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선(先) 입사, 후(後) 능력을 통한 경력 입증”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06-14 00:00

베이커리 자동화 기계 생산 기업‘Unifiller Systems Inc.’ 양수길 씨

◇ 공장 내 생산라인 앞에서 이 회사 공동대표 베노(Benno Bucher·사진 중앙)씨와 한국인 마케팅 담당자(사진 오른쪽)와 포즈를 취한 양수길씨.‘Unifiller Systems Inc.’는 베이커리 자동화 기계를 생산하는 캐나다 기업으로, 스위스계인 베노씨와 쿠노(Kuno Kurschner)씨, 스튜워트(Stewart Macpherson)씨가 공동으로 경영하고 있는 연 매출 200억원 내외의 튼실한 기업이다.

국내외 도합 30년 기계제작 관련 업계 경력을 가진 양수길(Mark Yang)씨는 전문업소용 조리 기기와 베이커리 데커레이션 자동화 시스템을 생산, 한국을 비롯, 러시아, 일본, 유럽, 남미, 독일, 프랑스 등 세계 30여 개국에 수출하고 있는 연 매출 200억원 내외의 캐나다 기업‘Unifiller Systems Inc.’에서 4년째 일하고 있다. 입사 2년 만에 슈퍼바이저(supervisor) 및 엔지니어링 어드바이스 매니저가 된 그는, 전문기술을 가진 경력자들도 입사가 우선이며 그것은 곧 경력을 입증할 수 있는 첫 관문이라고 말한다.

■ 큰 기대를 버리고 무조건 일 시작

이민자들이 취업과 관련해서 가장 많이 듣게 되는 말이 경력이다. 그러나 한국에서 전문성과 경력이 뛰어난 우리 이민자들에게는 오히려 화려한 경력이 취업에 걸림돌로 작용하는 예가 많이 있다.
 “처음부터 근로조건, 급여, 직무, 동료와 상사들까지 내 마음에 ‘쏙’드는 직장은 없습니다. 정말 직업을 갖길 원한다면 희망하는 업종 어디서든 나를 채용 해주는 곳에서 무조건 일을 시작해서 그 기업을 통해 업종 흐름과 정보를 파악하고 내 마음에 드는 회사를 찾아 한 단계씩 높여 가는 디딤돌로 삼으세요.”
‘첫 직장이 100% 만족할 만한 곳이 되길 바라는 기대를 버리고 출발하라’고 말하는 양수길씨는, 모든 일에 선후(先後)가 있는 것처럼 출중한 능력을 지닌 경력자라 해도 이 나라에서 반드시 겪어야만 배울 수 있는 과정이 또 있다고 말한다.
특히 이민자들에겐 이 나라 기업이 가진 기업문화와 동료들과의 커뮤니케이션 스킬까지 초보자의 자세로 처음부터 배우라고 조언한다.

■ 선(先) 취업, 후(後) 경력 보여주기

공업계 고등학교 기계제작과를 졸업하고 선박 기관실 엔지니어로 해군에서 복무한 것을 비롯해 반도체 기계 제작 공장과 회사를 직접 운영하는 등 30년간 엔지니어로 잔뼈가 굵은 그도, 이민 초기 1년에 세 차례나 회사를 옮기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그때마다 이력서를 내고 인터뷰를 하면서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감수하며 그가 내린 결론은 ‘기업이 나의 경력을 처음부터 인정해 주길 원하지 말라’는 것. 이것은 재취업에 성공한 이민자들 대부분 공통적으로 꼽는 조건이기도 하다.
한국의 경력이 아닌 ‘캐나다에서 경력’을 요구하는 이 나라에서 특히 자기 분야의 전문성과 더불어 성실함과 책임감 강한 한국식 직장생활에 익숙해 있는 한인들이 능력으로 경력을 인정 받을 수 있는 길은 입사 후 다양한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따라서 원하는 업종의 첫 취업 관문을 뚫는 것이 급선무인 재취업 희망자들은 직급에 연연하지 말고 그 기업에서 가장 작은 일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자세로 찾아보면 반드시 길이 보인다고 말한다.

■ 실직상태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관리

2001년 캐나다 밴쿠버로 이민을 오기 전 호주로 취업, 2년 동안 영어권에서 일을 했던  그는, “초보자 시절을 겪지 않은 경력자는 없다”며 한국에서의 경력이 오히려 취업에 방해를 받지 않도록 자세를 낮추는 것도 필요하다고. 이후 상승시켜 나가되 다음 취업처가 결정되기 이전까지 실직상태의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관리 한 것도 안정된 취업 조건이라고 말했다. 이는 성실한 일면을 보여 줄 수 있다는 의미다. 또 전문기술직이 부족한 이 나라에서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면 가능한 일이기도 하다.

