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오바마 경제’는 ‘좋은 예감’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11-06 00:00

보호주의 성향 보이면 캐나다에 악재

캐나다 경제계는 미국 대선이 캐나다 경제에 미칠 영향 전망보고서를 연달아 발표했다. 도날드 콕스(Coxe) BMO파이낸셜 국제투자전략담당은 “오바마의 승리는 부정적인 전망이 과도해진 시점에 미국에 ‘좋은 예감(feel-good)’을 제공해주는 계기가 됐다”며 “오바마는 경기후퇴(recession)에 대응하는 경제 중심의 예산집행 전략을 곧 들고 나올 것이며 주식시장은 단기간내 이익실현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경제 문제의 해결사로 선택돼 관련 사안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해야 할 입장이다. 앤드류 버크(Busch) BMO국제자본시장전략담당은 “미국은 1500억달러의 경제활성화 종합정책(Stimulus package)을 올해 3월에 실행해 내년 4월과 5월 소비자의 소비증대를 꾀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를 위해 막대한 국채발행과 관련 이자율 조정이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미국의 소비증대 정책은 캐나다 수출 증대와 경제회복에도 좋은 영향을 끼친다.

단 미국이 보호무역 성향을 띄게 돼 수출마찰이 일어나면 캐나다는 이런 좋은 영향을 누리기가 어렵다. 캐나다와 호주달러처럼 원자재 가격에 묶인 화폐들은 경제회복이 두드러지면 가치가 상승하지만, 미국정부의 보호무역 등으로 인해 기축통화 미화를 가져올 길이 막히면 가치가 하락할 수 밖에 없다.

캐나다 경제전문가들은 미국 민주당의 특징 중 하나인 ‘자국경제 살리기’를 위해 캐나다-미국간에 자유무역 기조를 훼손하게 되면 캐나다 경제가 전적으로 불리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그럴 가능성은 없지만’ 이란 전제아래 오바마 당선인이 후보 당시 NAFTA(북미자유무역조약) 재협상 가능성 시사한 점을 문제로 거론했다. 당시 오바마 당선인은 “백악관에서 첫날 ‘캐나다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 NAFTA를 찢어 버리고 있는 중이라고 발표하라고 하겠다”고 말해 캐나다의 ‘총리(Prime minister)’를 모른다며 일부 캐나다 언론의 빈축을 샀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