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지금은 경매 부동산이다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01-28 00:00

미국 발 서브프라임 부실에 관한 경제시장의 어두운 현재의 상황은 그 누구라서 모르겠는가? 정말 세상은 이렇게 좁아지고 글로벌 시장화가 완성된 세상에 깊숙이 들어와 있다는 현실이 두렵기만 하다.

일국(一國)의 경제상황이 부실화됨으로써 그 여파가 전 세계적으로 파급되는 이런 상황은 자국경제의 건실화만이 살길인 그런 경제적 구조를 갖기에는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요즘 세계경제의 암운을 드리우는 요소 중에 고개가 끄덕거릴 에너지자원의 위기라든가, 곡물시장의 급등, 자본재 국제시장의 가격급등, 외환(外換) 유동성의 위험가중, 역외 거래 결제수단의 실종, 개발도상국의 고용시장의 불안정 등은 그런대로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도미노(domino) 요소가 있다고 볼 수는 있지만 어느 한 국가의 자국 내 부동산 금융시스템의 부실이 전 세계 적인 금융시스템의 불안정으로 오는 그런 시대라는 것이 가당한 일이겠는가?

예상하기 어려웠던 경제적 이데올로기의 시대에 우리는 급속히 지배받는 시대로 들어왔음을 인정해야 하는 것이다. 경제적 자유화와 금융시스템의 국제적 호환시스템이 세계인의 각자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의 상태까지 도래했다고 이젠 인정해야 하는 시대라고 봐야 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에 앉아있어도 미국 어느 도시의 부동산시장의 현황을 그리 몰라라 할 수만은 없다는 말이 된다.

요즘 한국에선 임기가 얼마 남지 않은 노무현정부의 지속적인 부동산시장의 견제로 말미암아 자본투자는 대부분 주식시장을 선호하고 있는 가운데 그 전날 뉴스에서 나오는 미국 주식시장의 거래성적표가 그대로 태평양 넘어 한국의 주식시장에 거의 100% 반영되고 있는 사정이고 보면 안방 장롱 속 묻어둔 돈 빼내어 여의도 증권시장을 향해 던지면 이 돈의 생명을 뉴욕의 주식시장 흐름에 따라 울고 웃고 하는 동시간대(同時間帶)의 투자시장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부동산시장도 예외는 아니라서, 미국의 부동산시장이 힘을 잃고 있는 현재, 정도의 차이겠지만 세계 각국도 부동산시장이 하락하고 있음은 매우 부정적인 세계화라고 말할 수 있는 부분일 것이다.

일본만 보더라도 10여 년의 장기침체국면에서 2년 전부터 고용시장을 비롯하여 제조, 금융시장이 기지개를 펴는 듯 하였고 실제 선행 경제지표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물론 부동산시장도 레저, 상업, 업무, 건설시장이 활발한 움직임을 보여 왔으나 최근 들어, 미국 발 경제적 충격은 여지없이 부정적 예측지수가 나오고 있는 실정이고, 유럽 각국의 부동산시장도 열기가 가라앉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특이하게도 캐나다 시장만큼은 건실한 안정을 보이고 있는 것이 다소 의외라 할 수 있겠다. 

이런 가운데, 미국 내 헤지펀드들은 부동산 경매시장에서 막대한 차익실현을 거두고 있음은 매우 의미가 깊다 할 수 있다. 미국의 경매시장은 금융비 부담증가로 대출상환 능력이 떨어진 물건들이 쌓이면서 매우 매력적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으나, 경매부동산을 구매할 시 전액 현금으로 구매해야 하는 제도장치로 말미암아 개인이 투자하는 한계성을 보이고 있는 것이 단점이긴 하나, 매우 투자이익실현을 높게 할 수 있는 기회의 시장이라고 판단하는 것이다.

바꿔 말하면, 한국에서 미국 부동산구입을 바라는 부동산투자자가 쉽게 생각해볼 ‘Chance Fund Market’ 인 것이다. 2005년부터 미국 부동산 부실화를 예측하여 경매부동산에 집중 투자한 뉴욕의 펀드매니저 존 폴슨은 무려 투자대비 590%의 경이로운 이익률을 만들어 낸 것이다.

한국의 부동산경매시장도 정부의 부동산 시장 압박정책으로 경매 부동산시장이 점차 주목 받고 있으며, 실제 경매시장에선 매우 경쟁이 높아지고 있음을 보면 동물적 투자 감각을 지니고 있는 한국의 부동산 투자에 관심을 갖고 있는 일반인들의 안목은 매우 훌륭하다고 판단된다. 특히, 부동산시장에 대한 그 동안의 규제정책을 완화할 것이 분명한 이명박 정부의 출범은 앞으로 부동산시장의 전망을 매우 뚜렷하게 판단할 수 있는 최적의 판단근거로 보여 지고 있어 최근 들어 경매부동산의 낙찰률(경매에 참가하여 구매한 실적)이 87%이상을 기록한 점은 긍정적 신호라고 봐야 할 것이다.

