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붓다의 미소를 닮은 사람들 4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9-03-27 00:00

중년부부의 미얀마 여행기

깔로 트레킹(2)

새벽 닭 소리는 언제나 정겹고 싱그럽다. 이 새벽의 재촉에도 이불 속에서 뭉기적대기란 쉽지 않다. 밖은 아직 안개가 무겁게 내려 앉아 있었지만 우리는 길 떠날 채비를 해야 했다. 조촐한 아침상에 이어 어제 밤 집주인이 정성껏 만든 대나무 찹쌀 밥으로 후식까지 챙겨 먹고 자리에서 일어났다.(대나무 속에 넣어 구워낸 찹쌀 밥은 가래떡 모양인데 사탕수수 조청에 찍어 먹는다.) 대나무 건조대에 널어 두었던 빨래들이 밤새 안개로 눅눅하다.


이 집의 아이들과 어른들이 마당에 나와 우리를 배웅했다. 꼬마녀석이 아내가 지팡이로 사용했던 대나무를 얼른 들고 왔다. 잠깐 머물다 가는데도 그새 정이 들었나 보다. 엄마를 도와 수고한 큰 딸아이에게 꼭 선생님이 되라 말해주고 아끼던 볼펜을 손에 쥐어주었다. 계속 오르막이었던 어제와는 달리 오늘은 주로 논밭과 마을을 지난다. 만다익 시골 간이역에서 잠시 쉴 때, 송일국의 왕팬인 시장 국수집 처자에게 줄 주몽 포스터를 한 장 구입했다.


날씨는 여름처럼 더웠지만 지금은 건기인데다가 파종 전이어서 한가한 농촌 풍경이 갈색 톤으로 이어졌다. 물소는 쟁기를 끌어 논을 갈고 있고, 농작물을 머리에 이고 장에 가는 시골 아낙네들이 우리를 스쳐갔다. 백일도 안된 갓난 아기를 업은 젊은 엄마가 잰 걸음으로 장에 가기에, 불러 세워 포대 속에 있던 콩깍지를 샀다. 아기 엄마는 시장에 가기도 전에 물건을 반이나 처분해 발걸음이 가벼워졌다. 이 콩깍지는 오늘 밤 묵을 탄툰네 집에 줄 선물이다. 볕이 뜨거워져서 우리는 작은 승원에 들려 잠시 땀을 식혔다. 큰 마루 중앙에 불상이 모셔져 있는데, 우습게도 고물 TV 수상기가 선거 유세장에서나 봄직한 커다란 스피커에 연결되어 한쪽 책상 위에 놓여있다. 불상과 수상기와 대형 스피커의 이질적인 대비가 나에게는 부조화를 표현하려는 일종의 설치미술 같아 보였다.

이 설치미술의 주인공인 60대 노승이 차를 대접하다가 우리가 코리안이란 걸 알고 바로 한국 드라마 DVD를 틀어주었다. 스님은 한국 드라마뿐만 아니라 인도 영화 DVD도 여러 편 소장하고 있는데, 조잡한 해적판이니 화질이 좋을 리 없다. 엄격한 사찰 분위기에 익숙한 우리에게 대웅전 법당에서의 드라마 시청은 파격이 아닐 수 없었다. 드라마 시청의 답례로 스님에게 사진을 찍어 프린트해 주었는데, 24세 때 그렸다는 자신의 초상화를 가리키며 (사진 속 자기가) 매우 늙었노라고 안타까워하는 바람에 우리도 함께 안타까워하지 않을 수 없었다. 평생을 수행한 스님도 이렇듯 젊음을 아쉬워하니, 우리 같이 세속에 찌든 중생들이야 말할 것도 없다. 


논두렁을 지나고 언덕을 넘어 어떤 동네의 늙은 박수무당 집에서 점심을 먹었다. 음식은 탄툰의 다섯째 딸 ‘밀로’가 먼저 와서 준비를 했다. 마루 벽에 과시하듯이 도배한 ‘의관을 정제’한 제례의식 사진들을 보니 그는 한 때 꽤 잘나가던 박수였던 것 같다. 미얀마 사람들은 불교를 신봉하지만, 민간에는 ‘낫’이라고 불리는 토착 애니미즘이 있어, 이들의 기복적 삶을 지배하는 무격신앙이 뿌리를 내리고 있다. 이 박수무당도 마루 한가운데에 불상을 모시고 있는 걸 보면 불교는 낫의 상위개념인 듯 하다.


점심준비 임무를 마친 탄툰의 딸 밀로도 우리와 함께 집으로 향했다. 다섯째 딸 밀로는 시집에서 도망 나와 지금 친정 집에 머물고 있는 중이다. 나지막한 야산과 논이 반복되었다. 가끔 마을 사람들이 지나면서 탄툰과 인사를 나누었다. 우리는 조금 서둘러 걸음을 재촉했다. 마당에서 목물이라도 하려면 해가 지기 전에 집에 당도해야 한다. 탄툰네 집은 넓은 들판이 내려다 보이는 낮은 언덕에 이웃과 동떨어져 있었다. 널찍한 밭에는 콩이며, 마늘 같은 작물이 풍성하게 자라고 있고, 집 둘레에는 바나나 나무가 담장처럼 둘러서 있다.