■ 기술직은 영어실력보다 전문성 우선

전문직에 속하는 기술을 가진 사람은 성별과 나이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이 나라에서 취업이 대체로 쉬운 편. 구인 기업을 찾아 보는 것도 어렵지 않다.
구인 잡지와 온라인 구직 홈페이지를 통해 직업을 찾은 그는, 시청마다 설치 된 구인구직 프로그램을 이용하라고 권한다.
“그 기업의 생산제품과 수출 주요 상품을 보면서 기업 정보를 파악한 다음 이력서를 보내는 방법으로 찾았죠. 기술직은 당장 자리가 없는 곳에서도 최소한 이력서를 버리지는 않습니다.”
기술전문직 경력자의 취업은 영어능력과 인터뷰가 크게 중요하지 않은 대신, 기계의 구조와 원리를 이해할 수 있는 전문성이 필요하고 이 조건이 언어를 앞선다고 말한다.  

■ 입사 2년 만에 슈퍼바이저로 승진

기계제작 모든 과정이 자동화 시스템으로 되어 있는 그의 회사 직원은 모두 80명.
숫자상으로는 한화로 연 200억 내외 매출을 올리는 탄탄한 기업의 직원 수로는 많지 않은 편. 현재 양씨를 비롯한 6명의 한국인이 일을 하고 있다. 대부분 그의 소개와 추천으로 입사하게 된 사람들이다. 입사 초기 유일한 한국인이었던 양씨가 이후 자리가 생길 때마다 한인들을 추천해 동료들로부터 약간의 불만과 마찰이 있었지만, ‘한국인들은 성실하고 책임감 강한 사람, 동료들과 친밀하게 지내면서 예의가 바른 사람’으로 인식되면서 ‘정말 잘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고.
입사 2년 만에 슈퍼바이저(supervisor) 가 된 그는 영어에 한번 주눅든 이민자들이 다시 캐나다 내에서 쌓은 경력 앞에 도전을 포기하고 자영업으로 눈길을 돌리는 걸 안타까워하며, “한국에서 쌓은 경력은 이 나라 기업에서도 최고의 능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며 기술직 경력자들의 우선 취업을 강조했다.

