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BC주정부는 중국인 유학생만 좋아하나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09-24 00:00

장학금 중국본토출신 유학생만 수혜

BC주정부는 올해 3월3일 주정부 장학금 수혜대상을 유학생으로 넓히겠다고 발표하고 중국 유학생 4명을 선정해 9월18일 1인당 장학금 1만달러를 지급한다고 발표했다.

머레이 코엘 BC주 고등교육부장관은 당시 유학생에게 주정부 장학금을 주겠다고 발표하면서 “새로운 장학금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사람들과 국가로부터 우수한 인재들이 유입할 수 있도록 돕고 사회적, 교육적, 경제적 유대를 다지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당시 주정부는 예산 130만달러를 지원해 BC주 대학교에 재학중인 유학생 1인당 1만달러를 지급하겠다고 발표했다.  향후 2년간 중국학생에게만 장학금을 지원한다는 단서 조항이 붙어있었던 주정부 발표에 대해 당시 지앙휘 씨아(Xia) 중국총영사관 BC교육담당영사는 환영의 뜻을 발표했다.

이어 9월 18일 BC주정부는 중국 장학생 4명을 선발해 1인당 1만달러 장학금을 지급하게 됐다고 밝혔다. 중국유학생에 한정된 배경에 추가설명으로 BC주 정부는 “중국정부가 BC주 학생을 유치하기 위해 유사한 제도를 갖췄다”라고 설명했다.

주정부 전체 장학금 규모에 비하면 매우 작은 액수지만 상징적인 의미가 있다. 중국과 BC주가 선린관계를 갖는 동안 BC주에 가장 많은 유학생을 보내온 한국은 이런 관계를 맺지 못했다. 그간 중국은 다수의 유학생을 보내면서 유학생이 많은 지역에 교육영사(Education Consul)를 파견해 유학생 권익에 목소리를 높였다. 2006년과 2007년 중국 교육영사가 자국 학생들의 불만을 제기하면서 BC주내 일부 문제 학교는 유관협회로부터 임시영업정지 등 규제대상이 된 바 있다.

BC주정부의 한국 유학생 시장에 대한 무관심도 문제점이다. 올인원유학원 정현문원장은 “캐나다 정부나 BC주 정부는 한국인 유학생이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 정책적 배려가 부족한 것 같다”며 “한미 정상회담에서 한국 유학생이 미국에서 5개월 공부하면 일할 수 있는 자격을 준다는 제안이 나왔다거나 호주총리가 유사한 제안을 했다는 소식에 비해 캐나다는 소식이 없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공립대학교로 진학해 장기간에 걸쳐 학위수료 후 이민기회를 고려하는 중국 유학생과 사설학원에서 단기 언어연수 후 귀국하는 한국 유학생의 유학패턴 차이 때문에 한국인 유학생이 공공분야 장학금 수혜가 쉽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그러나 조기 유학생을 합치면 BC주 유학시장에 1, 2위 규모를 갖춘 한국은 중국 유학생에 비해 그다지 대우를 받지 못하고 있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