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시선을 ‘나’에서 ‘우리’로 확대하자-Free the Children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02-21 00:00

전세계 불우 어린이 돕는‘Free the Children’ 1995년 12세 소년이 설립… 세계적 자선단체로 성장

◇ 세계 각국의 어린이들이 손을 마주잡고 하나가 되어있다.

매일 배불리 먹고 따듯한 이불 속에서 자며 입을 옷이 수십 벌이나 되는 우리와는 정반대로 아프리카를 비롯한 여러 빈곤국가들의 시민들은 당장 먹을 것도 없이 굶주리며 마실 물도 없어 목이 타 들어가는 절박한 삶을 살고 있다. 이 사람들이 얼마나 힘든 삶을 사는지는 영화나 인터넷 등 여러 매체를 통해 어렴풋이라도 알고 있을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안타까운 이야기들을 들으면 안쓰러워 하며 도와주고 싶다는 생각을 갖지만 정작 행동으로 옮겨 도와주는 사람은 적다. 그런데, 이들의 삶을 본 후 분노하며 무조건 돕겠다고 자리를 박차고 일어난 한 아이가 있었다. 그의 이름은 크레이그 키엘버그(Craig Kielburger), ‘Top 20 Under 20’ 상도 받은 적이 있는 ‘Free the Children’ 이라는 어린이자선단체의 회장이다.

1995년, 이른 아침부터 토론토 스타지의 만화 코너를 찾던 12살짜리 크레이그는 한 기사에 사로잡혔다. 그것은 바로 4살 때 카펫 공장에 팔려가 매일 12시간 동안 자그마한 매듭만 짓고 살던 12살짜리 파키스탄 남자아이에 대한 기사였다. 그 기사는 공장에서 운 좋게 도망쳐 아동학대의 실체를 폭로하며 세상을 술렁이게 만든 남자아이가 가족과 상봉한 후 얼마 되지 않아 살해당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같은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너무나도 다른 삶을 살고 있는 그 아이의 이야기를 읽고 크레이그는 분노를 느꼈다. 그 당시 아동학대란 단어조차 들어본 적이 없던 그는 이런 불우한 아이들을 돕겠다는 마음을 굳히고는 반 친구들 몇몇을 불러모았다. 현재 세상에서 가장 큰 교육을 통해 학대 받고 있는 아이들을 도와주는 기관인 ‘Free the Children’은 이렇게 시작됐다.

◇ ‘Free the Children’ 이 지은 학교에서 케냐 어린이들이 공부를 하고 있다.

세계 각국의 아이들을 각종 학대와 노동력 착취로부터 보호하고, 그들에게 할 수 있다는 생각을 심어주기 위해 만들어진 ‘Free the Children’은 지난 12년간 수백, 수천만 명의 청소년들에게 깊은 영감을 주었다.

무서울 정도로 빠르게 퍼진 이 네트워크는 현재 45개가 넘는 국가에서 활동하며 무려 100만 명 이상의 청소년이 가입돼 있다. 이 기관의 관리자나 사무실에서 일하는 직원들도 거의 모두가 학생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어른은 몇 안 된다고 한다. 또한, 기관 자금의 70% 이상이 세계 각국에서 학생들이 애써 모은 돈이며, 지금까지 여러 개도국에 500개가 넘는 학교를 지었다고 한다. 이를 통해 매일 5만 명이 넘는 학생들이 꿈에 그리기만 했던 교육을 받는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아프리카, 아시아 그리고 라틴 아메리카에 있는 수많은 여성들과 그들의 가족들을 도왔는데, 그 수가 무려 3만 명이 넘는다. 그뿐만이 아니다. ‘Free the Children’에서는 꾸준히 후진국에 의료품을 전달하고 있어 현재까지는 1500만달러 이상을 소비했다고 한다.

12살 꼬마들의 모임으로 시작된 이 그룹이 도대체 어떻게 몇 년 만에 세계적인 단체로 성장할 수 있었을까?
그건 바로 아이들의 순수한 노력과 자신들의 힘으로 세계를 바꾸고야 말겠다는 강력한 의지였다. ‘Free the Children’이 만들어진 지 일년 후에, 설립자 크레이그는 진상을 조사하러 동남아시아로 직접 배낭을 메고 떠났다. 그리고 인도의 델리에서 맘을 굳게 먹고 기자회견을 가졌다. 이때 크레이그는 학대 받고 있는 아이들의 목소리와 이야기에 관심을 가져달라고 촉구했다.

이 일을 계기로 세계각국에 수많은 지지자가 생겨났고, 오늘날까지도 그의 활발한 활동과 많은 후원자들 덕분에 ‘Free the Children’ 은 생긴지 몇 년도 되지 않아 전 세계가 인정하는 단체로 성장했다. 이 네트워크는 3년 만에 루즈벨트 자유상(Roosevelt Freedom Medal)을 받았으며 수 차례 노벨 평화상 후보에 올랐다. 또한, 2006년에는 ‘어린이 노벨상’ 이라고 불리는 ‘World Children’s Prize’를 수상하는 등 세계적인 상도 여러 번 받은바 있다.

