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국제 부동산시장의 추락과...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02-25 00:00

국제 부동산시장의 추락과 한국 부동산시장

사실, 미국발 국제 부동산시장의 충격은 마땅한 해결책 없이 혼돈으로 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80년대 전세계는 부동산시장의 붕괴로 말미암아 각국의 경제운영에 엄청난 타격을 받은 바 있었고, 당시에는 각국 부동산시장의 불안정이 세계경제 시장에 크나큰 충격으로 영향력을 발휘하진 않았습니다.

물론, 당시의 국제 경제시장 구조와 지금의 국제 경제시장의 구조는 비교도 되지 못할 상태이지만, 여하튼 현재 미국 부동산시장의 불안정성은 미국의 경제전반에 폭넓게 퍼져 나가고 있고, 더구나 미국 부동산 대출시장의 불안정성으로 말미암은 글로벌 금융기업들의 위기는 심각한 국제 금융시장의 시스템상의 위기로 나타나면서 활황을 구가하던 세계 각국의 부동산시장도 침체의 길로 들어서고 있는 것이 현재까지의 사정인 것입니다.

여기에다, 미국이 자국경제의 위기를 타개코자 약(弱) 달러화 정책을 표방하면서 국제 무역시장의 구조도 불안정해가고 있는 것도 주지의 사실이고 보면, 바야흐로, 부동산시장도 국제화 흐름에서 자유롭지 못한 것은 이제 명확한 사실인 것입니다. 또한, 국제 환율의 변화도 국제 금융거래나 국제무역에만 직접적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은 물론이지만, 국제 부동산 거래에 있어서도 가장 중요시되는 유통상의 가치척도로서 엄청난 위력을 발휘하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는 것입니다.

예를 들자면, 캐나다 달러화가 미국의 달러화에 대하여 1:1의 비율기준에서 항상 밑돌면서 유지된 것이 바뀔 수 없는 두 국가 간의 환율상의 구조라고 늘 생각해왔고, 그렇게 양 국가의 환율상의 변화가 생길 것이라고는(미국달러가 약세로 바뀐다든지, 캐나다달러가 지금보다 더 떨어진다든지 등) 상상을 불허하는 고정적인 관념의 사실인 것이었습니다만, 지금 캐나다 화폐기준 미국 달러화는 약세의 범위를 넘어 캐나다 달러대비 미국 달러가치가 1:0.9 정도의 비율로 나타나는 엄청난 상황을 우리는 겪고 있습니다. 이렇다 보니, 그렇지 않아도 NAFTA 체결 이후 캐나다의 유통과 자본시장과 무역시장이 미국에 급속히 예속화되는 상태에서 극도로 미국경제에 의존적이던 캐나다의 자본은 어떠한 방향으로 대 미국시장에 나타날까 라는 숨가쁜 상황을 맞게 된 것입니다.

특히, 캐나다 국민의 미국 직접투자 활동은 힘들게 예측하지 않아도 충분히 활발히 이루어질 것임은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을 것이고, 캐나다시장에 진출한 미국의 개인 및 기업의 투자활동 위축은 얼마간 지속되리라고 볼 수도 있는 사정인 것입니다.

이토록, 환율의 변동이 급박하게 움직이고 있는 지금의 시기에서, 더구나 범 세계 경제시장의 주류인 미국경제의 총체적 불안정성이 나타나는 지금의 상황 속에서 한국의 부동산시장은 과연 어떠한 모습으로 진행될 것인가를 살펴보는 것도 의미가 있다 싶은 것입니다.

최근에 필자는 한국 내에서의 개인 동호인 모임(국제 부동산 전문가 모임:CIP's)을 가진 바 있었는데, 이 모임의 회장(부동산 전문 변호사)께서 꽤 의미 있고 해학이 넘치는 말씀을 하셨습니다. “한국의 부동산시장은 국제 부동산시장의 흐름과는 전혀 상관없이, 국가 권력자의 의지대로 움직이는 것이 사실인데, 현 노무현 대통령이 그토록 부동산시장을 잡아야겠다고 으름장을 놓고, 갖가지 정책을 만들어서 시장을 쥐어짰지만, 지금의 현실을 돌아보라! 지방 혁신도시 만들고, 기업도시 만들고, 행정도시 만들고 하면서 국토전체를 들쑤셔 토지시장 가격을 왕창 올려놓고, 지금은 서울의 부동산시장과 지방의 부동산시장의 격차가 줄었다고 자화자찬하는데, 엄청나게 올라간 서울의 부동산가격이 현 정부의 정책 때문인지 뭔지 몰라도, 지방은 그대로의 가격이고 서울 부동산가격이 몇 천만 원 내려갔다 해서 지방과 서울의 부동산 격차가 줄었다고 하는데 정말 웃기는 사실 아닌가? ”

