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월수입 500만원 노모씨, 노후대책 꿈도 못 꾸는 이유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12-02 00:00

가르치다 보니… 한 푼 없구나

노후준비 최대 敵은 자녀교육비
본지·피델리티·현대경제硏 '은퇴준비 인식조사'
"계획조차 못한다" 32.1%
노부모 부양 의식은 점점 줄어
현 40~50대 노후 대비 가장 취약

 

금융회사에서 일하는 노모(42)씨의 전 재산은 서울 강남의 102㎡짜리 아파트다. 하지만 집값은 2년 전 노씨가 샀을 때보다 1억원 가까이 내렸다. 노씨의 한 달 평균 수입은 약 500만원으로 적지 않은 편이지만, 두 아이 교육비로만 200만원이 나간다. 은행 빚도 매달 100만원씩 꼬박꼬박 빠져나간다. 생활비까지 더하면 저축은 꿈도 못 꾼다. 노씨는 "미래를 위해 저축해야 한다는 건 알지만 현실적으로 돈 쓸 일 천지라 쉽지 않다"고 말했다.

우리 주변에 노씨와 같은 고민을 안고 있는 30~40대가 적지 않다. 본지와 피델리티자산운용, 현대경제연구원이 지난 8월 한국 남녀 성인 470명과 유럽 8개국 남녀 성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은퇴준비 인식 조사'에서도, 한국인들이 은퇴자금 준비에 차질을 빚는 가장 큰 이유로 '자녀 교육비'가 꼽혔다. 이번 조사 대상인 유럽 8개국(스웨덴, 네덜란드,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프랑스, 이탈리아, 포르투갈) 사람들이 ▲돈이 없어서 ▲잘 몰라서 ▲관심이 없어서 ▲나이가 어려서 등의 이유로 은퇴 준비를 못하는 것과는 대조적이었다.

◆자녀 교육비가 노후 준비 '발목'

한국의 경우 은퇴 자금을 준비한다고 응답한 사람은 전체의 49.6%로, 북유럽 국가(68~81%)들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러나 프랑스, 이탈리아, 포르투갈 등 남부 유럽 국가(36~43%)들보다는 높았다. 그런데 '은퇴자금 준비에 대한 계획이 전혀 없다'고 답한 응답자는 32.1%로, 조사대상 국가 중에 가장 높았다. 은퇴자금 준비를 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자녀 교육에 집중 ▲돈이 없어서 ▲나이가 어려서 ▲주택담보대출 때문에 ▲잘 몰라서 등을 꼽았다. 이렇게 은퇴 준비가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은퇴 후 현재 생활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응답자 비중이 19.1%에 불과했다. 반면 2명 중 1명꼴(43.1%)로는 '수입과 지출을 맞출 수 있는 정도의 빠듯한 생활을 예상한다'고 응답했다. 은퇴 금융상품을 선택할 때의 기준은 단연 '안전성'이었다. 원금 손실 위험이 낮으면서 은행의 정기예금보다 약간 높은 수준의 수익률을 선호하는 사람이 85.7%로 가장 많았다.

◆"노부모 부양=자녀 몫" 가치관

유럽 사람들과는 달리, 우리나라 사람들이 자녀 교육비 때문에 은퇴 준비를 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이철선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국인들은 연금 등 금융상품을 통하기보다는 자녀를 통해 미래를 대비하려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자녀에게 투자해놓고 이들이 나중에 커서 성공하면 부모의 미래를 책임져 줄 것이란 막연한 믿음이 있다는 것이다. 이철선 연구위원은 "다만 자녀 교육을 공교육이 해결해 주지 못하고 사교육으로 보충해야 하니, 가계의 교육비 지출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이렇게 개인이 노후 보장을 하지 못하면 향후 사회적 비용이 많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개인이 각자 노후 준비를 할 수 없다면 결국 고령자가 되었을 때 국가가 도와줘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자식 세대들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과거 70년대엔 17명의 젊은이들이 1명의 노인을 부양했지만, 2030년에는 젊은이 2.8명이 1명의 노인을 먹여 살려야 한다는 예측이 나와 있다. 우리 자식들 한 달 월급이 500만원이라면, 250만원은 국가에 내놔야 한다는 얘기다.

◆자녀에게 기댄다는 생각 버려야

전문가들은 현재 40~50대가 노후 대비에서 가장 취약한 계층이 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부모 봉양에 대한 자식들의 가치관이 급속도로 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통계청이 지난달 발표한 '2008년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부모의 노후를 '가족·정부·사회가 공동으로 책임져야 한다'고 여기는 사람이 '자녀가 책임져야 한다'는 사람보다 더 많았다. 공적(公的) 책임론이 가족 책임론을 앞선 것은 조사가 시작된 2002년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노부모를 자녀가 봉양해야 한다는 응답도 2002년 70.7%에서 올해 40.7%로 뚝 떨어졌다. '공동 책임'이란 응답은 18.2%에서 43.6%로 크게 늘었고 부모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사람도 11.9%나 됐다.


이경은 기자 diva@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