어린이들로 구성된 이 기관이 12년이라는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많은 기금을 마련할 수 있었던 방법은 바로 세계 곳곳에서 아이들이 수시로 열어 온 자그마한 모금 행사들 덕분이었다. 대표적인 행사로 ‘Adopt a Village’라는 캠페인이 있는데 이 프로젝트는 이름 그대로 자그마한 마을 하나를 돕는 것이다. 이 캠페인에는 교육(학교 만들기), 물과 위생(우물과 위생설비 만들기), 건강(의료품 공급), 그리고 수입(소, 재봉틀같이 수입에 도움을 주는 물자 공급) 등 4가지로 나뉘어져 있다. 학생들은 여러 기금모금 행사들을 통해 불우한 사람들의 삶을 바꿔나갈 수가 있다.

또한, 매년 3월 1일 열리는 재미있는 캠페인이 하나 있는데, 바로 침묵 서약(Vow of Silence)이다. 이 캠페인에 참여하는 수많은 학생들은 하룻동안 말을 하지 않고 지낸다. 세계 각국의 아이들은 거의 항상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지 못하며, 모두 그들의 의견을 무시해버린다. 즉, 수많은 아이들은 목소리가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인데, 이 행사는 바로 이들을 위하여 열리는 것이다.

때로 우리들은, 우리가 서있는 자리가 얼마나 행복하고 운 좋은 자리인지를 잊고 살 때가 있다. 심지어 집, 음식, 옷들이 넘치게 주어지고 있는데도 자신이 제일 불행하다고 생각할 때도 있다. 하지만, 이세상에는 하루 1달러 미만의 생활비로 살고 있는 사람이 무려 3억 명이 훨씬 넘는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이 세상 어디에선가 매일 많은 사람들이 굶어 죽어가고 있다는 것도 있지 말자. 그리고 이 세상 어디엔가에서는 어린아이들이 폭력을 당하고, 뼈가 부스러지도록 일하고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이 사람들을 도울 수 있는 것은 그래도 돈의 여유가 조금이라도 남는 우리들이다. 우리모두 주위 사람들보다는 조금 부족하게 살아도, 정말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돕는 것은 어떨까?

