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캐나다 학업 정보 [에세이·작문능력 향상시키는 요령]②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11-14 00:00

에세이 훈련 요령 (상급 수준)

아래의 훈련 요령은 에세이의 종류에 관계없이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과정이나 요령들을 설명한 것으로 이를 통해 에세이 쓰는 요령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 형식 및 주제를 정한다

① 에세이의 본문이나 구조가 어떤 형식으로 작성되어야 하는지를 파악한다.

아마도 교사가 에세이 과제의 주제를 정해 주었거나 여러 주제들 중 자신이 원하는 주제를 선택해 에세이를 작성하도록 과제를 내줄 것이다. 주제들은 아래와 같은 핵심 단어들과 연관되어 있어 어떤 형식으로 에세이가 구성되어야 하는지 암시한다. 아래의 형식들은 에세이뿐만 아니라 주관식 시험, 작문 과제에 모두 해당됨으로 그 의미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Analyze (분석) 형식: 분석은 대상이나 개념을 이를 구성하는 요소들로 구별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시, 소설, 연극” 등에 관한 분석하라고 과제가 주어지면 이를 구성하는 요소들인 관점, 배경, 등장 인물, 주제, 줄거리, 동기 등에 대해 분석하여 이 요소들이 모여 어떻게 작품을 이루는지 설명한다.

·Argue (논쟁) 및 Criticize (평론) 형식: 논쟁이나 평론하라는 과제가 주어지면 어떤 주제나 관점에 대해 찬성 또는 반대를 하는 자신의 의견을 밝히는 것으로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나 예를 반드시 언급해야 한다.

·Compare (비교) 및 Contrast (대비) 형식: 두 단어는 함께 사용되기도 하는데 “비교” 하라고 과제가 주어졌을 때에는 유사한 점과 차이점을 함께 언급하고 “대비” 에는 차이점만 밝히면 된다.

·Define (정의) 형식: 이 형식은 간결하고 명확하며 믿을만한 의미들을 서술하는 것으로 너무 자세하게 서술할 필요는 없다.

·Describe (설명) 형식: 주어진 과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라는 의미로 독자들은 이 에세이를 통해 당신이 설명하고자 하는 내용에 대한 명확한 이미지를 얻게 된다.

·Diagram (도표) 형식: 주제와 관련된 특별한 도표, 차트, 그래픽을 첨가하는데 이 때 영역에 대한 서식을 함께 기재해 도표의 이해를 돕고 필요에 따라 간단한 설명도 함께 포함된다.

·Discuss (토론) 형식: 이 방식은 논쟁과 유사한데 주제에 대해 주의 깊게 분석하고 장, 단점을 파악한 후 여러 가지 이유나 예를 들어 자세하게 주장 또는 논하면 된다.

·Enumerate (열거) 및 List (나열) 형식: 이 단어의 의미는 목록이나 요점들을 열거하라는 의미로 하나씩 간결한 형식으로 나열하면 된다.

·Evaluate (평가) 형식: 평가하라는 과제나 문제가 주어지면 주제가 강조하는 강점 및 한계에 대해 신뢰할 만한 주의 깊은 평가를 내린다. 

·Explain (설명) 형식: 여기에서는 주어진 주제에 대해 명확한 해석이나 설명을 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실험 결과나 의견에 차이가 있을 때 이를 설명하라는 문제라면 “어떻게” 또는 “왜”라는 방식을 통해 이를 설명하는 것이 좋은 해답이 될 것이다.

·Illustrate (예증) 형식: 예증은 설명 형식 방식에 자신의 답변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숫자, 그림, 도표 또는 구체적 예를 제시해야 한다.

·Justify (증명) 형식: 주제에 대해 증명하라는 과제가 주어졌을 때는 반드시 이를 증명하는 명확한 근거나 증거를 제시해야 한다.

·Outline (개요) 형식: 주어진 주제에 대해 체계적인 설명을 하라는 방식으로 핵심 요점과 이를 뒷받침하는 보조 내용들을 서술한다. 이 때 너무 사소한 것이나 자세한 내용은 제외시키고 정보를 조직적으로 배열 및 분류한다.

·Prove (입증) 형식: 증명 또는 검증하라는 과제로 검증된 자료를 논리적인 방법으로 평가 또는 인용하여 이를 분명히 밝히는 것이다.

·Relate (연관) 형식: 문제에 대해 서로의 연관성을 밝히라는 과제로 관계 및 관련된 사항을 서술하면 된다.

·Review (논평) 형식: 문제의 주된 관점에 대해 체계적인 귀결 방식에 의해 분석하거나 짧게 논평하면 된다.

·State (진술) 형식: 주어진 문제에 대해 간명한 이야기 형식으로 서술하는데 일반적으로 너무 자세한 서술이나 예를 들지는 않는다.

·Summarize (요약) 형식: 주된 생각을 간단하게 서술한다. 이 때 너무 상세한 예를 드는 것은 삼가 한다.

·Trace (자취) 형식: 이 과제는 주어진 사건의 과정을 밟아 나가는 것으로 과정 설명, 역사적 흐름, 기원과 전개 과정 등을 들 수 있다.

자신이 쓰고자 하는 에세이, 작문 과제, 주관식 시험 문제가 위의 전개 형식 중 어느 것에 속하는지 분명히 인식하고 글을 쓰기 시작해야 한다.
 


②충분히 시간을 갖고 자신이 관심 있는 주제를 선택한다.

만약 주어진 주제가 없고 자신이 직접 선택해야 경우 아래와 같은 내용들에 대해 스스로 질문하고 답을 구하여 본다.

·어떤 주제들에 대해 관심이 있는가?
·선택한 주제의 어떤 사항들이 당신의 흥미나 관심을 유발하는가?
·선택한 주제와 관련해 당신이 궁금해 하는 사항이나 수수께끼가 있는가?
 

③ 선택한 주제는 자신이 작성할 분량을 고려해 그 범위를 적당히 좁혀야 한다.

예를 들어, 가족에 대해 한 장 정도 에세이를 작성하는 경우 “가족 누구의 특별한 성격이나 재미있는 사건” 등과 같이 범위를 좁혀 초점을 맞추어야지 만약 가족 모두의 삶에 대해 이야기 한다면 범위가 너무 광범위해 분량이나 흥미를 맞출 수 없을 것이다.

만약 주제로 “My father”라고 한다면 너무 광범한데 이런 경우 “My father is my best friend.” 로 수정하고
“Volcanoes of the world”의 경우에는 “The eruption of Mt. Pinatubo in June 1991” 로 범위를 좁혀 나갈 수 있다.
 

④주제를 좁혀 나가고 주제와 관련한 소 주제를 구할 수 있는 좋은 방법으로 brainstorming 을 이용한다.

이 방법은 머리 속에 떠오르는 대로 아이디어를 기록해서 가장 좋은 것들을 선택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아이디어들을 얻을 수 있다.

·연필과 종이를 가지고 책상에 앉는다. 주제에 대해 짧은 시간 (5분 정도) 동안 머리 속에 떠오르는 대로 종이에 적는다.


  IGE 유학 제공 www.iglobaledu.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