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밴쿠버에서 드리는 한국 전통 폐백(幣帛)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04-18 00:00

신랑 신부가 양가 어른들께 인사를 드린 다음 결혼 전부터 서로의 집을 오가는 요즘, 결혼식이 끝난 신부가 신랑의 시부모님과 시댁 윗 어른들에게 드리는 첫 인사 폐백(幣帛)의 필요성이 조금은 희석된 감이 있다. 그러나 결혼 후 가족이 된 첫 인사를 소홀히 하지 않아야 한다는 인식에는 큰 변화가 없다. 따라서 예식장에서도 결혼식이 끝난 후 간결하게나마 폐백(幣帛)을 드리고 있다. 하지만 밴쿠버에서는 폐백을 드리고 싶어도 음식마련과 그 절차를 알 수 없어 막막하다. 봄을 맞아 결혼을 앞둔 밴쿠버 신랑신부들을 위해 우리 전통 폐백(幣帛)을 대행해 주고 있는 ‘예랑(이경란 원장)’의 도움으로 살제와 똑 같은 폐백(幣帛) 시연을 했다.

■ 전통 혼례에서 유래한 폐백

◇ 이 사진은 김순옥씨가 만든 폐백 음식.

예전 우리 전통혼례의 절차는 혼담(婚談)이 오가면 먼저 신랑 집에서 신부가 될 집안에 두꺼운 종이에 붓으로 쓴 친필 청혼서를 보낸다. 신부가 될 집안에서 혼인을 허락한다는 허혼서(許婚書)를 보내오면 정혼(定婚), 약혼(約婚)을 하는데, 남자측에서도 여자를 며느리로 맞이 하겠다고 허락하는 절차를 납채(納采)라고 한다. 만약 거절할 경우엔 여자는 청혼서를 되돌려 보내고 남자는 허혼서(許婚書)를 돌려보내면 서로가 없었던 일로 할 수 있었다. 
정혼 후 택일(擇日)은 여자 쪽에서 하게 되는데 이는 혼인 준비의 복잡함이나 생리현상 등으로 합리적인 측면에서 여자 쪽에서 하게 된 것. 택일(擇日) 봉투는 청홍 겹보로 청색이 밖으로 나오게 싸고, 중간부분을 청홍 색실로 나비 매듭으로 묶어 신랑 집으로 보내면 신랑은 다시 예물과 천을 담은 납폐(納幣)를 보낸 후 혼례식을 거행 하게 된다. 혼례는 남자가 여자의 집으로 가서 혼례를 치른 후 신부의 집에서 머물며 좋은 날을 잡아 신부를 대동하고 남자의 집으로 가게 되는데 이 날이 바로 ‘시집가는 날’이다.

◇ 우리 전통폐백 대행을 하고 있는‘예랑’에서 이경란 원장의 진행으로 실제 폐백식(幣帛式)을 시연하고 있다. 결혼식이 끝난 후 시댁 어른들께 첫 인사를 올리고 시댁 가족들과 상견례를 하는 자리인 폐백은 요즘 친정 부모님께도 드리고 있다. 절은 4배가 원칙이지만 간소화 된 결혼 풍토에 맞춰 2배를 드린다.

■ 반가 폐백은 술 대신 차
결혼식이 끝난 후 신부가 신랑의 시부모나 시댁 어른들에게 드리는 첫 인사 폐백(幣帛)의 幣(폐)는 ‘돈 폐’, 백(帛)은 ‘비단 백’을 쓴다. 이는 가장 비싸고 귀한 물건이었던 비단과 돈을 선물하는 마음을 담은 존중과 귀함을 의미한다.
이때 신부의 부모는 대추와 산적, 폐백 엿, 폐백 닭 등 정성껏 마련한 특별한 음식을 마련하는데, 폐백(幣帛)음식의 종류는 지방마다 그리고 집안의 전통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닭이나 육포, 구절판, 대추 고임을 하는 게 대부분이다. 또 술을 곁들이는 대신 예전 반가에서는 차(茶)를 올렸다. 시아버지는 자손 번창을 약속하는 의미로 밤과 대추를 청색 보자기로, 시어머니는 육포를 홍색 보자기에 싸서 잘 봉양하겠다는 마음을 담아 보냈다.  
폐백(幣帛)의 양은 형편에 따라 정성껏 준비하고 오히려 너무 과한 것 보다 적당한 것이 부담이 없고 보기에도 좋다. 준비한 폐백은 다홍겹보에 근봉을 사용하여 끝을 끼워야 한다.

