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친환경 주택개조에 정부가 돈을 드립니다”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08-30 00:00

연방정부와 BC주정부 주택 개조에 일부 비용 지원

에너지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많은 캐나다인이 에너지 절약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캐나다에 집을 가진 한인들도 예외는 아닐 것이다. 대부분 가정의 문제는 비용이다. 입소스 리드사가 최근 실시한 설문에 따르면 캐나다 가정의 75%는 비용 때문에 공사를 망설이고 있다.
전체 비용을 지원받지는 못하지만 일부분을 지원받는 방법이 있다. 캐나다 정부는 주택의 효율성을 높이는 공사를 한 주택 소유주에 대한 1회 최대 5000달러, 평생에 최대 50만달러까지 지원하는 에코에너지 개조지원 정책(eco ENERGY Retrofit)을 신설해 단독주택이나 다세대 주택 소유주들의 공사비 일부를 지원해 주고 있다. 단 지원을 받으려면 연방 천연자원부(NRC)가 정한 규정과 신청절차를 따라야 한다. 에코에너지 개조지원에 BC주정부가 제공하는 주택개조 지원제도를 함께 적용하면 적지 않은 비용을 아낄 수 있다.

에너지 전문가 검사과정 

NRC산하 에너지효율청(NRCan)에서 면허를 받은 에너지 자문가(advisor)를 불러 집을 보여주고 수리에 대한 조언을 먼저 받아야 한다. 이 때 자문가를 부르는 비용은 소비자 부담이다. 이를 ‘주택에너지 평가 서비스(the residential energy assessment service)’라고 부르는데 자문가는 1~100으로 나뉜 에너지 효과등급 측정을 통해 냉난방비용 절약방법, 적절한 실내공기 유지 방법 등을 조언하며 에너지 효율 개선을 위해 공사가 필요한지 여부를 알려준다. 정부는 NRCan 면허가 있는 자문가가 작성해 집주인에게 제공한 보고서에 포함된 권고에 따른 공사만 일부 비용을 지급해 준다.
NRC웹사이트나 서비스캐나다에 전화해 NRCan에 대해 안내를 받을 수 있다. NRC웹사이트에서는 우편번호를 입력하면 인근에 자문을 제공하는 업체 전화번호를 제공한다. 참고 ecoaction.gc.ca ☎1-800-622-6232   업체검색 에코엑션 웹사이트에서 ‘Contact an energy advisor’에 우편번호 입력

비용과 필요한 시설 이해해야 

공사비용이나 설비 값을 전액 지원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집주인도 공사비와 설비, 정부의 지급액 기준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어야 한다. 자문가가 조언을 제공하지만 최종 결정은 집주인 책임하에 이뤄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퍼니스(Furnace)를 교체할 때 정부는 에너지 스타 제품에 ‘어퓨(AFUE)’를 기준으로 지원금을 공사 후에 지급한다. 어퓨는 Annual Fuel Utilization Efficiency의 약자로 연간 연료효율을 뜻하며 높을수록 연료를 절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스타(EnergyStar)인증을 받은 가스 퍼니스가 90% 어퓨이면 정부는 지원금 300달러, 92% 어퓨 이상 이면 500달러, 기름 보일러가 83% 어퓨 이상이면 300달러, 85% 어퓨 이상이면 600달러를 지급한다. 즉 에너지스타 인증은 기본 요건이고 난방기기 종류와 효율성에 따라 지급액이 달라지는 만큼 이런 부분에 대해 사전 지식이 있으면 더 마음 편하게 선택할 수 있다.
정부는 예로 든 난방기기 외에도 ▲환기설비 ▲냉방설비 교체 ▲온수공급설비 ▲외벽과 바닥, 지붕 밑(attic), 지하 단열재 ▲실링(sealing) ▲문, 창문, 스카이라이트 교체 ▲물절약에 비용을 일부 보상해준다.

