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영어 못하면 시민권 못 준다고 한 적 없다”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9-03-23 00:00

캐나다 이민부 장관 해명

제이슨 케니(Kenney) 캐나다 이민부 장관은 21일 써리소재 한 인도식당에서 열린 소수민족 언론인 리셉션을 통해 “영어나 불어 공용어를 하지 못하면 시민권을 거부해야 한다는 발언은 한 적이 없다”며 “이민자 대상 영어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 와전됐다”고 해명했다.

캐네디언 프레스는 20일 케니 장관이 제 11차 메트로폴리스 컨퍼런스에서 “영어 또는 불어를 충분히 잘 구사할 수 없으면 시민권을 거절해야만 한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기자는 이날 행사 전 애니쉬 드외베디(Dwivedi) 이민부 수석특별비서관에게 20일 케니 장관의 발언이 이민사회의 반감을 사고 있다고 말했으며 드외베디 비서관은 현장에 도착하지 않은 케니장관과 연락을 취한 후 “캐네디언 프레스(CP)의 보도는 사실을 꼬아서 전달했다”며 “케니 장관이 이 점에 대해 해명할 것”이라고 전했다.

리셉션 자리에 도착해 언론인들과 인사와 개별 환담을 나눈 케니 장관은 “어제(20일) 내가 행한 연설은 연방정부가 새 이민자(New Canadian)의 사회적, 경제적 정착을 위해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조치를 취할 수 있을지에 대한 내용이었다”며 “이를 위해 캐나다 정부가 추가로 14억달러 정착지원 및 언어교육 예산을 어떻게 집행할지 소개했다”고 말했다.

케니 장관은 “연설중 나는 이민자의 단 25%만이 무료 언어교육과정을 이용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새 이민자들이 공식언어를 학습하도록 정부가 좀 더 장려해야 한다고 말했다”며 “불행히도 일부 언론이 내 발언을 잘못 기술해 마치 정부가 이민제도를 전반적으로 뒤집어 공식언어를 유창하게 해야 시민권을 줄 계획이 있는 것처럼 보도했다. 이는 진실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케니 장관은 “영어를 잘 할수록 캐나다 사회에서 더 많은 기회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제도를 변경할 계획이나 의사가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한편 케니 장관은 이날 한담을 통해 ‘다리(bridge)’를 강조했다. 이민정착 프로그램마련 자금이 특정민족의 특정단체에게만 지원되지 않느냐는 지적에 “다른 소수민족이 좋은 프로그램을 가져온다면 얼마든지 검토할 의사가 있다”며 좋은 프로그램의 기준으로 “캐나다 사회와 해당 소수민족 그리고 또 다른 소수민족 사이에도 다리가 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고 말했다. 연방정부는 주요이민자 봉사단체가 전문적인 정착 서비스를 마련하면 여기에 예산을 지원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또 소수민족 언론에 대해 “일부 정치인들은 전국적인 일간지나 방송망을 ‘주류 언론’이라고 하지만 나는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많은 캐나다인들이 소수언어를 통해 일상에 필요한 정보를 얻고 있으며, 중대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케니 장관은 현장에 모인 소수민족 언론인을 대상으로 “여러분이 다리가 되어 주었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모임에는 한인 언론 중 본 기자만 유일하게 참가했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