그렇습니다. 한국의 부동산시장은 국제 부동산가격과 유통의 흐름과는 전혀(?) 상관없이 유지되고 거래되는 독특한 시장구조를 지닌 시장임을 다시금 일깨워준 말입니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처럼 우량 비우량 대출 금융사 별로 구분되고 있질 않지만, 이것이 오히려 부동산 대출 부실화가 특정부분에서 나타나질 않는다 해도 일단 문제가 터진다면 경제전반에 엄청난 부담을 줄 수 있는 구조적인 취약점에 노출되고 있는 것이 한국 부동산시장의 금융상의 미흡함이고, 중소 건설업체의 경영난 심화로 말미암은 줄도산의 위기감은 건설시장의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출의 문제점 등은 현재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시장 안정화 정책에 나타날 수 있는 숨어있는 지뢰밭일 수도 있음은 한국 부동산시장의 허약한 상황인 것입니다.

어떠한 방향제시가 옳다, 그르다를 떠나, 현재 한국 부동산시장의 거래량 급감과 지방 신규 아파트의 미분양 적체현상, 금리시장의 불안정성을 두고 가격의 하락현상보다는 유통을 가로막는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 중에서 부동산 거래규제 완화와 유연한 시장에 대한 주택공급정책의 마련을 두고 차기 대통령의 부동산정책 공약을 기대하는 것은 옳은 것일까, 틀린 것인가? 이것이 한국 부동산시장의 고민인 것입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이것 없이 이전에는 어떻게 살았을까 싶을 정도로 모든 이들에게 필수품이 되어버린 휴대전화기. 자신이 원하는 가격과 시간을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맞춤형 플랜이 나오면서 많은 소비자들은 자기에게 이득이 되고 더 좋아보이는 플랜을 제공하는 회사의...
물리치료비 모금운동...밴쿠버 마라톤 함께 뛰기
박지원씨를 돕기 위한 이색적인 행사가 펼쳐진다. 4월 열리는 밴쿠버 마라톤에 참가해 지원씨의...
연결지점과 종착역 일대 재개발은 불가피
코퀴틀람 시청에서 27일 열린 에버그린 라인 공청회에는...
수익성 악화로 일부 콘도 개발 중단 위기
최근 법정관리에 들어간 밴쿠버 '소피아' 콘도 프로젝트에 이어 밴쿠버 예일타운의 고층 콘도 H&H와 리치몬드의 가든시티(Garden City)도 자금 문제로 공사중단 위기에 처했다. 챈들러 개발 그룹(Chandler Development Group)이 진행하던 H&H와 가든시티 프로젝트는 각각...
동부에선 자유당이 앞서
캐나다 전국 유권자들을 대상으로 연방 정당별 지지율을 조사한 결과 집권 연방 보수당이 제1야당인 자유당을 7%포인트 차이로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정부가 2008/09 예산안을 발표하기에 앞서 실시된 지지율 조사결과, 스티븐 하 퍼총리가 이끄는 집권 보수당...
평양 한복판서 美국가 연주 '진풍경' 뉴욕필 평양 공연 전세계 생중계
’은둔의 왕국’ 북한이 26일 미국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평화의 선율을 받아 들였다. 뉴욕필의 음악감독 겸 상임 지휘자인 로린 마젤이 이끄는 뉴욕필 단원 105명은 이날 오후 6시6분 남북한을 비롯한 전 세계에 TV로 생중계되는 가운데 북한 국가...
萬事分已定(만사분이정)이어늘 浮生空自忙(부생공자망)이니라.(직역) 모든 일은 그 분수가 이미 정해져 있거늘 부질없는 인생이 헛되이 스스로 바쁘기만 하느니라. 출처가 분명치 아니한 이 문장은 어떤 오행시의 일부분일 것이다. 아니면 불가나 도가 사상의...
안녕하세요? 정다연입니다. 캐나다에 살고 계신 교민들과 이렇게 밴쿠버 조선일보를 통해 지면으로나마 만나게 된 것을
국제 부동산시장의 추락과 한국 부동산시장
사실, 미국발 국제 부동산시장의 충격은 마땅한 해결책 없이 혼돈으로 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80년대 전세계는 부동산시장의 붕괴로 말미암아 각국의 경제운영에 엄청난 타격을 받은 바 있었고, 당시에는 각국 부동산시장의 불안정이 세계경제 시장에 크나큰...
바람의 땅 그리고 9일간의 트레킹
