합하는 비율에 따라 수 백 가지 맛을 낸 떡이 전혀 새로운 이름으로 시중에 등장해 있다. 이전에 접하던 시루떡과 찰떡, 가래떡, 인절미 등 일반적인 떡만 생각하고 떡에 대한 공부를 소홀히 하고 덤비는 경우, 창업 후 십중팔구 1년을 넘기지 못한다.

“떡집은 몸은 힘들어도 장사가 잘 된다더라는 소문만 믿고, 막연한 욕심에 시작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아요. 체력이 뒷받침되어야 할 만큼 소모가 많은 건 사실이지만, 힘만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행사에 따라 또 연령에 따라 떡의 종류와 다른 맛을 끊임없이 개발해 내놓아야 합니다. 그러려면 떡 관련 책을 뒤지며 많은 연구가 필요하죠.”

박동기씨는 떡은 음식처럼 조미료나 향신료가 가미 되어 맛을 내는 것이 아니라, 멥쌀과 찹쌀만 사용해 맛을 내야 하므로 쌀의 배합과 소금간에 맛의 포인트가 달려 있다고 한다. 따라서 요리처럼 적성에 맞지 않으면 이 부분을 놓칠 위험이 크다는 것.

어떤 면에서는 음식보다 더 예리한 고객들의 입맛을 잘 파악해야 한다. 조금만 짜거나 달거나, 씹었을 때 떡의 질감이 정확한 제 맛을 내지 못하면 금세 고객이 끊어질 위험이 있다. 따라서 떡집은 내구성 제품과 달리 한 순간 빠른 속도로 손님을 얻을 수도 있고, 반대로 잃어버릴 수도 있는 특수성을 가진 업종에 속한다.
 
■떡 만드는 기술

창업을 생각하는 사람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문제가 바로 이 기술력이다. 떡집도 예외가 될 수 없다. 그러나 요즘 떡집은 기계로 공장화되어 기술력보다 기계력이 떡집의 힘이고 경쟁력이라고 볼 수도 있다.

예전처럼 대단한 기술력을 필요로 하진 않는다. 옛날식으로 떡을 만든다고 광고하는 집들도, 정말 옛날 방법처럼 시루떡을 옹기에 시루번을 둘러 쪄낼 수 없고, 인절미를 떡메로 쳐서 손으로 만들지는 않는다. 
따라서 떡집의 기술력은 기계를 작동하는 법이 첫째. 그 다음 떡 만드는 순서와 일반적인 방법이 아니라 노하우를 말한다. 이 노하우를 다시 응용해 ‘나만의 노하우’를 만드는 것이 최종 떡집의 기술력이라고 말할 수 있다.

“떡집 주인들은 누구나 돈 버는 건 나중이고 내가 만든 떡이 손님들에게서 ‘맛있다’는 말을 듣고 싶다는 소박한 꿈을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저희처럼 인수를 받은 경우엔 이전 주인의 손끝 하나의 흐름에 노하우가 담겨 있죠. 하지만 노하우란 배워서 되는 게 아니라 배운 다음 직접 해보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익혀지는 것이므로 마음을 비웠더니 어렵지 않았습니다.”

■6개월 이상 떡집에 취업, 일을 배워야

떡은 한번 망치면 쌀을 다시 담가 불리고 빻아서 쪄야 하는 시간이 길어, 그 시간에 독촉하는 고객들의 전화에 신뢰감을 잃을 수도 있다. 이것은 떡마다 특성과 자주 실수 할 수 있는 문제점, 핵심 및 노하우를 꼼꼼히 체크하지 않아 생기는 일이다.

“일반적으로 떡 만드는 순서만 익힌 경우 이런 문제가 생기죠. 불을 세게 한다고 원래 맛을 가진 떡을 시간 단축해서 만들어 낼 수 없는 게 이 떡입니다. 이를 무시하고 불을 높이면 설익거나 맛이 변해버려 실패합니다. 성질이 아무리 급해도 떡을 만들 때는 반드시 지켜야 할 순서와 반드시 기다려야 하는 소요 시간이 있으므로 창업을 하기 전 떡집에서 일을 해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박동기씨도 부산의 떡집에서 일을 배웠다. 이곳에서 떡 만드는 기술보다 먼저 떡집에서 이루어지는 허드렛일과 보이지 않는 부분을 먼저 익혔다. 
 
 ■시설일체와 거래처인수 안정적인 매출

손광진씨와 박동기씨가 약 4000평방피트 1, 2층 공장을 인수하는데 들어간 비용은 20만달러. 인수 후 보일러를 약간 손본 것 외 추가비용이 들지 않아 비교적 수월하게 창업했다.

시설은 대형 냉동고와 냉장고, 쌀가루를 빻는 분쇄기와 떡 찌는 시루 등 일체의 장비와 도구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밖에 거래처를 모두 인수해 고정고객도 많이 있어, 처음부터 안정적인 매출을 유지하고 있다.

올해는 새로운 메뉴를 개발하고, 디자인과 포장에도 신경을 쓴 상품으로 이 나라 사람들도 공략해 볼 생각이다.

이재연 기자 jy@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