풍성해 보이는 마당과는 달리 집 내부는 매우 낡았다. 판자로 이은 벽에는 구멍이 숭숭 뚫려있는데, 그 구멍을 막으려 신문지를 덕지덕지 발라 더욱 구차스럽게 보였다. 우리가 잘 방은 한술 더 떠 틈이 쩍 벌어진 마루바닥 사이로 소 우리가 훤히 내려다 보였다.  

목물로 이틀간의 땀과 먼지를 대충 씻고 나니, 이웃에 사는 시집간 맏딸에다 사위, 손자까지 놀러 와 집안이 북적대기 시작했다. 한 줄로 세워놓고 사진을 찍어 주는데 도무지 헷갈려 인원파악이 안 되었다. 자식이 열에다 사위, 손주들까지 가세를 했으니 그럴 만도 한데, 사실 탄툰의 친자식들이 아니어서 그도 가끔 헷갈린다.(이 사연 많은 사내의 이야기는 다음 편에 하기로 한다.)


키가 크고 쾌활한 탄툰의 처가 만든 간단한 샨(Shan)족 음식으로 저녁식사를 마치고 나니, 이미 날은 저물어 사위는 캄캄하다. 탄툰은 모닥불이 있는 부엌으로 건너가 잘 준비를 하고, 아내와 나는 마당으로 내려가 남국 하늘을 수놓은 휘황찬란한 별들을 한동안 올려다 보았다. 지상에서 불빛이 사라지니 천상의 별빛이 더욱 선명해졌다. 네팔 히말라야 설산의 유난히 밝았던 별들, 사하라 사막과 인도 타르사막 위로 금을 그으며 떨어지는 유성들, 남태평양 이스터 섬 밤하늘에 흐르던 은하수…. 문명과 멀어지니 별들은 빛났다.


넝마 같은 이불 속에 몸을 눕혔다. 너저분한 방의 분위기나 옆에 쌓아놓은 곡물포대를 보건 데, 밤새 쥐가 설설 댈 것이 뻔했다. 때 국물이 졸졸 흐르는 국방색 군용 이불도 만만치 않다. 오늘밤 나는, 이 이불을 거처로 삼고 사는 빈대와 벼룩에게 내 피를 공양하기로 각오했다. 판자벽 틈바귀로는 냉기가 새어 들어 오고, 마루 밑에는 물소들이 푸~ 푸~ 긴 숨을 내쉬며 깊은 잠에 빠져있다. 나는 공양으로 바친 종아리를 긁느라 밤새 몇 번이나 잠에서 깼는지 모른다.