■ ‘예랑’ 폐백의 실제 시연
연지곤지 찍고 빨강 치마, 노랑저고리 위에 활옷을 입고 큰 머리로 장식을 한 신부의 금박 화려한 의상이 눈부셨다. 비취색 한복 위에 관복을 입은 신랑은 사모관대를 쓴 후 발목높이의 목화를 신었다. 전통적인 우리 가락 취타음악에 맞춰 시연 된 폐백식(幣帛式)   모델은 이유진양과 김현민군. 우리 전통혼례 폐백식을 대행하는 ‘예랑’의 이경란 원장과 같은 교회를 다니는 인연으로 시연 모델로 나섰다.
신부는 4배를 드리는 것이 원칙이지만 요즘은 2배를 드리는 폐백식(幣帛式)은 먼저 신랑의 부모와 신랑이 입장하고 수모(도우미)를 대동한 신부가 입장을 했다. 수모는 폐백을 들고 와 올려 놓고, 팽주(차를 우려내는 사람)는 폐백상 앞으로 살며시 나와 차를 우리고 우린 차를 찻잔에 담아 신부의 손을 거쳐 수모가 대신 시아버지께 올린다. 이때 구절판 뚜껑을 열어 상 아래 놓아두고 차 한잔을 더 올린 후, 큰절 2배를 올리게 한 다음 지리에 앉힌 후 한삼을 펼쳐놓는다. 차와 음식을 드신 시아버지가 며느리의 한삼에 던진 대추는 아홉 개. ‘아들 딸 아홉 명을 낳아 행복하라’는 덕담을 내렸다.  다시 시어머니께 1배를 드린 후 신부의 손을 거친 차가 올려졌고, 시어머니는 폐백에 두 손을 올려 ‘다독다독’하며 덕담을 했다. 시어머니의 이 행동은 새 며느리의 모든 흉허물을 덮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 가족들에게는 1배

◇ 절값 주머니.

신부가 폐백을 드리는 동안 신랑은 두 손을 맞 잡은 채 폐백상 왼편에 서 있는다. 시부모님께 드리는 폐백(幣帛)이 끝나면 수모는 폐백 상을 치우고 백부(큰아버지)와 백모(큰어머니), 시누이와 시동생 순서로 시댁식구들을 앉게 하고, 1배로 상견례를 시키면 준비한 폐백 답례 ‘절 값’을 내 놓으며 새로 출발하는 부부를 격려하는 덕담을 한다.
시댁 가족들과 페백이 모두 끝나면 신랑 신부는 함께 ‘잘 살겠다’는 약속의 큰 절 1배를 올리는 것으로 폐백식은 모두 끝난다. 절값으로 내린 현금과 물품은 수모가 정리하여 시어머니께 드리면 시어머니는 신부에게 직접 건넨다. 신부가 시댁에 첫 인사를 드리는 것이 폐백식(幣帛式)이지만 요즘은 친정부모님께도 폐백을 드린다. 
촬영협조: 예랑 (604-584-9652)/ 모델 이유진(신부), 김현민(신랑), 이경희(시어머니), 이금선, 한수경(수모), 이윤희, 정종희(시누이)

