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UBC-친환경적인 리더쉽을 배울 수 있는 곳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07-24 00:00

UBC Pacific Spirit Regional Park

한국과는 달리 밴쿠버에서 유난히 질투나리만큼 부러운 것이 있다면 자연이 가져다 주는 향연이 아닐까 싶다. 한 미국인 코미디언은 밴쿠버 여행 중 인상 깊은 점이 무엇이었냐는 질문에, “나무… 그리고 나무 또 나무….”였다며 우스갯소리를 했다지만 아무리 봐도 질리지 않을 뿐 아니라 숙연함마저 느끼는 이 곳의 자연, 우리나라를 포함한 어느 나라에서도 쉽게 소유하지 못하는 것이다. “Only the simple physical existence matters in the nature (자연에서는 단순한 물리적 존재만이 중요하다).” 작가 Guo Xiaolu (궈샤오루)가 “A Concise Chinese-English Dictionary for Lovers (연인들을 위한 중영사전)” 이라는 소설에서 주인공을 통해 한 말이다. 그만큼 자연이 가져다주는 섭리는 그 누구도 거스를 수 없는 위대한 힘을 지니고 있다는 뜻이리라. 캠퍼스를 거닐다보면 수없이 뛰어다니는 다람쥐들, 스탠리파크에 어슬렁 거리는 너구리들, Beaver Lake(비버 레이크)라는 늪에 둥지를 트는 새들, 그리고 봄이면 어김없이 잉글리시 베이 근처에 둥지를 트는 Heron(왜가리)…. 아침에 새소리에 눈을 뜨고, 소쩍새 소리를 들으며 잠든 유년기를 시골에서 보내서인지 나는 무척 자연에 대한 남다른 심미감을 지니고 있다. 자칫 서울에서 오랜 세월 지내면서 잃어버렸을 뻔했을 기억을 지금에서야 이 곳 밴쿠버가 가져다준다.

스탠리 파크야 삼척동자도 아는 워낙 유명한 공원인지라 날씨가 좋거나 쉬는 날이면 수많은 인파가 몰리기 마련이다. 그래서 가끔은 그 곳의 자연을 즐기기보다는 사람 구경하다 하루를 보내기 십상이다. 그 대신 내가 이번 주말에 택한 곳은 UBC 근처에 위치한 퍼시픽 스피릿 공원이다. 한국에서야 자전거 레인이 따로 없어서 조그만 공원 아니면 타기도 힘들 뿐더러 자전거를 아예 타보지 못 했던 나로서는 공원 안쪽 트레일이 살짝 모험이기도 했었다. 넘어져서 다리를 긁히기를 서너번 남짓, 친구들로부터 브레이크를 서서히 잡고 자전거에서 내리라는 충고를 들을 후부터는 제법 타기 시작했다. 공원의 표지판이 써진 안쪽에 가서 지도가 든 안내서를 들고 우리는 천천히 이동하기 시작했다. 역시 예상했던대로 스탠리파크보다 훨씬 조용해서 나같은 초보로서는 더할 나위없이 좋았다. 조깅하는 사람들, 가볍게 산책하는 사람들, 애완견 산책 나온 사람들, 다른 자전거 타는 사람들…. 언제든 서로들 가볍게 미소지으며 인사를 나눈다. 자전거 타면서 자기 건강을 지키는 것도 있겠지만 언제든 가볍게 웃어주는 것을 잊지 않는 이들, 또 다른 기쁨이리라.

◇ 퍼시픽스피릿 공원 안내소

54km의 산책 그리고 하이킹 트레일, 38km 의 싸이클링 혹은 말을 탈 수 있는 멀티 트레일 등으로 이뤄진 퍼시픽 스피릿 공원은 90헥타르의 규모로서 4915 West 16th Avenue에 위치해 1975년에 등록된 공원이다. 개발되었다기 보다는 자연 그대로 보존된 이 곳은 Camosun Bog라고 불리며 캐모선 보그 보존 그룹 (웹사이트에 따르면 그들은 크레이지 보거스(Crazy Boggers)라고도 불린다) 아래 보호되고 있다. 인간의 욕망에 의해 짓밟힌 이들의 생명이 또 다른 인간에 의해 살아나고 있는 순간이다. 1996년 이곳 퍼시픽 스피릿 공원에서 시작된 이들 크레이지 보거스들은 보그, 즉 습지대 성장의 방해물들을 제거하고 1만2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보그를 다시 키워내고 성장해내고자 오랜시간 정성들여 왔다. 물론 UBC가 인류 박물관 쪽에 현재 공사를 위해서 나무 100그루를 제거한 사실도 이들에게 큰 이슈가 되었다. 결국 UBC는 공식적으로 사과를 해야했지만 말이다. 이들에 따르면 습지대 조성에 제일 좋은 조건으로 높은 지하수면, 풍족한 일사량, 물이끼 성장 그리고 비옥한 토양 등을 들고 있다. 비버 레이크에 가보라. 그리고 조용히 쪼그려 앉아보면 어떻게 습지대 조성을 통해 우리 삶을 풍족하게 하는지, 각종 이국적인 새들의 대화를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이곳에서 6번 트레일을 타고 가면 렉비치(Wreck Beach)라는 누드비치가 나온다. 아무래도 문화 차이로 인해서 대부분의 썬텐을 즐기는 사람들은 아시아인들보다는 캐네디언이지만 복장은 옵션이니 옷을 입고도 참여할 수 있다. 하지만 공원 관리자들의 말처럼 호기심에 엿보기 보다는 그저 그 곳의 고요함과 차분한 바닷 바람을 즐기기 위해 갔으면 한다. 자칫 눈요기 거리로 갔다가 망신 당하는 사람들도 있다고 하니 서로 눈쌀 찌푸리고 얼굴 붉히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퍼시픽 스피릿 공원에서 또 한가지 눈여겨볼 만한 것은 Catching the Spirit(CTS)라는 프로그램이 아닐까 싶다.

