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조선데스크] 미(美), 일본차는 안 때리는 이유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11-17 00:00


매년 5월 일본 도요타차의 미국 법인인 도요타모터 세일즈(TMS)는 성적이 우수한 미국 고교 3년생 100명을 대학 4년간 장학생으로 선정, 발표한다. 올해 12번째인 이 '도요타 커뮤니티 스칼라십(scholarship)'에는 전국에서 8000여 명이 응모했다. 1997년부터 지금까지 1200명에게 지급된 장학금만 1300만 달러(약 181억원).

하지만 장학생 프로그램은 도요타의 현지화 활동 중 일부분에 불과하다. 올해에만 허리케인 아이크 구호(100만 달러), 에버글래이드국립공원 기금(100만달러), 과학기술자 지원(50만 달러) 등 30여 건에 700만 달러 정도를 기부했다. 지난 4월에는 스페인계 등 이민자 가정의 문맹(文盲) 퇴치를 위해 60만달러를 냈다.

1987년 출범한 '도요타 USA 재단'도 4200만 달러이던 기금을 올 들어 1억 달러(약 1400억원)로 두 배 이상 늘렸다. 지역사회 지원 등 현지화 활동을 대폭 강화하겠다는 포석에서다.

뿐만 아니다. 11개 주 현지 공장을 통해 4만2000여 명의 미국인을 직접 고용하고 있는 도요타차는 틈만 나면 신문·방송 등을 통해 "도요타는 미국인과 미국 경제에 도움되는 '미국 기업'"이라고 선전한다. 실제 도요타는 지난해 미국 총판매 대수가 262만여 대지만, 이 중 현지 생산대수가 133만여 대로 절반이 넘는다.

그러다 보니 주지사와 시장, 상·하원 의원은 물론 지역상공회의소, 자동차노조, 부품업체와 판매 딜러들까지 쌍수를 들고 스스로 도요타의 우군(友軍)임을 자처하고 나선다.

실제로 올 3월 도요타가 미시시피 주 투펠로에 13억 달러를 들여 12번째 미국 공장을 짓기로 결정하자, 트렌트 롯(Lott·공화당) 상원의원은 "6000명이 넘는 미국인을 뽑는 도요타는 미국 회사이다. 우리는 도요타를 위한 전사(戰士)들이 되겠다"고 선언했다.

워싱턴에서 의회 등을 겨냥한 로비도 적극적이다. 2002년부터 매년 9월 워싱턴 DC에서 '플라이 인(Fly-in)'이라는 행사를 여는 게 대표적이다. 이를 통해 11개주에 나와 있는 도요타의 관계자들이 2박3일 동안 합숙하며 로비 전략을 협의하고 세부 기법을 익힌다. 컨설턴트가 강의 등을 하고 마지막 날엔 3~4명씩 의원 사무실을 찾아가 실전(實戰) 로비를 하는 방식이다.

이런 노력 덕분에 도요타는 의회에서 하이브리드 승용차인 '프리우스'에 대해 대당 2000달러의 감세(減稅)결정을 이끌어 냈다. 캘리포니아 주가 최근 자동차회사에 2%를 무공해차로 팔도록 한 법안을 내놓으면서 무공해차 범위에 도요타가 강한 하이브리드카를 포함시킨 것도 성과로 꼽힌다.

도요타의 워싱턴 현장 로비는 딕 체니 부통령과 절친하면서 미국자동차제조사연맹(AAM) 회장을 지낸 특급 로비스트인 조세핀 쿠퍼(Cooper)가 총지휘하고 있다. 전담 로비스트만 7명, 워싱턴 사무소 상주 직원만 38명이나 된다.

이런 도요타 사례를 우리 업계와 비교하는 것 자체가 무리일지 모르겠다. 우리는 앨라배마 주에 7000여 명을 고용하는 현지 공장 하나 달랑 두고 특별한 현지화 노력이나 로비도 하지 않은 채, "시장 점유율 5% 남짓한 한국 업체만 불공정 무역 대상으로 공격받는 것은 부당하다"며 볼멘소리나 하고 있다.

미국 시장 점유율이 40%에 달하고 미국 '빅3'의 몰락을 낳은 최대 주범인 일본차들이 정작 현지에선 '미국인들의 친구'로 불리며 승승장구하는 비결을 배워야 하지 않을까?


송의달 산업부 차장대우 edsong@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