이재연 기자 jy@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우수 인력 유치위해… 11월까지 입법안 마련
정부는 30일 인력의 해외 유출을 막고 외국 고급 인력을...
주정부, 7월 탄소세 도입·세율 인하 병행
BC주정부는 올해 7월 1일부터 도입하는 탄소세(Carbon Tax) 세수를 활용해 다른 세금 부담을 낮추겠다고 28일 구체적인 내용을 발표했다. 주정부는 지난 2월 19일 2008/09년도 예산안을 발표하면서 탄소세 도입을 처음으로 예고했다. 캐롤 테일러 재무부 장관은 당시...
연방경찰, 5월 내내 차량단속 캠페인 실시
연방경찰(RCMP)은 BC주내 각 지역에서 ‘위험한 도로 이용자’ 단속 캠페인을 5월 1일부터 30일까지 실시한다. 단속 대상에는 과속을 하거나 양보를 하지 않는 경우, 차량안전거리 유지 실패(tailgating), 감속 후 정차표시 통과(rolling through stop sign), 위험한 차선변경,...
대한항공, 프레디 어워드 수상
대한항공의 상용고객 우대 제도인 스카이패스(skypass) 서비스가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 대한항공은 미국의 항공·호텔 전문지 ‘인사이드 플라이어(Inside Flyer)’가 주관하는 ‘프레디 어워드(Freddie Awards)’에서 2개 부문 1,2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대한항공은...
BC주 5개 학교 가을부터 명칭 달라질 예정 “유니버티시 칼리지 명칭, 더 이상 사용 안해”
BC주정부는 BC주내 칼리지들을 대학교로 승격시키는 내용을 담은 대학법(University Act) 개정안을 29일 머레이 코엘 BC고등교육부장관 명의로 상정했다고 발표했다. 개정안에 따라 다음 학기부터 프레이저 밸리 대학교(UFV), 콴틀란 종합기술대학교(KPU), 밴쿠버 아일랜드...
지난 노무현 정부시절 부동산시장의 여론과 노무현정부의 부동산정책을 놓고 기나긴 시간을 두고 갈등을 겪었던바 있었다. 그 중심에는 정부의 시장에 대한 단기적 대책이 언제나 그러하듯 부동산가격을 잡지는 못하고 뒷북만 치는 꼴로 나타나면서 과연 정부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운동의 필요성을 느끼지만 막상 몸을 움직여서 운동을 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자신보다 몸매가 예쁜 사람을 만나던가
올림픽 최종예선 첫 경기 우루과이에 10대0 승리
6회 연속 올림픽 출전에 도전하는 여자 하키 대표팀이 26일 BC주 빅토리아에서 열린 베이징올림픽 최종 예선 첫 경기를 대승으로 장식했다. 세계 랭킹 9위 한국은 우루과이(27위)를 맞아 전·후반 각각 5골씩 넣으며 10대0으로 이겼다. 전반 9분 이선옥(경주시청)이...
내국인, 국내 ‘외국교육기관’ 입학 문 넓어져
[한국] 한국에 체류 중인 외국인 자녀를 위해 운영되고 있는 외국인 학교(전국 40여 곳)를 졸업하면 내년부터 우리나라의 대학 등 상급학교에 진학할 때 공식 학력으로 인정받게 된다. 한국인 자녀가 외국인 학교에 입학 할 수 있는 자격도 완화된다. 기획재정부는...
흑자 규모 20억7000만달러…주민 1인당 481달러
C주정부의 재정상태가 ‘빈곤’에서 ‘부유’한 상태로...
식품가공·기계·전자는 ‘뜨는 별’ 목재가공·펄프·제지는 ‘지는 별’
제조업이 BC주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단 11%에 불과하지만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하고 있다고 BC주 통계청이 ‘메이드 인 BC’ 보고서를 통해 소개했다. BC주 제조업규모는 2006년 기준 연간 164억달러 가량이다. 사실 BC주는 제조업체의 변방이다. 캐나다 제조업...
북한에 억류됐다 풀려난 김재열 선교사
“선교사로서 현장에서 죽지 못하고 살아 돌아온 것이 오히려 부끄러운 일이지요.” 북한에서 85일간 억류됐다 풀려난 김재열 목사는 구금생활을 “하나님이 주신 긴 휴가”라고 했다. 북한 나진선봉지역에서 의료복음사역을 하던 김재열 목사의 감금소식은 지난...
셀프 세차장 ‘DEWDNEY TRUNK’ 대표 곽준환씨
자동차는 대중교통수단이 많지 않고 이동구간 거리가 긴 편인 밴쿠버에서는 생활 필수품을 지나 또 하나의 작은 가족공간으로 인식하고 있다. 특히 비가 많이 내리는 이곳에서 겨울철 차량 세
알 파치노 주연 스릴러 ‘88 Minutes’
지난 주 개봉되어 박스오피스 4위에 오른 ‘88분(88 Minutes)’와 이번 주말 개봉한 ‘디셉션(Deception)’은 둘 다 범죄 스릴러라는 공통 장르에 속해있다. 알 파치노 주연의 ‘88분’은 저명한 범죄 심리학자가 살해 협박을 받게 되면서 벌어지는 일을 그린 영화다....
김도화씨(버나비 마운틴)의 봄향기 가득한‘쑥 송편’&‘감자치즈구이’
파릇한 쑥을 다듬어 멥쌀 반죽한...
'베란다 정원'은 까다로워… 간편한 '용기 정원' 꾸미기
꽃 피는 이맘때면 사람들은 꿈꾼다. "자투리땅 한 평만 있으면 꽃나무 한번 실컷 심어볼 텐데." 그래서 한때 '베란다 정원'이 유행했다.
24세~ 44세 사이가 가장 이사 많이 해
BC주민 2명중 1명은 2001년부터 2006년 사이 최소한 한 차례 이상 이사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BC주 통계청은 “2006년 5월16일 실시된 인구조사 결과 BC주민 47%에 해당하는 180만명이 5년 전과 다른 주소지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BC주민 5명중 1명(23.4%)은...
C주정부, 재활용 제품 확대
BC주정부는 24일 CFL전구, 온도조절기(thermostats) 등 수은(mercury)이 포함된 제품을 BC주 재활용 규정에 포함시킬 방침이라고 발표했다. 수은이 재활용 규정에 포함되면 수은이 포함된 제품의 제조업체나 판매업체는 2009년까지 재활용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배리 페너...
2009년 가을부터 학위수여 과목 늘려 학생 모집 예정
BC주정부는 프레이저 밸리 유니버시티 칼리지(UCFV)를 프레이저 밸리 종합대학교(UFV)로 한 단계 승격 시키겠다고 21일 발표했다. ◇ 아보츠포드에 있는 프레이저 밸리 유니버시티 칼리지 건물 전경.유니버시티 칼리지(University College)는 대학수준의 과목을...
SFU 써머 캠프 등록 시작 6월 30일부터 두 달간 열려
매년 다양한 분야의 캠프 프로그램으로 유아들을 비롯 초중고등학생들에게 여름방학을 의미있게 보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있는 SFU는 올해도 써머캠프를 개최한다. 올해 써머캠프는 6월 30일을 시작으로 8월 29일까지 두 달간 진행되며 스포츠 프로그램과...
 1391  1392  1393  1394  1395  1396  1397  1398  1399  1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