◇ 사진컨테스트를 알리는 포스터

특히나 여름이면 이 프로그램을 통해 젊은 학생들이 각종 밴쿠버 소재 공원에 2~4일 정도 캠프를 가서 자연을 배우고 자연보호 프로젝트를 같이 조성해 리드하게 된다. 이 공원 뿐 아니라, 버나비 레이크 파크, 캐필라노 리버 파크 그리고 써리에 위치한 타인헤드 파크에서도 이 프로그램을 위한 학생들(12~18살)을 모집하고 있으니 빨리 신청하기 바란다. 각 공원마다 모집기간과 캠프 기간이 다르니 자세한 사항은 웹사이트 www.catchingthespirit.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대부분의 공원이 현재 아직 모집 중이고 8월 중순 정도에 프로그램이 끝나게 되니 여름방학을 통해 아이들이 이 곳의 자연을 만끽하고 자연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또한 7월 27일 하루 종일 퍼시픽 스피릿 공원을 돌아다니며 사진을 찍어 직접 Old Barn Community Centre에 제출하거나 이메일로 보내면 선정해서 상도 주고 7월 30일 7시에 PSPS 웹사이트 www.pacificspiritparksociety.org에 전시한다고 하니 모두들 도전해보았으면 하는 바램이다.

염미 학생기자(심리학과 3년) nungae@hotmail.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캠퍼스 방문객을 위한 쉼터로 자리한 사이먼 호텔
SFU 버나비 캠퍼스에서는 사이먼(Simon) 호텔이 있다. 자연의 아름다움을 만끽할 수 있는 버나비 마운틴 정상에 입지를 둔 캠퍼스와 함께 서 있는 사이먼 호텔은 현대적인 디자인 등 다양한 스타일로 꾸며진 객실 외에도 학교를 방문하는 방문객들을 위해 강연회장을...
SFU학생들 통학비용 절약 위해 승용차 나눠 타기 시작
석유를 사용한지 150년 만에 기름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아 역사상 최고치를 갱신하면서 이제 배럴당 200달러를 바라보고 있다.이 가운데 기름값이 오른다는 것이 우리에게
UBC Pacific Spirit Regional Park
한국과는 달리 밴쿠버에서 유난히 질투나리만큼 부러운 것이 있다면 자연이 가져다 주는 향연이 아닐까 싶다. 한 미국인 코미디언은 밴쿠버 여행 중 인상 깊은 점이 무엇이었냐는 질문에, “나
자신에게 알맞는 봉사활동 찾기
날이 갈수록 취업의 관문이 점점 좁아지고 있다. 사회 변화에 따라 회사에서 요구하는 인재상은 계속해서 달라지고 있는 가운데 취업 준비생들은 회사가 요구하는 조건을 맞추기 위해 끊임없이 자기 자신을 발전시키는데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한다. 한국에서는...
SFU Student Success
대학에 들어온 학생들이 직면하는 가장 큰 문제중 하나는 ‘스스로’공부해야 한다는 것이다. 과외 교사를 쉽게 찾을 수 있는 고등학교 과목들과는 달리, 대학의 과목들은 쉽게 과외 교사를 구할수도 없을 뿐더러 설령 찾는다 하더라도 빼어나게 잘 가르치는...
SFU 버나비 캠퍼스에 지난 해 새로 완공된 문리 및 사회과학 콤플렉스(Arts and Social Science Complex 1: ASSC1 건물이 지난 5월 BC 주 엔지니어링 어워드(Engineering Award)를 수상한 이후, 이번 달 또다시 어스
새 학년을 맞아 북적거렸던 UBC에도 여름이 찾아왔다. 대학교 여름방학의 4개월이란 긴 기간을 이용해 멀리 여행을 가는 학생들, 교수와 리서치를 시작하는 학생들, 또한 여름학기를 이용해 학점을 따는 학생들도 있다. 왜 많은 학생들이 여름에 학점을 따려고 하는...
내가 만드는 ‘특별한 동아리’