감동을 주는 산에는 어떤 구성요소들이 있을까? 우선 완만한 능선과 그 기슭에 만발한 야생화. 또는 에메랄드 빛 호수와 들녘을 감싸며 구비구비 흐르는 강물. 아니면 하늘을 찌를 듯이 솟은 수
쌀, 식료품이 많이 저렴한 마켓-라이스 월드(Rice world)
식품을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주부들의 시장정보는 역시 주부들이 톱! 쌀, 설탕, 간장, 전분, 찹쌀가루, 식용유, 라면 …… ‘라이스
Air Services RCMP 엔지니어 이원석씨
항공 경찰대(Air Services RCMP) 항공정비 엔지니어인 이원석씨는 분당 이메고등학교 2학년 재학 중 밴쿠버로 이민을 왔다. 유학을 오기에도 늦은 감이 있는 시기에 이곳 학교에 입학하고 정규과정을 마친 다음 적극적이고 치밀하게 계획한대로 노력, 언어의 어려움을...
10번째 개인전 여는 원로화가 황택구씨
“예나 지금이나 살아가는 주변의 사람들과 삶, 자연을 소재로 그린 작품들이지요. 캐나다 동부 여행을 갔을 때 찍은 사진들 가운데 등대와 주변 풍경 등을 그렸습니다.” 올해로 7순을 넘긴 원로 한인 미술가 황택구 화백의 제 10회 개인전이 열린다. 밴쿠버...
어제 訪北… 오늘 오후 6시 공연
뉴욕 필하모닉의 평양 공연을 위해 뉴욕 필 단원과 행사요원 등 268명을 실은 아시아나항공 전세기 'OZ 1004'가 25일 오후 3시45분 눈비가 부슬부슬 내리는 가운데 평양 서북쪽 순안공항에 내려 앉았다. 이번 방북단의 규모는 미 방북단으로서는 사상 최대 규모다. 착륙...
"올해를 선진화 원년으로"
대통령은 25일 "우리는 '이념의 시대'를 넘어 '실용의 시대'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광장에서 국내외 귀빈과 일반 국민 등 5만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제17대 대통령 취임식에서 "지난 10년, 더러는 멈칫거리고...
BC주 가정에서 사용되는 언어 무려 146가지
BC주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언어는 무려 146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한국어 사용자는 4만6500명으로, BC에서 6번째(영어 제외)로 많이 쓰이고 있다. 또한 가정에서 오로지 한국어만 사용하는 BC주민은 3만2745명에 달한다. 우리말 사용자 중 3만9400명은...
BC주정부 ‘안티 불링’캠페인
BC주정부는 2월 27일을 괴롭힘에 저항하는 날(Anti-Bullying Day)로 정하고 BC주내 각 학교와 지역사회에서 괴롭힘을 없애기 위한 캠페인을 벌인다고 발표했다. 고든 캠벨 BC주수상은 “누구든 사람과 사람 사이에 괴롭힘이 없어야 한다고 믿는 사람들은 이날 분홍색 옷을...
2번째 범죄인 송환돼
밴쿠버 시경은 범죄인을 고향으로 돌려보내는 ‘콘에어(Con-Air)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방식은 간단하다. 자주 체포되는 범죄인을 시민들로부터 기부 받은 항공 마일리지를 이용해 범죄인이 최초로 형사 기소됐던 지역으로 돌려보내는 것이다. 현재까지...
담배와의 전쟁 2008.02.22 (금)
유엔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주 새로운 금연 규칙을 발표한 이후 캐나다에서도 규정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세계보건기구가 발표한 금연기준은 전세계 179개 회원국들이 의무적으로 지키도록 권고하는‘최소 기준’으로 설정했다....
페스티발 듀 보아 준비하는 조앤 듀마씨 “공존 중요하지만 자기 정체성 잃지 말아야”
프랑스계 캐나다인 이웃이 한인들을 잔치에 초대했다. 오는 3월 1일과 2일 코퀴틀람 맥킨파크에서 열릴 프랑스계 캐나다인 문화축제 ‘페스티발 듀 보아’(Festival du Bois) 준비를 하고 있는 조앤 듀마(executive director·사진)씨는 이번 행사에 한인 이웃들이 많이 와서...
 1401  1402  1403  1404  1405  1406  1407  1408  1409  1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