비용절감 효과 

비용절감 효과는 규모에 따라 달라지나 연방정부는 연간 2000달러 에너지 비용이 들어가는 주택에 개조를 하면 연간 700달러 가량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예를 들어 선전하고 있다. 만약 주택 수리에 익숙하다면 제도를 이용하면서 더 많은 비용을 아낄 수도 있다. 에너지 자문가가 권장한 설비를 스스로 설치해도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단 단열재 공사 등 일부 공사는 지방자치제의 허가를 신청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며, 사용한 재료는 정부 기준에 맞춰야 한다는 점에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BC주 정부가 제공하는 주택개조 제도를 추가로 이용하면 비용을 더 많이 절감할 수 있다. BC주정부도 ‘라이브스마트BC(LiveSmart BC)’ 정책아래 에너지 효율 개선을 위한 개조에 일부 비용을 지원해주고 있다. 주택 소유주들은 BC주 제도와 연방제도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참고 www.livesmartbc.ca/attachments/livesmartbc.pdf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대부분의 사람들은 내 집을 장만하게되면 원하는 스타일로 레노베이션을 하고 싶어 한다. 물론, 새 주택 (Brand New Home)은 예외이다. 처음에 일을 크게 벌리다보면 예산초과는 당연할 뿐더러 심지어 다 된 후에도 후회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계획을...
캐나다 부동산협회(CREA)에 따르면 8월 기준 평균거래가격(31만6052달러)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1% 떨어졌다. 집값 하락은 밴쿠버, 빅토리아, 캘거리, 에드먼튼, 윈저 등 주요 5개 도시에서 공통적 현상을 보였다. 매매거래(4만7657건)는 7월 보다 5.3% 감소했고...
향후 2~3년간 지역 도로체증 불가피
한인가게와 사무실이 밀집해있는 노스로드는 2013년경에는 도로 확장공사와 에버그린 라인 공사를 거쳐 새로운 모습을 갖출 전망이다.  폴 리(Lee) 코퀴틀람시 교통국장은 “현재 계획이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코퀴틀람과 버나비 사이에 놓은 노스로드에...
지난 8월 밴쿠버지역 타운하우스 거래량은 50.5% 줄었다. 평균거래가격(46만3433달러) 상승률은 3.8%였고 올해 5월 가격보다는 3.2%가 떨어진 것이다. 프레이저 밸리 지역도 마찬가지였다. 이 지역 타운하우스 평균거래가격(32만1955달러)은 불과 0.3% 상승에 그쳤다....
집을 사고 파는 것이 재산 관리의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일임엔 틀림 없다. 하지만, 요즘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집 팔기가 만만치 않다. 불과 1~2년 전만 해도 부동산 경기가 붐을 이룰 때는 집을 꼭 꾸며놓지 않아도 쉽게 거래가 되기도 했다. 그러나 지금 부동산...
IDEA가 선정한 올해 유행을 주도하고 있는 제품들
세계적인 디자인 흐름에 맞춰 집을 꾸민다면 꾸밈이 별로 없는 모던이 대세다. 일부 인테리어 전문가들은 물자와 에너지 절약이 미덕이 되는 친환경시대이기 때문이라고 하고 혹자는 불확실성의 시대일수록 명료함, 간단함을 추구하고 싶어하는 심리의...
작은 소품으로 집안이 달라집니다 IDEA가 선정한 올해 유행을 주도하고 있는 제품들 세계적인 디자인 흐름에 맞춰 집을 꾸민다면 꾸밈이 별로 없는 모던이 대세다. 일부 인테리어 전문가들은 물자와 에너지 절약이 미덕이 되는 친환경시대이기 때문이라고 하고...
벨몬트 빌리지 홈 (Village Homes Belmont)
모닝스타사가 건설중인 벨몬트(Belmont)- 빌라지 홈은 단독주택 38동으로 이뤄진 프로젝트다.  벨몬트는 코퀴틀람시 북동부 버크 마운틴(Burke Mt.) 산자락에 있다. 이 지역은 제2의 웨스트우드플래토로 불리는 곳으로 벨몬트 외에도 여러 주택 개발 프로젝트가 진행...
“실제 상황은 심각합니다. 주위의 많은 부동산 중개사들이 전직 혹은 겸직을 생각할 정도입니다. 거래가 실종됐다는 것은 수급 불균형 상태를 의미하며 가격하락을 동반할 수 밖에 없다고 봅니다. 예상보다 가격하락 폭이 더 깊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연방정부와 BC주정부 주택 개조에 일부 비용 지원
에너지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많은 캐나다인이 에너지 절약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캐나다에 집을 가진 한인들도 예외는 아닐 것이다. 대부분 가정의 문제는 비용이다. 입소스 리드사가 최근
“주택시장이 둔화된 것은 일시적인 공급 초과현상 때문입니다. 캐나다는 미국과 같은 주택가격 폭락세가 없을 것이며 유동성을 확보한 경우라면 오히려 지금이 기회라면
내년 11월 완공 예정… 높은 가격에 분양은 미완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 선수촌은 두 군데 세워진다. 하나는 밴쿠버시내 펄스 크릭(False Creek)남동쪽에 있다. 노스 쇼어 산맥을 먼 배경으로 가까이 밴쿠버 내항 풍경이 보이는 펄스 크릭 선수
카메론 뮈어 BC부동산협회 수석경제연구원은 15일 발표한 시장동향 보고서에서 “주택매물은 시간이 지나면 조금씩 줄어들겠지만 올해
2008년 하반기 패턴 트렌드
한인들은 여백의 미도 괜찮다고 여긴다. 꼭 다 채우지 않고 한 곳쯤 비워놓아도 자연스럽다고 생각한다. 캐나다인들은 그렇지
구매자 입장에서 봐야 팔린다
7월 캐나다 전국 부동산 거래가격은 평균 32만7020달러로 지난해 보다 3.6% 내렸다. 캐나다부동산협회(CREA)는 캐나다 국내에서 주택가격이 가장 높은 밴쿠버, 빅토리아, 캘거리, 토론토에서 주택거
엄연히 시세라는 것이 있는 법인데 요즘은 제 값 받기 힘들어요. 그저 팔았다는 것만해도 다행인 걸요. 어른들 말씀에 집을 살 때는 조금
여름철에 해두어야 할 집안 관리
캐나다 주택건축협회(CHBA)는 늦여름을 향해 가는 현재 가을과 겨울을 위한 주택 점검을 끝낼 것을 권장했다. 특히 메트로
집값 뒷걸음질 2008.08.07 (목)
밴쿠버 지역의 집값이 최근 2개월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밴쿠버부동산위원회(REBGV)가 발표한 주택시장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평균거래가격은 지난 5월 56
가처분 소득 없는 주택소유 노인을 위한 지원제도
캐나다는 인구 노령화를 겪고 있는 나라다. 이에 대비해 국가적으로 인구노화 문제에 대한 사회적 안전망이나 대책도 충실하게 마련하고 있다. 이 가운데는
“지난 5월 이후 단 1건의 거래도 성사시키지 못했습니다. 계절은 한여름이지만 주택시장은 한겨울 한파가 불어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