<다음주에 계속>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따뜻해진 날씨 탓에 얼음 두께 얇아져, 사고 위험 높아”
오카나간 지역으로 얼음낚시를 떠날 계획이라면 안전에 더욱 유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켈로나 관할 연방경찰(RCMP)은 “27일 오전 6시 25분경, 우드(Wood) 호수에서 얼음낚시를 즐기던 남성 2명이 얼음이 깨지는 바람에 물속으로 빠지는 사건이 발생했으며, 이들 중...
“BC주 외식산업 경기침체기에도 안정적 성장세”
요식업계가 모처럼 웃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1월 식품 서비스업 및 주점 매출은 전달 대비 0.9% 늘어난 40억달러를 기록했다. 식당 매출도 증가세로 돌아섰다. 테이크아웃 전문점으로 대표되는 제한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식당과 일반 식당 매출은 각각 1.6%, 0.5%...
“밴쿠버 지역 학교 개축과 내진보강에 1억7000만달러 투자”
새 학교 건립과 교내 내진보강 공사 등에 약 1억7000만달러가 투입된다. BC주 콜린 한센(Hansen) 경제개발부 장관은 “이번 예산 집행으로 인해 학생뿐 아니라 BC 지역 근로자도 큰 혜택을 보게 될 것”이라면서 “일자리 1069개가 창출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른바...
“BC주 전등 150만개 꺼졌다”
‘지구촌 전등 끄기’(Earth Hour) 행사에 BC 주민도 적극적으로 동참했다. BC 하이드로(Hydro:수자원전력공사)에 따르면, 이번 행사가 열린 28일 밤 전력소비가 1.1% 줄었다. 72.67 메가와츠를 절약한 셈이다. 이는 전등 150만개를 소등한 것과 같다.  지역적으로 보면,...
“BC주 의료의 질 유지시키기 위해”
BC주 각 공립 학교의 간호학과 정원이 2001년 이후 두 배 가량 늘었다. 머래이 코엘(Coell) 고등교육부 장관은 “전세계적으로 간호사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면서 “BC주는 이러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의료 인력 정원을 늘려 왔다”고 밝혔다. 2001년 이후 BC주...
신형 전기차 다수 등장… 신모델 가격도 인하
2009 밴쿠버 인터네셔널 오토쇼가 31일부터 5일까지 밴쿠버 시내 BC 플레이스 스타디움에서 개최..
UBC오케스트라와 ‘죽음의 무도’ 연주
젊은 한인 피아노 솔리스트 이창균(영어명: 찰스 리, 22세)씨가 UBC 콘체르토 컴페티션에서 우승해 UBC심포니오케스트라와 오는 4일 UBC밴쿠버 캠퍼스 챈센터에서 공연한다. UBC 콘체르트 컴페티션은 UBC에서 음악을 공부하는 학과생부터 학부생, 대학원생이 모두...
캐롤 제임스 BC신민당 대표 한인 간담회
BC신민당(BCNDP) 캐롤 제임스(James) 대표는 26일 오후 2시 한인 언론인을 초청해 1시간 가량...
또 다시 총격사건이 발생했다. 사건은 27일 새벽 2시 30분경 밴쿠버 킹스웨이 선상에 위치한 한 호텔에서 일어났으며, 이로 인해 남성 1명이 왼쪽 팔뚝 등에 부상을 입고 현재 병원에서 치료 중이다. 밴쿠버 경찰은 “이번 사건이 사전에 계획된 것으로 보이지만,...
“국제공항에서 다운타운 워터프론트역까지 25분이면 O.K”
캐나다라인이 당초 예상보다 3개월 가량 빨리 개통될 전망이다. 고든 캠벨(Campbell) BC주 수상과 스톡웰 데이(Day) 국제무역부 장관은 27일 발표된 보도자료를 통해 “캐나다라인이 9월 중에 완공될 것”이라고 밝혔다. 리치몬드 다운타운과 밴쿠버 국제공항, 그리고...
유홍준 선생의 유명한 문화답사기에 보면 “전착도장 적재함”에 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이야기인즉슨 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작은 트럭 꽁무니에 보면  “전착도장 적재함”이라고 써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그게 무슨 뜻인지 궁금하여 여기저기 물어보고...
중년부부의 미얀마 여행기
마루 밑에는 물소들이 푸~ 푸~ 긴 숨을 내쉬며 깊은 잠에 빠져있다. 나는 공양으로 바친 종아리를 긁느라 밤새..
공인회계사 이은경씨의 영어 공부법 영어를 이민생활의 최대 걸림돌로 꼽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의사소통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취업도 비즈니스도 여가생활도 제대로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문제는 그 놈의 영어 실력이라는 게 대나무 자라듯 쑥쑥 크지...
지난 두주 동안 복합 모기지 혹은 LOC에 숨어있는 단점들에 관하여 자세히 살펴 보았습니다.  필자가 장점보다 단점들을 먼저 소개한 이유는 일반인들이 장점에 대하여서는 많이 들어 알도 있지만 숨겨진 단점들을 잘 모르고 있다는 점을 생각하여서 였습니다....
Scott McCloy(스콧 매클로이) 직장에서 일하다 다쳤다고 가정해 보십시오. 아니면 창업을 해서 WorkSafeBC에 등록해야 한다고 가정해 보십시오. 영어를 못하거나 영어에 자신이 없으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좋은 소식이 있습니다. WorkSafeBC는 한국어를 합니다. WorkSafeBC는...
영어를 이민생활의 최대 걸림돌로 꼽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의사소통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취업도 비즈니스도 여가생활도 제대로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문제는 그 놈의 영어 실력이라는 게 대나무 자라듯 쑥쑥 크지 않는다는 점이다. 제자리 걸음을 걷고...
“주정부 시설물 개선 위해 250만달러 투입”
학교 놀이터가 달라진다. BC 주정부는 놀이터 시설물 개선을 위해 예산 250만달러를 집행한다고 밝혔다. 리치 콜멘(Coleman) 사회개발부 장관은 “놀이터에서 뛰어 놀면서, 많은 어린이들이 신체 단련을 위한 기회를 접하게 된다”면서 “이번 투자가 그 기회를...
대전 유망벤처기업들 시장개척에 나서
KOTRA 밴쿠버KBC (센터장: 유호상)은 중소기업진흥공단과 공동으로 대전 북미종합 무역사절단 방문상담 행사를 4월 2일 오전10시부터 오후5시까지 밴쿠버 다운타운 메리엇 호텔(1128 W. Hastings St.)에서 개최한다. 대전광역시의 후원으로 추진되는 사절단은 천연성분의...
한인사회도 반대 여론 높아
버나비시에 유치장을 건립하려는 주정부 계획이 여론의 역풍을 맞고 있다. 한인사회도 유치장 건립 반대에 힘을 실어주고 있는 모습이다. 이용훈 노인회 회장과 ‘한국전 참전 기념과 및 커뮤니티 센터’(KWMCCS) 건립위 대표 발기인인 채승기씨는 유치장 건립 반대...
암에 도전하는 12시간 행사
지난 3월 13일 오후 7시부터 이튿날인 14일 아침 7시까지, 총 12시간 동안, SFU 버나비 캠퍼스VIP룸에서 ‘생명을 위한 릴레이’가 진행됐다. ‘생명을 위한 릴레이’는 캐나다 암협회 모금행사 중 하나로, 암을 이겨낸 생존자들에게 축하를 전하고, 암으로 세상을 떠난...
 1331  1332  1333  1334  1335  1336  1337  1338  1339  1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