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부 축적의 장애물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07-04 00:00

부(富)를 축적하기 위한 과정에는 두 가지 장애가 있다. 첫째는 세금이고, 둘째는 인플레이션이다. 특히 요즘은 식품 물가상승으로 전 세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오늘은 1달러에 빵을 살 수 있지만, 20년 후에는 10달러가 될 수도 있다. 빵 제조시 들어가는 밀가루, 직원 인건비 그리고 운송비에 드는 휘발유값 등이 20년 후에는 더 비싸지기 때문에 빵값이 오를 수 밖에 없으며, 소비자는 그만큼 더 돈을 벌어야 빵을 구입할 수 있는 것이다. 

경제학자들 계산에 따르면, 오늘 1만달러에 구입할 수 있는 물건은 12년 전에는 8153달러에 구입할 수 있었으며, 24년 전에는 5723달러면 구입할 수 있었다. 그만큼의 물가 상승이 있었던 것이고, 내가 벌어 들이는 돈의 값어치는 매년 떨어지는 것이다. 물가는 3% 상승하는데, 봉급은 2%밖에 상승하지 않는다면 결국 돈을 2% 더 많이 벌지만, 물가상승을 따라가지 못 하기 때문에 수입보다 지출이 많아지게 된다. 1만달러를 투자해서 4%의 수익을 올리고, 그 중 1.5%가 세금으로 나간다면, 수익4%(400달러)에서 세금1.5%(150달러)을 제한 250달러가 세후 수익이 된다. 하지만 인플레이션을 감안할 경우, 인플레이션이 3%(300달러)라면, 결국 250달러(수익금)-300달러(인플레이션)=-50달러를 손해본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1만달러가 1년 투자 후 1만250달러가 됐지만, 돈 가치가 300달러 떨어졌으므로 50달러가 손해인 것이 된다. 

대표적인 예로 정기예금은 세후소득이 인플레이션을 따라가기 힘들다. 단기적인 투자로는 정기예금이 안전성 면에서 적합할 수 있지만, 장기적인 투자일 경우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요즘같이 이자율이 낮을 경우는 장기투자시에 대체 상품을 찾아보는 것이 좋다.  예를 들자면 뮤추얼 펀드가 대표적인 장기상품이라 할 수 있으며, 1만달러의 투자금 중 25%(2500달러) 정도만 뮤추얼 펀드 투자를 통해 장기적인 수익률을 인플레이션이상으로 올릴 수도 있다.  뮤추얼 펀드는 어느 정도의 리스크(risk)를 감안할 수 있는 투자가라야 투자할 수 있다. 하지만 투자 전체 금액이 아닌 일부분을 뮤추얼 펀드로 운용함으로써, 리스크를 많이 줄이면서도 전체적인 투자 수익률을 정기예금 금리이상으로 올릴 수 있는 것이다.  독자들께서도 장기 투자 상품 상담을 통해 인플레이션 이상의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기회를 고려해 보길 바란다. 

*위의 내용은 복잡한 내용을 매우 간단히 설명한 것이므로, 모든 투자 고려시 전문가와의 상담을 거쳐 결정하길 권합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