최근 들어서는 해외교포들도 한국의 경매부동산에 대한 관심과 의욕이 높아지고 있어 해외 교민들도 매우 주목해야 할 실현적 부동산 투자시장인 것이다. 다만, 해외 거주자가 국내 경매부동산을 취득하려면 좀더 구체적으로 또는 매우 확실한 태도로 임해야 할 것을 주문하여 본다. 특히, 해외 교민신분으로 경매 부동산을 구입한다 하면 투자할 대상의 부동산을 법률적으로 어떻게 할 것인지(법률해석, 경매부동산의 금융, 취득가능여부) 전문가와의 상담은 필수적임을 지적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한국의 경매부동산의 물건이 법률적으로 매우 민감한 사항들이 필연적으로 얽혀 있기 때문에 이점만큼은 분명히 도움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지금은, 미국이나 한국이나 경매부동산시장을 주목할 때이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얻을 수 있는 에너지보다 생산에 더 많은 에너지 소모 BC주 “에너지 효율성 증대와 사용량 억제가 더 효과적”
고유가 시대와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책으로 캐나다 연방정부는 서부지역 농업부문과 에너지 연구분야 투자를 통해 ‘바이오 연료(biofuel)’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옥수수, 사탕수수, 유채씨(rapeseed)는 바이오 연료의 일종인 에탄올(ethanol) 생산 재료로 활용되고...
절도 행위 기승…잠깐 사이 피해 발생
밴쿠버 국제공항에서 여행객들의 짐을 노리는 절도행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 공항관할 연방경찰(RCMP)이 항공기 이용객과 방문자들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날치기들은 조직화된 범죄집단으로, 공항 이용자들이 잠시 한눈을 파는 사이 가방 등을 훔쳐 달아나고...
주유선불제 1일부터 시행 불이행업소, 내달부터 벌금
BC주 전역에 그랜트법(Grant’s Law)이 1일부터 시행됨에 따라 차량에 주유하기 전에 계산부터 해야 한다. 이때까지 신용카드나 현금카드로 기름값을 계산해온 사람들은 이전과 변화가 없지만, 현금으로 계산해온 사람들은 불편함을 느낄 수도 있다. 가게 안에 들어가...
설날특집 설 상차림 / ‘예랑’ 이경란 원장
2월 7일은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
밴쿠버 시의회, 사용금지안 부결
밴쿠버 시의회는 지난달 31일 플라스틱(비닐)봉투 사용 금지 조례를 부결했다. 팀 스티븐슨 시의원은 “밴쿠버시에서만 플라스틱 봉투 사용을 금지하는 것은 제한적인 조치밖에 안 된다고 판단해 메트로밴쿠버 운영위원회에 사용금지안 검토를 요청하기로...
돈벌이가 아닌, 관심으로 선택해야 하는 직업 ‘변호사’
2년차 평균연봉 7만1740달러 전문 분야별로 수임료 차이 정든 조국을 등지고 캐나다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우리 교민들에게 이민 온 동기를 묻는다면 십중팔구는 자녀 교육 때문이라고 대답할 것이다. 그리고 사랑하는 자녀들이 열심히 공부하여 의사나 변호사,...
BC 한인 RV 동호회
◇ RV차량은 자동차 제조회사로부터 사들인 밴이나 트럭의 자동차 프레임을 RV차로 개조를 하기 때문에 공식화 된 거래가격이 없다. 따라서 RV는 자체 엔진이 있는 자동차형과 트럭에 올리거나 끌고 가는 캐빈형이나 트레일러 형이 있고, 가격은 몇 천달러에서...
‘의료 서비스’ 80% 이상이 긍정적
BC주민들의 응급실 이용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BC주내 총 110개 병원 응급실과 응급치료센터 등을 이용한 사람들을 설문한 2007년 조사는 BC주를 지역별로 담당하고 있는 6개 광역 보건국 모두를 대상으로 했으며, 총 1만6837명의 의견을 수렴했다. 6개의...
BC 주정부 발표
BC주정부가 모든 유치원생(Kindergarten) 어린아이들이 무료 시력검진 테스트를 받도록 하겠다고 발표했다. 고든 캠벨 주수상은 31일 “어린이들은 많은 것을 보고 배운다”며 “조기 시력검사를 통해 눈의 건강을 점검하는 것은 앞으로의 배움을 위해 매우...
