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구술 발표 및 청취 능력 향상시키는 요령①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11-27 00:00

Oral (구술) Report 하기

구술 발표는 혼자 또는 그룹으로 발표 과제나 프로젝트 과제를 선생님과 친구들 앞에서 발표하는 것으로 이의 준비는 서면 리포트를 준비할 때와 유사한데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른다.

1. 주제 선택:
부과된 주제와 따로 없다면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로 좋아하는 것이나 알고 싶은 내용을 주제를 선택한다. 보통 자신이 흥미 있는 분야는 관중들도 흥미를 가지게 될 것이다.

2. 목적 선택:
구두 리포트의 목적을 분명히 하는데 “청중을 설득하는 것인지, 주제와 관련한 정보를 제공할 것인지 또는 단지 청중을 즐겁게 할 목적으로 흥미로운 이야기를 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목적이 분명해야 내용이나 준비 과정에 방향 설정이 용이해진다.

3. 사전 조사와 내용 준비:
주제와 목적이 정해졌으면 리포트를 준비해 본다. 서면 리포트와 같이 구술 리포트도 도입, 본문, 결론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내용 구성을 위해서는 주제와 관련한 정보를 수집한다. 사전 조사를 할 때에는 청중의 입장에서 생각해 본다. 만약 자신이 청중으로 이 주제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 입장이라면 무엇에 대해 흥미를 갖고 또한 어떤 의문이 생길지를 검토해 본다.

일단 자신이 말할 주제에 대한 조사가 끝나면 이를 짜임새 있게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성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에세이 및 작문 능력을 향상시키는 요령”을 참조한다. 자신의 내용을 잘 구성하면 발표를 할 때 자신감이 생기고 또한 청중들이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내용들을 쉽게 파악하고 따라오게 될 것이다.

너무 많은 내용을 전달하려다 보면 듣는 사람이 부담스러워지고 너무 적은 내용을 전달하다 보면 정보 부족으로 궁금증만 커지게 된다. 그러므로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핵심 내용들의 개요를 잘 구성하여 이와 관계 있는 내용들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이 때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을 잘 고려해 개요를 작성한다.


-Introduction (도입)
일단 관객의 관심을 확 끌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주제와 관련한 질문, 극적인 이야기 암시, 개인적 경험들을 적절히 활용해 청중들이 말하려는 내용에 흥미를 갖게 한다. 처음 도입 부분에 흔히 사용하는 문구들은 다음과 같다.

I am going to explain about ~
This morning I want to talk ~,
The points I will focus on are first of all ~ Then ~ This will lead to ~ And finally ~ 등이 있다.


-Body (본문)
구술 리포트의 주된 부문으로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게 된다. 본문의 개요 및 내용을 잘 구성하여 이야기를 해 나가야 짜임새 있게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 본문을 준비할 때 중요 사항들로는 계속해서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이야기를 진행시키고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 자료나 예를 적절히 제시하도록 한다. 또한 아이디어를 전개해 나갈 때 청중들이 이야기 진행을 쉽게 따라올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접속 문구”들을 적절히 사용한다.

The next point I want to make is ~
From this we can see that ~
As a consequence ~
In spite of this, the results showed that ~
An example of this was when ~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true that ~


-Conclusion (결론)
자신이 말한 내용을 요약하고 더불어 가장 중요한 핵심을 언급하는 때이다. 청중들이 자신이 말한 내용 중 무엇을 기억하기 바라는가를 명심한다. 결론 부분에 사용할 문구들은 다음과 같다.

To sum up ~
From this we can see ~
To recap the main points ~
My intention was to show that ~ and the results confirmed that ~


4. 예행 연습:
일단 내용 준비가 다 끝나면 구술 리포트를 성공적으로 마치려면 필히 연습을 해야 한다. 처음에는 거울을 보거나 혼자 서서 연습을 한다. 어느 정도 익숙해 지면 다음에는 가족이나 친구들 앞에서 연습을 해 보며 아래 사항들을 점검해 달라고 부탁한다.

1. 청중에게 자신의 소개를 했는가?
2. 청중의 관심을 잘 불러일으켰는가?
3. 자신의 주제에 대한 명쾌한 소개 및 어떤 내용이 될 지로 서론를 시작했는가?
4. 자신의 아이디어 진행이 논리적 순서에 의해 진행되었는가?
5. 결론에 자신이 발표한 내용을 잘 요약해서 마무리했는가?
6. 보조 설명 도구가 있다면 잘 보이고 효과적으로 사용했는가?
7. 자신의 주제를 뒷받침하기 위해 소개한 근거 자료, 예, 증거들이 적절했는가?
8. 발표할 때 너무 요약이나 자료를 보고 읽지는 않았는가?
9. 긴장하지 않고 편안한 자세로 발표 했는가?
10. 자신의 발표하는 모습이 주제에 대한 지식이 충분히 있는 것처럼 보였는가?
11. 너무 빨리 또는 천천히 말하지 않았는가?
12. 발음하는데 문제가 있는 단어들은 없었는가? 또는 말하는 내용이 분명하게 들렸는가?
13. 발표하는 도중의 제스처는 적절한지? 혹시 쓸데 없는 행동이나 손동작을 보이지는 않았는가?
14. 발표 시간을 적절히 맞추었는가?
15. 발표가 끝나고 청중에게 질문할 시간이나 내용에 대해 평을 할 시간을 주었는가?

만약 구술 발표 때 그림, 참고 자료, 포스터, 프로젝터를 사용한다면 예행 연습 때도 실제로 도구들을 이용하거나 사용하는 것처럼 가정하여 연습하도록 한다. 또한 예행 연습을 통해 시간을 필히 확인하고 이에 따라 내용 분량이 적절한지를 확인 및 조정한다.


IGE 유학 제공  www.iglobaledu.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