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쌍둥이 지구별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11-14 00:00

 

어린 시절 밤하늘은 지금보다 더 선명했다. 초롱초롱한 별이 손을 내밀면 금방이라도 닿을 듯 보였다. 하지만 정감 어린 밤 하늘은 차츰 흐려져 갔다. 매연이 세상을 가득 메우면서 밤 하늘의 신비는 점점 호기심을 상실했다.

수년 전 강원도 오대산에서 어린 시절 그 밤 하늘을 다시 보았다. 밤 하늘은 사라진 게 아니었다. 밤 하늘은 놀랍게도 여전히 별들로 빼곡하게 채워져 있었다. 밤 하늘은 그대로 인데 그와 나 사이가 멀어 졌을 뿐이었다.

저 망막한 우주에 또 다른 생명체가 있을까. 누구나 한번쯤 품어 봤을 의문이다. 외계인에 대한 호기심은 인간의 오래된 숙제다. 하지만 누구도 구체적인 증거를 내놓진 못했다. 외계인이 없다고 단언하는 과학자도 많다. 하지만 그 누구도 확증을 보여 주진 못했다.

지구 밖 우주에 생명이 살려면 우선 환경이 문제다. 지구에 생명체가 살수 있는 이유는 절묘한 위치 선정 때문이다. 금성은 지구보다 태양에 4200만km 더 가까이 있다. 그런 탓에 표면 온도가 470도나 된다. 생명이 살아 갈 수 없는 환경이다. 지구보다 더 멀리 떨어진 화성의 온도는 영하 47도다. 역시 인간이 살기 힘들다.

 만약 지구와 유사한 환경을 가진 별이 있다면 외계인이 존재하지 않을까. 얼마 전 새로운 행성의 발견이 과학계를 흥분시킨 적 있었다. 이 별은 지구와 유사한 환경을 지녔다. ‘581c’라는 이름의 별은 지구와 20.5 광년 떨어져 있다. 지표면의 온도가 섭씨 0도~40도여서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이 매우 높다.

지금까지 인류가 발견한 220개의 행성은 모두 너무 춥거나 너무 뜨거웠다. 따라서 물이 존재하기 힘들다. 그만큼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은 희박하다. 그런데 ‘581c’는 지구의 환경과 닮아 얼마든지 생명체가 살 수 있다.

우주 공간 저 편 어디에 과연 또다른 생명체가 존재할까. 교황청 신학자 발두치 신부는 외계인이 실제로 존재한다고 단언한다. 발두치 신부는 “교황청이 세계 곳곳으로부터 외계와의 접촉에 관한 보고를 받아 왔다”며 조만간 이를 발표할 것이라고 이탈리아 TV에서 밝혔다.

외계인과 관련된 UFO에 대한 보고도 많다. 2004년 5월 멕시코 국방부는 공군에서 촬영한 UFO 동영상을 공개했다. 이듬해 브라질 공군도 UFO 파일을 내놓아 충격을 주었다. 또 아폴로 우주인이기도 한 브라이언 오레리 박사는 “미국이 60년 전 로즈웰에 추락한 외계인으로부터 신기술을 획득했다”는 주장을 펴기도 했다.

 하지만 반론 역시 만만치 않다. 실제로 UFO와 외계인이 존재한다면 아직 우리 눈앞에 나타나지 않을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사람들이 보았다는 UFO는 모두 착각이라는 주장이다. 덴마크의 수학자 라스무스 비욕은 복잡한 수학적 계산을 통해 “외계인이 있더라도 아직 지구에 올 시간이 부족하다”는 흥미로운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그에 따르면 광속의 1/10인 초속 3만 km(이는 토성 탐사선의 1000배 빠르기다)로 비행하는 UFO가 지구 주변을 뒤지는데 걸리는 시간은 10만년이다. 이를 은하계로 확대하면 더욱 오래 걸린다. 비욕이 계산한 시간은 무려 100억년이다. 따라서 외계인이 지구에 오는 장면을 보려면 인내심을 가지고 더 기다려야 한다. 우주에 관한 수치는 이래 저래 사람을 질리게 만든다.  인생은 길어야 100년인데 100억년이라니.

우주인 유진 서넌은 두 차례나 달에 다녀 왔다. 총 566시간에 달하는 우주 비행 시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서넌은 “우주 공간에서 바라본 지구는 너무 아름다웠다. 우연히 만들어 졌다고는 도저히 믿기지 않는다. 우주 체험을 할 때 마다 신의 존재를 믿게 된다”고 밝혔다. 절대자의 완벽한 손길이 아니고는 창조해 낼 수 없는 장엄한 아름다움을 지구라는 별은 가지고 있다.

 아인쉬타인은 “신은 주사위를 던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천재 과학자의 눈에 비친 우주는 결코 우연히 만들어지지 않았다. 우주의 질서는 반드시 있어야 하기 때문에 있는 것이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