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해적 소탕 한국의 '강감찬함'이 납신다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11-20 00:00

▲한국형 구축함  강감찬함

 내년 1월 파견 '강감찬함(艦)'은 해군 특수부대 30명 탑승
미군 지휘·지원 받아


소말리아 해적 소탕을 위한 국제공조 차원에서 한국형 구축함 강감찬함(艦)이 이르면 내년 1월 말쯤 현지에 파견될 예정이다. 파견될 강감찬함(5000t급)은 미 5함대사령부 예하에 설치된 연합 해군사령부 산하 3개 그룹 중의 하나인 CTF(Combined Task Forces) 150에 소속돼 작전할 것으로 알려졌다.

CTF 150에는 10여개국에서 파견된 2000~4000t급 함정 10여척이 활동 중이다. 해군은 별도의 군수지원함은 파견하지 않을 예정이어서 강감찬함은 미군 등으로부터 보급지원을 받아야 한다.

4, 5개월 일정으로 파견될 강감찬함은 보통 2주마다 기름 등의 보급이 필요하다. 군 당국은 강감찬함이 미 5함대사령부가 있는 바레인항과 군수기지로 활용될 수 있는 지부티항에 들어가 보급을 받도록 할 계획이다. 기름은 후불제(後拂制)로 미군으로부터 지원받으며, 쌀 등 주식은 몇 개월치를 함정에 싣고 가되 부식 등은 항구에 정박했을 때 공급받을 예정이다. 해상에서 오랫동안 작전해야 할 경우엔 미군 군수지원함으로부터 해상에서 기름을 보급받게 된다. 기름값 등 연간 파병예산은 60억원 이상이 들 것으로 추정된다. 강감찬함의 승무원은 모두 200여명이다.

해적이 밤에 소형선박으로 강감찬함 가까이 은밀히 접근, 로켓추진유탄발사기(RPG-7) 등으로 공격해올 경우의 대비책도 군당국이 고심하는 대목이다. 강감찬함에는 사거리 100㎞가 훨씬 넘는 스탠더드 SM-2 함대공(艦對空)미사일 32발과, 사거리가 150여㎞에 달하는 국산 '해성' 함대함(艦對艦)미사일 8발 등이 장착돼 있다. 그러나 작은 해적선을 잡는 데 '해성' 미사일을 쓰는 것은 모기 잡는 데 검을 빼 드는 것과 마찬가지다.

이에 따라 함정 앞부분에 설치돼 있는 구경 127㎜ 함포와 구경 30㎜ '골키퍼' 근접방공시스템 등이 비교적 멀리 떨어진 해적선을 공격하는 데 활용될 것으로 분석된다. 가까이 접근한 해적선은 이들보다 구경이 작은 구경 12.7㎜ K-6 기관총 등으로 잡게 된다. 프랑스가 특수부대를 투입해 해적을 소탕했듯이 강감찬함에도 해군의 최정예 특수부대 UDT/SEAL 요원 30여명이 탑승한다. 이들은 첨단 저격소총 등으로 무장하고 해적을 제압한다.

이들이 효과적으로 작전을 하려면 수송용 헬리콥터가 필요한데 강감찬함에는 대잠(對潛) 헬리콥터인 '링스'만이 탑재돼 있어 UDT/SEAL 공중투입에 한계가 있다. 특수부대 투입에 유용한 UH-60 등 수송용 헬리콥터는 미군 것을 지원받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강감찬함에 최대 2대가 실리는 링스는 최대 사정거리 25㎞의 시스쿠어 공대함(空對艦)미사일을 탑재, 해적선 공격에는 위력을 발휘할 수 있다.

 

유용원 군사전문기자 bemil@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