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밴쿠버에서 드리는 한국 전통 폐백(幣帛)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04-18 00:00

신랑 신부가 양가 어른들께 인사를 드린 다음 결혼 전부터 서로의 집을 오가는 요즘, 결혼식이 끝난 신부가 신랑의 시부모님과 시댁 윗 어른들에게 드리는 첫 인사 폐백(幣帛)의 필요성이 조금은 희석된 감이 있다. 그러나 결혼 후 가족이 된 첫 인사를 소홀히 하지 않아야 한다는 인식에는 큰 변화가 없다. 따라서 예식장에서도 결혼식이 끝난 후 간결하게나마 폐백(幣帛)을 드리고 있다. 하지만 밴쿠버에서는 폐백을 드리고 싶어도 음식마련과 그 절차를 알 수 없어 막막하다. 봄을 맞아 결혼을 앞둔 밴쿠버 신랑신부들을 위해 우리 전통 폐백(幣帛)을 대행해 주고 있는 ‘예랑(이경란 원장)’의 도움으로 살제와 똑 같은 폐백(幣帛) 시연을 했다.

■ 전통 혼례에서 유래한 폐백

◇ 이 사진은 김순옥씨가 만든 폐백 음식.

예전 우리 전통혼례의 절차는 혼담(婚談)이 오가면 먼저 신랑 집에서 신부가 될 집안에 두꺼운 종이에 붓으로 쓴 친필 청혼서를 보낸다. 신부가 될 집안에서 혼인을 허락한다는 허혼서(許婚書)를 보내오면 정혼(定婚), 약혼(約婚)을 하는데, 남자측에서도 여자를 며느리로 맞이 하겠다고 허락하는 절차를 납채(納采)라고 한다. 만약 거절할 경우엔 여자는 청혼서를 되돌려 보내고 남자는 허혼서(許婚書)를 돌려보내면 서로가 없었던 일로 할 수 있었다. 
정혼 후 택일(擇日)은 여자 쪽에서 하게 되는데 이는 혼인 준비의 복잡함이나 생리현상 등으로 합리적인 측면에서 여자 쪽에서 하게 된 것. 택일(擇日) 봉투는 청홍 겹보로 청색이 밖으로 나오게 싸고, 중간부분을 청홍 색실로 나비 매듭으로 묶어 신랑 집으로 보내면 신랑은 다시 예물과 천을 담은 납폐(納幣)를 보낸 후 혼례식을 거행 하게 된다. 혼례는 남자가 여자의 집으로 가서 혼례를 치른 후 신부의 집에서 머물며 좋은 날을 잡아 신부를 대동하고 남자의 집으로 가게 되는데 이 날이 바로 ‘시집가는 날’이다.

◇ 우리 전통폐백 대행을 하고 있는‘예랑’에서 이경란 원장의 진행으로 실제 폐백식(幣帛式)을 시연하고 있다. 결혼식이 끝난 후 시댁 어른들께 첫 인사를 올리고 시댁 가족들과 상견례를 하는 자리인 폐백은 요즘 친정 부모님께도 드리고 있다. 절은 4배가 원칙이지만 간소화 된 결혼 풍토에 맞춰 2배를 드린다.

■ 반가 폐백은 술 대신 차
결혼식이 끝난 후 신부가 신랑의 시부모나 시댁 어른들에게 드리는 첫 인사 폐백(幣帛)의 幣(폐)는 ‘돈 폐’, 백(帛)은 ‘비단 백’을 쓴다. 이는 가장 비싸고 귀한 물건이었던 비단과 돈을 선물하는 마음을 담은 존중과 귀함을 의미한다.
이때 신부의 부모는 대추와 산적, 폐백 엿, 폐백 닭 등 정성껏 마련한 특별한 음식을 마련하는데, 폐백(幣帛)음식의 종류는 지방마다 그리고 집안의 전통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닭이나 육포, 구절판, 대추 고임을 하는 게 대부분이다. 또 술을 곁들이는 대신 예전 반가에서는 차(茶)를 올렸다. 시아버지는 자손 번창을 약속하는 의미로 밤과 대추를 청색 보자기로, 시어머니는 육포를 홍색 보자기에 싸서 잘 봉양하겠다는 마음을 담아 보냈다.  
폐백(幣帛)의 양은 형편에 따라 정성껏 준비하고 오히려 너무 과한 것 보다 적당한 것이 부담이 없고 보기에도 좋다. 준비한 폐백은 다홍겹보에 근봉을 사용하여 끝을 끼워야 한다.

■ ‘예랑’ 폐백의 실제 시연
연지곤지 찍고 빨강 치마, 노랑저고리 위에 활옷을 입고 큰 머리로 장식을 한 신부의 금박 화려한 의상이 눈부셨다. 비취색 한복 위에 관복을 입은 신랑은 사모관대를 쓴 후 발목높이의 목화를 신었다. 전통적인 우리 가락 취타음악에 맞춰 시연 된 폐백식(幣帛式)   모델은 이유진양과 김현민군. 우리 전통혼례 폐백식을 대행하는 ‘예랑’의 이경란 원장과 같은 교회를 다니는 인연으로 시연 모델로 나섰다.
신부는 4배를 드리는 것이 원칙이지만 요즘은 2배를 드리는 폐백식(幣帛式)은 먼저 신랑의 부모와 신랑이 입장하고 수모(도우미)를 대동한 신부가 입장을 했다. 수모는 폐백을 들고 와 올려 놓고, 팽주(차를 우려내는 사람)는 폐백상 앞으로 살며시 나와 차를 우리고 우린 차를 찻잔에 담아 신부의 손을 거쳐 수모가 대신 시아버지께 올린다. 이때 구절판 뚜껑을 열어 상 아래 놓아두고 차 한잔을 더 올린 후, 큰절 2배를 올리게 한 다음 지리에 앉힌 후 한삼을 펼쳐놓는다. 차와 음식을 드신 시아버지가 며느리의 한삼에 던진 대추는 아홉 개. ‘아들 딸 아홉 명을 낳아 행복하라’는 덕담을 내렸다.  다시 시어머니께 1배를 드린 후 신부의 손을 거친 차가 올려졌고, 시어머니는 폐백에 두 손을 올려 ‘다독다독’하며 덕담을 했다. 시어머니의 이 행동은 새 며느리의 모든 흉허물을 덮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 가족들에게는 1배

◇ 절값 주머니.

신부가 폐백을 드리는 동안 신랑은 두 손을 맞 잡은 채 폐백상 왼편에 서 있는다. 시부모님께 드리는 폐백(幣帛)이 끝나면 수모는 폐백 상을 치우고 백부(큰아버지)와 백모(큰어머니), 시누이와 시동생 순서로 시댁식구들을 앉게 하고, 1배로 상견례를 시키면 준비한 폐백 답례 ‘절 값’을 내 놓으며 새로 출발하는 부부를 격려하는 덕담을 한다.
시댁 가족들과 페백이 모두 끝나면 신랑 신부는 함께 ‘잘 살겠다’는 약속의 큰 절 1배를 올리는 것으로 폐백식은 모두 끝난다. 절값으로 내린 현금과 물품은 수모가 정리하여 시어머니께 드리면 시어머니는 신부에게 직접 건넨다. 신부가 시댁에 첫 인사를 드리는 것이 폐백식(幣帛式)이지만 요즘은 친정부모님께도 폐백을 드린다. 
촬영협조: 예랑 (604-584-9652)/ 모델 이유진(신부), 김현민(신랑), 이경희(시어머니), 이금선, 한수경(수모), 이윤희, 정종희(시누이)

이재연 기자 jy@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