이재연 기자 jy@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코퀴틀람 로히드 선상에 있는 아담한 팩토리 아울렛
로히드 도로 선상 코퀴틀람 한인 몰에서 코퀴틀람 센터방향 좌측에 작고 아담한 팩토리 아울렛이 있다. 튼튼하고 세련된 가죽 제품 브랜드
수제 쿠키, 케이크 전문점 ‘윌리엄스(William’s)’대표 이병래씨
세계 어디서나 다이어트가 화두가 되는 요즘, 주식인 빵이나 밥 외 일상적인 식사를 대용할 만한 모든 먹거리에 당분과 칼로리가 사람들의 관심사다. 특히 제과제빵 관련 업에 종사하는
꿈같은 파나마운하 크루즈(2) 허억(밴쿠버 문인협회 회원)
배는 마이애미를 멀리 떠났다. 우리는 11층 갑판 위에 10명이 몰려 앉아 이야기꽃을 피운다. 어제는 팜 트리와 코코넛 트리의 차이점에 대하여 열매와 껍질을 비교하며 심도 있게 토론이 있었고 오늘은 나침반 없이 남북을 찾는 법에 대하여 각자의 비법을...
구매력 평가 2008.06.20 (금)
요즘 다소 안정세를 찾기는 했지만 캐나다 달러가
인크레더블 헐크
우선 이 영화의 타깃부터. 블록버스터는 제발 복잡하게 머리 쓰지 말고 규모와 속도에만 집중해 달라고 고함 지르는 열혈 관객 여러분. 지난 주말 개봉한 '인크레더블 헐크'(The Incredible Hulk)는 그런 이들을 위한 영화다. 하지만 주지하다시피 이...
이선영(밴쿠버 웨스트)씨의 쇠고기 스시, 스모크 연어 스시
스시는 원래 일본인들이 생선을...
3남매 호주 '영어 토론왕'으로 키운 김영신·김정아씨 부부
김영신(46·시드니 거주)·김정아(42)씨 부부는 맏딸 유경(18)양을 호주 청소년을 대표하는 '영어 토론왕'으로 키웠다. 맏딸은 고2 때인 지난 2006년 하버드대에 조기입학해 호주 학생과 교포들의 부
귀국도 2배 늘어... 전체 4명 중 1명 미국 선택 초·중학생은 캐나다, 고등학생은 중국행도 많아
조기유학을 떠나는 서울지역 초·중·고등학생 수가 꾸준히 늘어 2년 만에 2배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유학을 떠났다가 돌아오는 귀국학생 수도 같은 기간 2배에 달했다. 서울시교육청이 서울시의회 김진성 의원에게 제출한 '2005~ 2007학년도 초·중·고...
7월 1일부터 탄소세 과세로 유가상승 우려
다음 달부터 시행되는 탄소세(carbon tax) 도입에 반대하는 BC주민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이에 반대하고 있는 야당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입소스-리드는 BC주민들을 대상으로 탄소세 도입 찬반을 설문한 결과, 10명중 6명(59%)이 반대하고 있다고 18일 보고서를...
BC주 한인한의사 침구사협회 참여…6개 단체 연합 연방 ‘식품 및 약품법 개정안’에 문제 제기
캐나다 중의사 연합회(Union of TCM)가 18일 버나비에서 발족식을 개최했다. 연합회는 BC주내 6개 중의학 관련단체 연합협의체로, BC주 한인한의사 침구사협회(KOMAABC)도 참여했다. 연합회는 매월 6개 단체의 대표들이 모여 중의학과 관련 사항에 대해 논의하는 형태로...
BC 플레이스 건립 25주년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 개막식이 열릴 BC 플레이스(Place)가 19일 건립 25주년을 맞았다. 세계 최대의 공기부양지붕으로 유명한 BC 플레이스는 지난 1983년 6월 19일 밴쿠버 와이트 캡스(white caps)의 축구 경기를 시작으로 첫 선을 보였다. 이후 BC 플레이스는 BC주의...
석세스, 한국어·중국어·펀잡어 서비스 제공
이민봉사단체 석세스(SUCCESS)는 18일 오전 언론사 기자들을 초청, 새 이민자를 위한 ‘석세스 다중언어 전화 정보라인’ 개통식을 가졌다.   석세스는 18일 오전 힐튼호텔에서 새 이민자를 위한 ‘석세스 다중언어 전화정보라인’ 개통식을 가졌다.직접...
학생 70% 이상 ‘기대치 달성’ 또는 ‘초과’ ESL 학생 평가 결과는 일반 학생들과 큰 차
BC주정부는 13일, BC주 4학년과 7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기초학력고사(Foundation Skill Assessment, 이하 FSA) 결과를 발표했다. 2008년 FSA에서 학생들은 작년보다 더 높은 성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학교에서 학업을 따라갈 수 있는 실력’을 평가하는 FSA에서...
BC신민당 “유가 상승에 소비자 큰 타격”
13일 BC신민당(NDP)은 주정부에 유류세 폐지와 기후변화대책 방안을 다시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존 호간 BC신민당 에너지 논평담당은 “휘발유가격이 계속해서 오르고 있는 가운데 많은 사람들이 고든 캠벨 주수상의 유류세 도입이 잘못된 시기에 나온 잘못된...
1인당 평균 733달러
BC주는 캐나다 국내에서 2번째로 술 소비액수가 많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BC주 통계청은 “지난해 BC주민(15세 이상)이 소비한 주류는 1인당 733달러 어치로 뉴펀들랜드주 757달러 어치에 비해 2번째로 많은 액수를 술값에 썼다”고 13일 밝혔다. 술 종류별로 술값을...
목공(Woodworking) & 정원 가꾸기(Gardening)용품 매장-리 밸리(Lee Valley)
봄도 없이 여름이 들이닥치는 가 싶더니 계절도 망각한 비가 겨울처럼 연일 내리는 밴쿠버.
베이커리 자동화 기계 생산 기업‘Unifiller Systems Inc.’ 양수길 씨
국내외 도합 30년 기계제작 관련 업계 경력을 가진 양수길(Mark Yang)씨는 전문업소용 조리 기기와 베이커리 데커레이션 자동화 시스템을 생산
올 들어 증권시장의 어수선함 때문인지, 안전한 자산의 대표라 할 수 있는 정기예금에 대한 투자관심이 많아 지고 있는 것 같다. 한국에서와 같이 캐나다도 정기예금투자의 경우, 예금보험공사를 통해 예금자들의 자산을 보호하고 있다. 1967년에 시작된 캐나다...
새 영화 '해프닝' 감독 나이트 샤말란
장르의 열정은 히치콕 감독에서 비롯 반전은 없지만 '내 생애 최고의 공포'  나이트 샤말란(Shyamalan·38)이 돌아왔다. '반전(反轉)의 제왕'이라는 칭찬과 '반전 강박증 환자'라는 비아냥을 동시에 듣는 할리우드의 영화감독. 이번에 개봉하는 영화는 뉴욕 배경의...
꿈같은 파나마운하 크루즈(1) 허억(밴쿠버 문인협회 회원)
여행처럼 즐거운 인생은 없다. 그것도 서로 잘 아는 사람들이 함께 다니면 외롭지 않고 즐거움은 더한다. 버스로 다니는 투어(tour)가 늙어가면서 힘들어지니 이번에는 배를 타고 유람하는 크루즈(cruise)를 택했다. 우리 일행은 늘 함께 다니던 8명에 두 분이 추가되어...
 1381  1382  1383  1384  1385  1386  1387  1388  1389  1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