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공부하다 질려서 식사를 못한 적이 있어요”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10-01 00:00

식사 거르는 한인 학생 의외로 많은 편

본지 인턴기자들에게 ‘도시락’을 주제로 의뢰한 기사를 의뢰한 결과 도시락을 먹지 않는 학생이 대부분이었다. 인턴기자로 활동중인 대학생이나 고등학생 모두 식당에서 사먹는 것을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 사진: 한 고등학교에서 판매되는 점심식사-  황윤하 인턴기자/yuna_vip@hotmail.com

 

식당에서 사먹는 이유는 다양했다. “가방을 줄이기 위해”, “아침 일찍 도시락을 싸기가 번거롭기 때문에’, “펼쳐 놓고 먹을 곳이 마땅치 않아서” 등등이 이유였다. 도시락을 싼다고 해도 한식 도시락 보다는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샌드위치를 선호하는 학생도 적지 않았다.

한 인턴기자는 도시락을 잘 먹지 않는 이유로 식사공간이 다르다는 점을 지적했다. “한국에서는 교실에서 먹거나 급식을 받지만 캐나다는 교실 안에서 도시락을 펼치는 건 금지돼 있고 카페테리아나 사물함(locker) 앞에 앉아 먹게 된다”며 “점심시간도 길지 않고, 카페테리아에서 따뜻한 음식을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어 굳이 도시락을 어머니에게 부탁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한국식 관점에서 학생들은 ‘든든하게 먹고 공부해야’ 하지만 거주한지 오래된 학생들은 ‘점심은 대충 때우는’ 캐나다식에 더 익숙해져 있다. 한 인턴기자는 “캐나다 학교에 처음 와서 점심시간에 사과 반쪽에 요거트 하나 먹는 애들을 보고 놀랐다”며 “체중관리나 짧은 점심시간을 생각해서 나 자신이 그렇게 먹게 됐다”고 말했다. 이 인턴기자는 “이 때문에 중고등학교때 푸짐하게 싸주신 도시락을 가져가지 않겠다며 어머니를 속상하게 한 점을 미안하게 생각한다”며 “대학에 와서 도시락과 인연은 끝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 가운데 적지 않은 학생이 점심식사를 스트레스로 인해 거르기도 한다. 대학생이나 고등학생 모두 시험기간 동안 압박감으로 인해 식사를 포기한 경험이 있었다. 점심 시간 동안 무엇을 먹기 보다는 고등학생들은 숙제와 시험공부에, 대학생들은 마지막 ‘초치기’에 열을 올린 경험을 토로했다.

그러나 한인 학생들 뿐만 아니라 캐나다 학생들 사이에서 널리 퍼진 불규칙한 식습관은 학업에 오히려 좋지 않을 수 있어 학생과 학부모의 주의가 필요하다.

캐나다 영양사협회는 최근 학교내 점심식사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작업을 메트로 밴쿠버 각 지역 교육청과 추진하고 있다. 개선작업의 일환으로 각 학교들은 건강에 좋은 식품 가격을 내리고 그렇지 않은 식품 가격을 높여 책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물은 한 병에 1달러지만, 탄산음료는 1달러75센트를 받는 식이다. 카페테리아 분위기를 식당 테이블 분위기로 바꾸는 학교들도 있다. 영양사 협회는 학부모와 학생의 몫도 강조하고 있다. 협회는 “2가지 주요한 규칙이 있다”며 “아침에는 두뇌를 위한 양식을 점심에는 활동을 위한 에너지를 공급해 주어야 한다는 점이다”라고 밝혔다. 협회는 최근 의학연구보고서를 인용해 아침 또는 점심을 불규칙하게 먹는 학생들은 학습능력이 일정 시간대에 일정량을 먹는 학생보다 떨어진다는 점을 지적했다. 또한 식습관이 불규칙한 학생들은 수면시간 조절에 어려움을 겪을 확률도 더 높다.

자료제공: 밴쿠버조선일보 6기 인턴기자단

정리: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나눠 먹는 도시락은 옛 문화?

함께 나눠먹는 도시락은 한국에서 학창시절을 경험한 부모세대의 추억으로만 남을 수도 있다.  캐나다 사회는 음식에 대한 취향이 워낙 다양해 자기 것을 스스로 챙겨먹는 ‘개별 접시(personal dish)’ 식습관이 강한 사회다. 당장 먹고 있는 내 것을 남과 나누지 않는다. 한 인턴기자는 “맛있으니 먹어보라는 말에 남의 도시락에 있던 음식을 먹었더니 상대방이 상당히 당황하더라. 알고 보니 맛있으니 나중에 따로 사먹으란 뜻이었다”라고 경험담을 소개했다.

여기에 알러지 환자가 늘면서 구성물질을 알 수 없는 식품은 나눠먹지 말라는 공식 권고도 있다.  캐나다 보건부는 지난달 26일 점심 도시락으로 인한 알러지 발병 가능성을 경고하면서 “캐나다 국내에는 120만명이 알러지로 생명이 위험할 수 있으며 아동들 알러지 환자가 늘어나고 있어 학생들 점심을 싸는데 부모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보건부는 “극소량의 식품이더라도 위험할 수 있어 많은 초등학교는 특정 식품을 점심에 싸오지 말라고 규정하고 있어 학부모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학교와 부모가 ‘성분을 알 수 없는 음식은 먹지 말라’고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어 ‘외래 음식’에 대해 지나치게 경계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한 고등학교 카운셀러는 이 문화적 차이로 인해 “한 한국학생이 떡을 돌리려다가 거절당해 상당히 속상한 경험을 하기도 했다”며 “그러나 식재료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는 최근 상황을 설명해주고 떡의 재료를 설명한 후 원하는 사람만 받도록 해서 문제를 해결했다”고 예시를 들었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