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사진이 무언가 당신에게 말할 때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12-08 00:00

1930년대 미국에서 대공황이 일어납니다. 주식 폭락을 시작으로 경제 전체가 그야말로 몰락을 하게 됩니다. 요즘 흔히 미국의 경제 상황을 대공황에 빗대곤 하는데 바로 이 무렵의 일을 말합니다.
경제가 어려워지면 뭐 모두 다 어려워지겠지만 그 중에서 가장 고통을 받는 것은 물론 어려운 사람들이지요. 경제가 좋아도 어렵고, 나빠지면 더 어려운 것이 가난한 사람들의 형편인 것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마찬가지겠지요. 하여튼 당시 미국에서는 가난한 농부들을 구제하기 위해 이른바 농업안정국(FSA)이 만들어지고 이 기구의 책임자 중 한 사람이었던 로이 스트라이커(Roy E. Stryker)라는 사람은 농민들의 어려운 삶을 사진으로 기록하는 계획을 세우게 됩니다.


여기까지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사실인데 저는 이 대목에 이르면 늘 한가지 궁금증이 떠오릅니다. 왜 하필 사진기록 작업을 시작했을까? 차라리 그 돈으로 쌀이라도 한 줌 더 나누어주는 것이 낳지 않았을까? 그러나 그들은 막대한 예산을 들여서 엄청난 사진기록을 남깁니다. 그 사진들은 지금 미국의회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는데 무려 27만2000장이라고 합니다.


그 사진들은 미국의 가난한 농부들의 처참한 실상을 세상에 보여주면서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 시작하고 좀더 적극적으로 농부들을 돕는 활동을 이끌어냅니다. 결국 제 역할을 한 셈이지요. 말하자면 사진이 세상 돌아가는 일에 영향을 미친 것이지요.


이런 사진들을 다큐멘터리 사진이라고 하지요. 사진이 그저 아름다움에 대한 감상도구에서 벗어나 이런 역할을 한 것은 굳이 따지자면 더 거슬러 올라갈 수도 있지만 이 때의 일이야말로 본격적으로 사진이 무언가 사람들에게 말하기 시작한 사건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지금 보시는 사진은 당시 농업안정국에서 일했던 “도로시아 랭”이라는 사진가의 작품입니다. 사진에 별 관심이 없는 사람들도 아마도 어디선가 한 번쯤은 보았을 법한 아주 유명한 사진입니다.
사진의 제목은 <이민 노동자의 어머니(Magrant Mother)>인데 저는 늘 이 사진을 보면서 우선 어머니의 눈을 봅니다. 무언가 보고 있는 듯 하지만 실상 아무 것도 보고 있지 않은 저 눈. 그리고 고개를 돌리고 엄마에게 부대끼고 있는 두 아이. 머리로 보아 여자아이들인 것 같지만 그냥 가위로 싹둑싹둑 잘라냈음에 틀림없는 머리와 남루한 옷. 그러면서 사진은 저에게 말을 하기 시작합니다. 그 말들은 정작 진짜 언어로 풀어 쓰자면 소설 한 권이 나올 수도 있고, 아니면 그저 일본의 하이쿠처럼 그저 한 마디로 족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결국 적당한 말을 찾을 수 없음을 곧 알게 됩니다. 그 말들은 제 귀로 듣는 말이 아니라 가슴으로 듣는 말이고 결국 사진은 그저 사진인 거지요.
이후로도 많은 사진들이 세상사람들에게 말을 합니다.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바로 눈 앞에 들이대는 것이지요. ‘당신 사는 세상에 이런 일도 있다’ 이러고 말입니다.
폭격으로 불바다가 된 마을을 뒤로 하고 울며 달려 나오는 벌거벗은 어린 소녀의 한 장 사진은 월남전쟁을 끝내는데 한 몫 했을 터이고, 저의 기억에도 생생한 최루탄 연기 자욱한데 친구 품에 안겨 피 흘리고 있는 한 대학생의 모습은 많은 사람들의 생각을 바꾸었을 것입니다.
만약 사진이 당신에게 말을 걸거든 잘 들어보십시오. 그러나 그 사진들이 하는 말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 하는 것은 각자 제 몫입니다.                     <다음주에 계속>
www.bisphoto.net / bainsoo@yahoo.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1  2  3  4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