홍지연 인턴기자 jiyoun.hong@hotmail.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이것 없이 이전에는 어떻게 살았을까 싶을 정도로 모든 이들에게 필수품이 되어버린 휴대전화기. 자신이 원하는 가격과 시간을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맞춤형 플랜이 나오면서 많은 소비자들은 자기에게 이득이 되고 더 좋아보이는 플랜을 제공하는 회사의...
물리치료비 모금운동...밴쿠버 마라톤 함께 뛰기
박지원씨를 돕기 위한 이색적인 행사가 펼쳐진다. 4월 열리는 밴쿠버 마라톤에 참가해 지원씨의...
연결지점과 종착역 일대 재개발은 불가피
코퀴틀람 시청에서 27일 열린 에버그린 라인 공청회에는...
수익성 악화로 일부 콘도 개발 중단 위기
최근 법정관리에 들어간 밴쿠버 '소피아' 콘도 프로젝트에 이어 밴쿠버 예일타운의 고층 콘도 H&H와 리치몬드의 가든시티(Garden City)도 자금 문제로 공사중단 위기에 처했다. 챈들러 개발 그룹(Chandler Development Group)이 진행하던 H&H와 가든시티 프로젝트는 각각...
동부에선 자유당이 앞서
캐나다 전국 유권자들을 대상으로 연방 정당별 지지율을 조사한 결과 집권 연방 보수당이 제1야당인 자유당을 7%포인트 차이로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정부가 2008/09 예산안을 발표하기에 앞서 실시된 지지율 조사결과, 스티븐 하 퍼총리가 이끄는 집권 보수당...
평양 한복판서 美국가 연주 '진풍경' 뉴욕필 평양 공연 전세계 생중계
’은둔의 왕국’ 북한이 26일 미국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평화의 선율을 받아 들였다. 뉴욕필의 음악감독 겸 상임 지휘자인 로린 마젤이 이끄는 뉴욕필 단원 105명은 이날 오후 6시6분 남북한을 비롯한 전 세계에 TV로 생중계되는 가운데 북한 국가...
萬事分已定(만사분이정)이어늘 浮生空自忙(부생공자망)이니라.(직역) 모든 일은 그 분수가 이미 정해져 있거늘 부질없는 인생이 헛되이 스스로 바쁘기만 하느니라. 출처가 분명치 아니한 이 문장은 어떤 오행시의 일부분일 것이다. 아니면 불가나 도가 사상의...
안녕하세요? 정다연입니다. 캐나다에 살고 계신 교민들과 이렇게 밴쿠버 조선일보를 통해 지면으로나마 만나게 된 것을
국제 부동산시장의 추락과 한국 부동산시장
사실, 미국발 국제 부동산시장의 충격은 마땅한 해결책 없이 혼돈으로 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80년대 전세계는 부동산시장의 붕괴로 말미암아 각국의 경제운영에 엄청난 타격을 받은 바 있었고, 당시에는 각국 부동산시장의 불안정이 세계경제 시장에 크나큰...
바람의 땅 그리고 9일간의 트레킹
감동을 주는 산에는 어떤 구성요소들이 있을까? 우선 완만한 능선과 그 기슭에 만발한 야생화. 또는 에메랄드 빛 호수와 들녘을 감싸며 구비구비 흐르는 강물. 아니면 하늘을 찌를 듯이 솟은 수
쌀, 식료품이 많이 저렴한 마켓-라이스 월드(Rice world)
식품을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주부들의 시장정보는 역시 주부들이 톱! 쌀, 설탕, 간장, 전분, 찹쌀가루, 식용유, 라면 …… ‘라이스
Air Services RCMP 엔지니어 이원석씨
항공 경찰대(Air Services RCMP) 항공정비 엔지니어인 이원석씨는 분당 이메고등학교 2학년 재학 중 밴쿠버로 이민을 왔다. 유학을 오기에도 늦은 감이 있는 시기에 이곳 학교에 입학하고 정규과정을 마친 다음 적극적이고 치밀하게 계획한대로 노력, 언어의 어려움을...
10번째 개인전 여는 원로화가 황택구씨
“예나 지금이나 살아가는 주변의 사람들과 삶, 자연을 소재로 그린 작품들이지요. 캐나다 동부 여행을 갔을 때 찍은 사진들 가운데 등대와 주변 풍경 등을 그렸습니다.” 올해로 7순을 넘긴 원로 한인 미술가 황택구 화백의 제 10회 개인전이 열린다. 밴쿠버...
어제 訪北… 오늘 오후 6시 공연
뉴욕 필하모닉의 평양 공연을 위해 뉴욕 필 단원과 행사요원 등 268명을 실은 아시아나항공 전세기 'OZ 1004'가 25일 오후 3시45분 눈비가 부슬부슬 내리는 가운데 평양 서북쪽 순안공항에 내려 앉았다. 이번 방북단의 규모는 미 방북단으로서는 사상 최대 규모다. 착륙...
"올해를 선진화 원년으로"
대통령은 25일 "우리는 '이념의 시대'를 넘어 '실용의 시대'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광장에서 국내외 귀빈과 일반 국민 등 5만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제17대 대통령 취임식에서 "지난 10년, 더러는 멈칫거리고...
BC주 가정에서 사용되는 언어 무려 146가지
BC주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언어는 무려 146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한국어 사용자는 4만6500명으로, BC에서 6번째(영어 제외)로 많이 쓰이고 있다. 또한 가정에서 오로지 한국어만 사용하는 BC주민은 3만2745명에 달한다. 우리말 사용자 중 3만9400명은...
BC주정부 ‘안티 불링’캠페인
BC주정부는 2월 27일을 괴롭힘에 저항하는 날(Anti-Bullying Day)로 정하고 BC주내 각 학교와 지역사회에서 괴롭힘을 없애기 위한 캠페인을 벌인다고 발표했다. 고든 캠벨 BC주수상은 “누구든 사람과 사람 사이에 괴롭힘이 없어야 한다고 믿는 사람들은 이날 분홍색 옷을...
2번째 범죄인 송환돼
밴쿠버 시경은 범죄인을 고향으로 돌려보내는 ‘콘에어(Con-Air)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방식은 간단하다. 자주 체포되는 범죄인을 시민들로부터 기부 받은 항공 마일리지를 이용해 범죄인이 최초로 형사 기소됐던 지역으로 돌려보내는 것이다. 현재까지...
담배와의 전쟁 2008.02.22 (금)
유엔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주 새로운 금연 규칙을 발표한 이후 캐나다에서도 규정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세계보건기구가 발표한 금연기준은 전세계 179개 회원국들이 의무적으로 지키도록 권고하는‘최소 기준’으로 설정했다....
페스티발 듀 보아 준비하는 조앤 듀마씨 “공존 중요하지만 자기 정체성 잃지 말아야”
프랑스계 캐나다인 이웃이 한인들을 잔치에 초대했다. 오는 3월 1일과 2일 코퀴틀람 맥킨파크에서 열릴 프랑스계 캐나다인 문화축제 ‘페스티발 듀 보아’(Festival du Bois) 준비를 하고 있는 조앤 듀마(executive director·사진)씨는 이번 행사에 한인 이웃들이 많이 와서...
 1401  1402  1403  1404  1405  1406  1407  1408  1409  1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