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네덜란드·스위스…엄마들이 꾸민 아이방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11-04 00:00


한국과 유럽의 아이방은 무엇이 다를까? 여기 서울에서 살지만, 엄마와 아빠가 직접 유럽에서 공수해온 소품들로 꾸민 아이방을 소개한다. 아이에게 최고의 공간을 선물해주고 싶은 부모의 마음은 같되, 실용적이면서 심플하게 아이방을 꾸미는 것이 바로 유럽 스타일이다.


네덜란드 쿠엔틴의방

“충분한 공간과 컬러감으로  상상력을 키워줘요”


네 살배기 쿠엔틴의 방에는 두 개의 옷장이 있다. 하나는 사계절 옷을 모두 보관할 수 있는 큰 붙박이 옷장이고, 다른 하나는 자주 입는 옷만 따로 보관하는 자그마한 옷장이다. 자그마한 옷장은 체코에 사는 엄마의 친구가 선물한 것으로 아빠가 새롭게 색을 칠하고 왕관을 그려 넣은 빈티지 제품.

한국에서 아이방 꾸밀 때 가장 신경 썼던 부분은 무엇보다 기능성과 안전. 그리고 아이가 상상의 날개를 펼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만들어주는 일이었다. 그래서 쿠엔틴의 방에는 생기 넘치는 몇 개의 그림이 걸려 있다. (모두 쿠엔틴이 좋아할 만한 것들로 주변에서 보내온 선물이다).   

네덜란드에서 아이방을 꾸밀 때는 가구보다는 벽 컬러에 더 신경 쓰는 편. 특별히 피하거나 선호하는 컬러 없이 이것저것 아이가 좋아할 만한 컬러로 벽을 꾸며 방 분위기를 바꾼다. 쿠엔틴 엄마의 말을 빌리면, 한국의 몇몇 여자아이 방을 구경하는 기회가 있었는데, 그들은 하나같이 약속이나 한 듯 핑크컬러만을 이용, 마치 공주방처럼 만들어 놓은 것같아 깜짝 놀랐단다.


주부 비아트릭스가 꼽은 인테리어 숍

룸 세븐(www.roomseven.co.kr)은 네덜란드에서 건너온 아이용 의류&가구 브랜드, 저렴하게 구입하고 싶다면 30~50% 할인된 룸세븐 여주 프리미엄 아울렛을 이용해도 좋다 (031-880-1541). 아이핑거사(www.new housing.org)는 다양한 패턴이 살 아있는 네덜란드 벽지로 아이방에 포인트 벽을 만들어 주기에 좋다.

 

스위스 세 자매의 침실

“자매가 사이좋게 나란히 누울 수 있게 침대를 배열했어요”


스위스에서는 아이방을 꾸밀 때 침대를 창 아래에 두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낯선 사람이 아이를 지켜볼 수 있기 때문이다.

아이방을 꾸밀 때 가장 중요한 점은 아이들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가 하는 것.
물론 여자아이 세 명이 함께 쓰는 방이라 아이들 모두가 만족하는 스타일의 방이어야 한다는 것도 중요하다. 세 자매의 방은 엄마의 취향대로 심플한 디자인의 가구로 꾸몄는데, 아직까지는 세 딸의 불평이 없었다고. 가구는 실용적인 디자인이면서 동시에 퀄리티와 가격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것으로 구비했다.

또한 아무리 좋은 가구라 하더라도 높은 가격대라면 일단 피하는 편. 금세 자라나는 아이들이 침대며 기타 가구들을 오래 사용할 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 아이들의 침대를 고를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들이 편안하게 잠들 수 있는 매트리스의 선택이다. 또 아빠가 외교관이라서 자주 이사를 해야 하기 때문에 여러 번 옮겨도 튼튼한 제품을 고른다.

어떤 가족들은 벽에 색칠하는 것을 즐기기도 하고, 또 패턴이 있는 스티커를 붙이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스위스인들은 화이트를 선호하는 편이라고. 또 아이의 방을 꾸밀 때 가장 피해야 할 것은 TV라고. 아이방에는 절대 TV를 두지 않는단다.


주부 수산나가 꼽은 스위스풍 인테리어 숍

유럽인들에게 기본적으로 사랑받는 브랜드인 이케아. 저렴하고 심플한 디자인이라 많은 이들이 즐겨 찾는다고. www.ikea.com을 클릭하면 제품소개 및 인테리어 스타일링도 볼 수 있다.

 

여성조선
진행 이미정 기자 | 사진 신승희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