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로미오와 줄리엣' 공연 앞둔 강수진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11-14 00:00

“한국서 마지막 ’로미오와 줄리엣’ 공연 슬프고 떨려”


“은퇴하기 전에 꼭 한국 관객들 앞에서 다시 한번 ’로미오와 줄리엣’을 전막으로 보여드리고 싶었습니다. 슬프기도 하지만 그 느낌은 공연을 끝내고 독일에 돌아가면 알 수 있을 것 같아요”

17-18일 슈투트가르트 발레단의 대표 레퍼토리 ’로미오와 줄리엣’ 전막 공연을 위해 14일 입국한 발레리나 강수진(41)은 설레는 마음을 먼저 전했다.

“1994년에 처음으로 한국 관객들 앞에서 ’로미오와 줄리엣’을 공연하고 14년이 흘렀지만 달라진 것은 없어요. 하지만 한국 관객 앞에 서는 것은 언제나 더 떨림이 있어요”

’로미오와 줄리엣’은 무명의 강수진이 처음 주역으로 데뷔한 작품. 1993년 존 크랑코 안무의 ’로미오와 줄리엣’ 초연 30주년 기념무대였다. 1986년 동양인 최초로, 최연소의 나이에 슈투트가르트 발레단에 입단한 지 7년만이었다.

성공적으로 데뷔 무대를 치른 강수진은 이듬해인 1994년 ’로미오와 줄리엣’을 들고 한국을 찾았던 것. 이번에는 지난해 강수진이 ’존 크랑코 상’을 수상한 것을 기념하는 무대다.

“나이가 나이인만큼 은퇴 전에 제가 하는 모든 작품을 전막으로 한국 관객들에게 보여주고 싶었어요. 그 첫 번째는 당연히 ’로미오와 줄리엣’이고요. 물론 다음번에는 ’춘희’나 ’오네긴’으로 다시 찾아뵙겠지만, 한국에서의 ’로미오와 줄리엣’은 마지막입니다”

마흔이 넘은 나이에 10대의 줄리엣을 연기하는 강수진은 “예술이 아름답고 재미있는 이유는 그 역에 몰두하면 열 세살로도 열 다섯살로도, 또 일흔살로도 갈 수 있고, 다른 세계에서 살 수 있기 때문”이라며 “마흔이 넘어 하는 줄리엣이 오히려 처음보다 더 신선하다”고 말했다.

예술감독인 리드 앤더슨도 “여러 해 동안 여러 곳에서 존 크랑코의 ’로미오와 줄리엣’을 보고 가르쳤지만, 나이가 많은 성숙한 발레리나일수록 훨씬 풍부하고 감성적으로 표현해 낸다”며 거들었다.

이번 공연에서 로미오 역으로 강수진과 호흡을 맞출 발레리노는 폴란드 출신의 필리프 바란키비츠(29)와 네덜란드 출신의 마레인 라데마케르(29).

강수진은 “똑같은 스텝을 하지만 저도 무대에 오를 때마다 다른 느낌으로 춤추고, 파트너가 바뀌면 또 다른 ’로미오와 줄리엣’이 된다”고 말했다.

“사람마다 서로 다르게 사랑을 주고 받잖아요. 눈을 마주칠 때 느낌이 달라요. 똑같이 들어올리는 동작을 해도 손을 통해 전해 오는 느낌이 다르고요.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자기만의 로미오가 있으니까요”

은퇴 이후의 계획을 묻자 “서른살때는 마흔이 넘을 때까지 춤 출 수 있다고 생각한 적이 없는데 지금 더 즐기면서 추고 있다”며 “언제가 될 지는 모르지만 당연히 발레 세계 안에서 내가 100% 줄 수 있는, 진짜 사랑하는 쪽으로 선택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방송을 통해 독일에서의 생활을 공개한 강수진은 발레단의 동료 무용수였던 남편과의 행복한 가정 생활과 고민을 솔직하게 털어놓기도 했다.

그는 “오늘 공항에 도착하고 아직 부모님을 못 만났다”며 “한국을 떠날 때부터 지금까지 항상 미안한 마음이고, 그 얘기만 나오면 마음이 무거워지지만 좋은 신랑을 만나서 고민은 신랑이 다 받아주기 때문에 저는 행복한 여성”이라고 말했다.

“처음 결혼해서는 아기를 가지려고 많이 노력했지만 잘 안돼서 둘 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는데 노력해서 안되는 건 2세 문제더라고요. 언젠가 때가 되면 있을 것이고 지금은 우리 강아지들이랑 고양이들이랑 너무 행복해요”


연합뉴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