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캐나다 학업 정보 [에세이·작문능력 향상시키는 요령]③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11-19 00:00

◇아이디어를 개요화 한다

일단 주제 및 소 주재에 대한 아이디어가 나왔으면 이를 정리해 에세이의 뼈대를 구성하는 개요를 작성한다.
주제와 이를 뒷받침하는 소 주제들을 나열한다.
이때 소 주제들 중 중복되는 아이디어가 있으면 통합 또는 삭제 시킨다.
소 주제가 충분하지 않다면 다시 brainstorming을 통해 아이디어를 더 마련한다.

아래의 예는 “수영 경기가 아이들에게 좋은 운동” 이라는 주제에 대한 에세이의 개요를 작성한 것이니 참고하기 바란다. 예제는 이미 발표되었던 내용으로 재 사용해서는 안 된다.

Competitive Swimming, an Ideal Sport for Kids

1. Introduction (서론)
2. Competitive swimming provides same benefits as other sports (소 주제)
   It is good exercise and builds muscular strength / It promotes cooperation among team members, especially in relays
3. Competitive swimming provides some additional benefits (소 주제)
   Swimming is an important skill that can be used forever / There is a reduced risk of injury / Each swimmer can easily    chart his or her own progress (소 주제)
4. My personal experience as a competitive swimmer
   I enjoy working with my coach  / I’ve made a lot of friends on the swim team
5. Conclusion (결론)


◇초안을 작성한다

준비된 개요를 토대로 에세이의 주 구성 요소인 서론, 본론, 결론 부분들을 작성한다. 각 부분들의 자세한 의미는 다음과 같다.

1. 서론   에세이의 첫 단락 부분으로 단락의 시작은 주제에 관해 개괄적으로 언급하고 단락의 끝은 이 에세이에서 말하고자 하는 주된 아이디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언급한다. 아래와 같이 서론에서 표현해야 하는 요소들을 참고하여 서론을 작성하도록 한다.

독자들이 주제가 무엇인지를 알도록 한다. (에세이가 말하려고 하는 주제)
독자들이 글을 쓴 사람의 관점이 무엇인지 알도록 한다. 
독자들의 호기심을 유발하여 그들이 에세이를 읽고 싶어하도록 관심을 불러 일으킨다.

2. 본론   서론과 달리 여러 단락으로 구성되어 각 단락별로 주제를 뒷받침하는 소 주제와 이를 설명하는 의견, 주장, 근거들이 제시된다.

각 단락마다 하나의 소 주제를 제시한다. 하나의 단락에 두개 이상의 소 주제들을 제시하면 안된다.
단락들의 흐름 전개가 논리적 순서에 어긋나지 않도록 배치한다.
자신의 관점이나 주장을 증명해줄 수 있는 적절한 근거나 인용구를 이용한다.
아이디어, 문장, 단락 간에 아래와 같이 적절한 접속 관용사를 이용하여 연결을 부드럽게 하고 보다 명확한 의미를 전달한다.


추가 정보를 제공할 경우
Besides / Furthermore / In addition / Indeed / In fact / Moreover / Second, Third, etc.

예를 들 경우
For example / For instance / In particular / Particularly / Specifically / To demonstrate / To illustrate

이유나 원인을 제시할 경우
As / Because / Because of  / Due to / For  / For the reason that / Since

결과나 효과를 제시할 경우
Accordingly / Finally / Consequently / Hence / So  / Therefore / Thus

목적이나 사유를 언급할 경우
For fear that / In the hope that / In order to / So / So that / With this in mind

비교나 대비를 할 경우
Although / However / In comparison / In contrast / Likewise / Nevertheless / On the other hand / Similarly / Whereas / Yet

시간이나 시차와 관련된 문장을 사용할 경우
After / Before / Currently / During / Eventually / Finally / First, Second,… etc. / Formerly / Immediately / Initially / Lastly / Later / Meanwhile / Next / Previously / Simultaneously / Soon / Subsequently

요약을 할 때
Briefly / In brief / Overall / Summing up / To put it briefly / To sum up / To summarize

결론을 맺을 때
Given these facts / Hence / In conclusion / So / Therefore / Thus / To conclude


3. 결론   에세이의 마지막 단락으로 다음과 같은 요소를 담고 있어야 한다.
자신의 주된 관점을 요약해서 말한다.
새로운 의견 제시나 예 및 인용구들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주된 관점을 다시 한번 재 표명한다.


◇초안을 수정한다

초안을 수정한다는 것은 자신의 아이디어들을 다시 생각해보고, 논쟁들을 좀 더 세련되게 수정하고, 단락들을 재구성하고, 문장들에 사용한 단어들을 교체하는 것을 모두 의미한다.

-작성한 초안은 1~2일 정도 수정하지 않은 채로 그대로 나둔다. 수정 전에 시간의 공백을 가짐으로 작성한 에세이를 보다 객관적 시각에서 볼 수 있고 문제나 잘못된 점들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초안을 수정한다는 것은 자신의 아이디어들을 다시 생각해보고, 논쟁들을 좀 더 세련되게 수정하고, 단락들을 재구성하고, 문장들에 사용한 단어들을 교체하는 것을 모두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자신의 아이디어를 보다 구체적으로 개발하고,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보다 많은 증거 자료를 제시할 수도 있고 반대로 쓸데 없는 예제, 중복된 표현, 주제를 벗어난 표현 등은 수정 또는 삭제한다.

-단락의 내용 전개 순서가 논리적인지 확인한다. 만약 단락들의 순서가 자연스럽지 못한 경우 단락들의 위치 조정을 결정한다.

-수정한 초안을 큰소리로 읽어 본다. 이렇게 하면 어색하거나 뜻이 명확하지 않은 문장들을 구별하기가 용이하다.

-다른 사람에게 작성한 에세이를 읽게 하고 혹시 불명확하거나 혼동을 주는 내용이 있는지 확인한다.


◇최종안을 교정한다

-주의 깊게 잘못된 철자, 맞춤법, 구두법, 대문자 등의 문법 오류를 찾아내 교정한다.

-컴퓨터로 작성한 경우, 철자 및 문법상 오류가 자동으로 검색되지만 모든 오류를 찾아내지 못하고 오히려 잘못된 교정을 유도하는 경우도 있다. 그럼으로 컴퓨터를 100% 신뢰하지 말고 필히 작성한 에세이를 출력해 직접 펜을 들고 교정하는 습관을 들이도록 한다.

-최종안은 적어도 마감 2일전까지는 준비하도록 계획 목표를 정한다.

좋은 에세이를 쓸 수 있는 능력은 장기간 동안 꾸준한 독서와 반복 훈련 및 좋은 에세이나 작문들을 자주 접해야 한다. 이는 단순히 Elementary 나 Secondary School 뿐만 아니라 대학에 진학해서도 과제나 에세이를 계속 사용해야 하는 능력이므로 어렸을 때부터 꾸준한 훈련을 해 나가야 한다.

좋은 에세이나 작문의 예들은 인근의 도서관에서 에세이 관련 책들을 빌려 보고 스스로 보다 체계적인 작문 훈련을 원할 경우에는 전문 추천 도서인 “The Professor’s Secrets - Breaking The Silence How To Write Essays and Term Papers” 책을 구입해 학습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The Professor’s Secrets 구입: http://www.profsecrets.ca/


IGE 유학 제공  www.iglobaledu.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