UBC내 클럽들은 규모와 다양성에 있어서 여느 캐나다 대학교보다 월등한 활동으로 주목 받는다. UBC 학교 클럽은 전교 학생회 단체인 AMS(Alma Mater Society)가 관리하기 때문에 AMS클럽이라고도 불린다. 현재 300여 개의 정식 클럽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데 다민족...
어렸을 때, 유태인들의 교육에 관한 책을 읽은 기억이 있다. OED.com에 디아스포라(Diaspora)라는 단어가 나온다. 유태인들이 히틀러 학살에 의해 흩어진 데서 유래한 이 단어는 핍박으로 인해 어쩔
한국 정부는 올해가 ‘대한민국 건국 60..
저지방, 저설탕, 저소금, 지역농산물, 고칼슘, 무기질 및 비타민과 미네랄, 무방부제. 이상은 SFU 학생보건복지부가 권장하는 올바른 식품선택을 위한 기준이다. 그러나 “맥주와 포테이토칩으로도 일일 탄수화물 권장량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다” 고 주장하는...
치과보험, 안과보험, 백신 등 혜택
최근 몇 년 동안 계속 학생들 사이에서 문제점으로 꼽혀왔던 SFU 학생 의료보험이 드디어 그 윤곽을 잡아가고 있다. 지난 3월 총학생회 선거를 하면서 대두됐던 안건 중 하나가 바로 이 의료보험이다. 학부 재학생 거의 대부분이 학생 의료보험을 만들어야 한다는...
폭등하는 기름값에 시달리던 학생들 부담 더 커져
오는 9월 1일부터 SFU주차세가 방문자, 주차허가증 소지자에 상관없이 인상될 전망이다. SFU이사회는 학교측이 최근 심각한 경제난을 겪고 있고 SFU와 UBC가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가끔 나는 한국인들이 캐나다로 또는 중국, 미국, 호주 등 다른 나라로 옮기는 이유에 대해서 생각해본다. 첫 번째 답으로는 단연 영어공부가 꼽힐 것이다. 다음으로는 자녀들에게 더 나은 교육환경을 만들어주기 위해 이민을 한다던가, 단순한 여행 등을 이유로...
여름방학 4개월간 연구 도우미하며 장학금과 급여 받을 수 있는 ‘NSERC’
UBC에는 많은 종류의 장학금이 있다. 그 중에서 1년 성적이 85% 이상 되면 주어지던 장학금 (undergraduate scholarship)이 근래에는 상위 5% 안에 드는 학생에게만 주어지도록 제도가 바뀌어서 혜택을 받
게오르그 루카치는 저서 ‘소설의 이론’에서 근대 소설의 주인공들을 ‘문제적 개인’이라 칭했다.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자신의 신념에 의지한 채 미래를 찾아나가는 파우스트적 존재를 빗대어 한 말이다. 파우스트가 그랬듯이 개개인은 권력과 부를 탐한다....
SFU 졸업생들과의 인터뷰
지난 6월 4일부터 6일까지 SFU 콘보몰(Convocation Mall)에서 2008년 봄 졸업행사가 열렸다. 인생 어느 때보다 아름답고 뜨거웠던 청년의 시기의 일부분이었던 대학 생활에 대해 그들은 어떤 상념을 남
SFU 자원봉사(1) 교내관련 봉사활동
사회에 진출하기 전에 많은 경험과 지식을 쌓을 수 있는 시기인 대학 시절 동안 학생들은 취업 준비, 학점 관리, 동아리 활동, 인턴 등 취업관련 일에 종사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많은 것을 배운다. 대학시절 다양한 경험과 도전으로 자신의 미래에 대한 투자를...
【한국】지난주 인사동에 저녁 먹으러 가는 길, 지하철 출구에서 나오자마자 제일 먼저 눈에 띈 것은 도로를 점거한 시위대였다. 5월초부터 미국산 쇠고기수입반대를 외치던 촛불시위를 처음 내 눈으로 목격한 날이었다. 안국역에서 음식점으로 가는 길에는...
클럽 동아리 온라인 모임 ‘위키스페이스’
대한민국에 싸이월드 클럽이 있다면 외국 사람들은 주로 어떻게 온라인상으로 모임을 가질까? 대표적인 온라인 모임 웹사이트로는 페이스북을 들 수 있지만 새롭게 등극한 위키스페이스를 이용해 보자. http://www.wikispaces.com/ 사이트에 들어가면 몇 번의 절차만...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