상품 절도 가장 심각… 지불 사기·직원 절도도 빈번
중소규모 가게를 대상으로 한 상품 절도 문제가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설문조사결과 BC주내 중소규모 소매점 중 지난 12개월 사이 범죄 피해를 입은 상점은 무려 87%로 집계됐다. 범죄피해가 없는 사업체는 10곳 중 1곳 꼴에 불과했다....
시선을 세계로 넓혀 이웃을 바라보자
◇ 어린이 인권운동가로 활동하고 있는 크레이그 키엘버그씨가 24일 SFU 하버센터에서 열린 '세계를 생각하자' 행사에서 강연을 하고 있다. 지난 24일 SFU 하버센터 플레처 챌린지 극장(Fletcher Challenge Theatre)에서 ‘Thinking of the World’라는 새로운 테마로 ‘SFU 월드...
中 조기유학 열풍의 선두주자 대련 풍엽 국제학교 BC주 고등학교 졸업장 받을 수 있어
◇ 중국 대련에 위치한 대련 풍엽 국제학교의 고등학교 건물. 최근 한국에는 캐나다 조기유학 열풍의 뒤를 이어 중국 조기유학 열풍이 가세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 조기유학 열풍 한 가운데에는 중국 대련에 위치한 ‘대련 풍엽 국제학교’가 있다. 대련 풍엽...
여름방학 이용 파트타임 취업 학생대출과 장학금 제도 활용
고등학교 12학년 과정을 끝마칠 즈음, 대학교에 원서를 내고 대학 생활을 꿈꾸는 시간은 굉장히 행복하다. 그러나 대학에 들어가 공부하고 생활하기 위해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 것은 졸업생들에게 닥치는 새로운 문제이다. 한인 학생들 사이에서는 부모들이 대학...
여행과 일을 함께 할 수 있는 SWAP, 加 학생들에게 인기 만 18~35세 캐나다인 전세계 13개국 중 선택 할 수 있어
캐나다 대학생과 젊은이들이 방학 중이나 1~2학기를 쉬면서 해외에서 돈도 벌고 여행도 할 수 있는 스왑(SWAP) 프로그램은 귀중한 인생경험과 해외문화체험을 주고 있다. 해외에서 일을 하면서
밴쿠버 교육청 폐교 검토에 학부모·주민 강력 반발
밴쿠버 교육청(VSB)이 UBC내 신규학교 건립 재원 확보를...
버나비 청소년 폭행사건 ‘충격’
충격적인 청소년 폭행사건이 밴쿠버에 이어 버나비에서도 발생했다. 버나비 연방경찰(RCMP)은 28일 밤 10시경 카리부(Cariboo) 고등학교 인근 16애비뉴를 걸어가던 뉴웨스트민스터 거주 18세 남자 청소년이 다른 4명으로부터 폭행을 당해 중상을 입었다고 발표했다....
6개국 가구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교 BC 3대 도시‘내집 장만 어려운 지역’
디모그라피아(Demographia)사가 국제 주택보유비용(Housing Affordability) 조사를 통해 6개국 227개 지역의 주택시장을 비교한 결과 BC주 3대 도시의 주택구입비용이 매우 높은 편이며 지역 평균소득에 비해서도 지나치게 높다는 지적이 나왔다. 디모그라피아사는 캐나다,...
BC페리, 올 가을 4대 매각 예정
BC페리(BC Ferries)는 신형 코스탈 클래스 페리 3대를 올해 도입함에 따라 구형 페리 4대를 올해 가을에 매각할 방침이라고 30일 발표했다. 매각대상은 퀸 오브 트와슨, 이퀴말트, 사니치, 밴쿠버호 4대로 건조된 지 45년에서 48년 된 페리들이다. BC페리는 구매...
“최소한 1년반 동안 10차례 이상 범행”
써리 연방경찰(RCMP)은 킹조지 하이웨이 인근에서 연쇄 은행강도 행각을 벌이고 있는 남성 용의자의 사진을 공개하며 일반에 제보를 부탁했다. 용의자는 과거 1년6개월 동안 최소한 10차례 이상 은행 강도행각을 벌였다. 가장 최근에는 28일 킹조지하이웨이 7100번지에...
28일에 이어 29일 밤부터 30일 오전까지 메트로 밴쿠버 지역에 또 한차례 많은 눈이 내려 곳곳에서 차량 사고가 잇따랐다. 스카이트레인과 버스 등을 이용해 출근길에 오른 시민들은 운행 지연으로 큰 불편을 겪었다. 미션과 메이플리지의 모든 공립학교는 30일...
 1411  1412  1413  1414  1415  1416  1417  1418  1419  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