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캐나다 직장인 “공부로 나의 가치 올려야 산다”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9-04-09 00:00

실무분야 재교육 바람 거세게 불어 고등학생들도 도제 통해 안정적인 직장 찾기 나서



불경기가 찾아오면서 캐나다인들 사이에 재교육 열풍이 불고 있다. 캐네디언 교육 카운슬(CCL)이 발표한 2008년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은퇴하지 않은 캐나다인 51%는 지난해 업무관련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웹 컨퍼런스(Mesh)에서 집중해 강연을 듣고 있는 이들= 사진: CNW그룹/Mesh



 



교육바람이 부는 원인 중 하나는 몸 값 올리기. 회사에 꼭 필요한 사람이 되지 않고서는 감원바람을 피해가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 결과 젊을수록 교육에 참여하는 비율이 높았다. 18세 이상 24세 사이는 67%, 25세 이상 34세 이하는 54.5%, 35세 이상 44세 이하는 50.1%가 자신의 직업과 관련해 교육을 받았다. 2명중 1명이 공부하는 직장인인 셈이다.



 



인력관리업체도 처세술로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오피스팀(OfficeTeam) 로버트 호스킹 전무는 감원 생존 계명으로 없어선 안될 존재가 되라(Make yourself indispensable) 1순위에 두고 회사를 바닥에서 탈출시키기 위한 프로젝트에 집중하면서 회사에 새롭게 기여할 수 있는 기술을 공부하라고 권고했다.



 



직장인을 대상으로 각 대학이 개설한 성인교육과정(Adult continuing Education)과 칼리지들의 단기 과정 인기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인기 있는 분야는 실무에 적합한 과목들이 대부분이다.



1~2개월내 자격증 취득이 가능한 과목을 통해 월급을 올리는 사람들도 있다.



 



한 캐나다 대형슈퍼마켓에 근무하는 피터 강씨는 응급처치 방법을 배워 시간당 월급을 1달러 올렸다. 연봉으로 환산하면 2000달러 가량 올린 것이다. 강씨는 회사 고용계약에 업무현장 응급처치법 (Occupational First Aid: OFA) 2급 자격증이 있으면 봉급을 올려준다는 내용을 동료에게 듣고서 메니저와 상의해 수업을 들었다고 말했다. 호흡곤란 시 기도확보와 호흡 조절법, CPR 등을 배우는 OFA 1급(Level 1)은 8시간, 2급은 36시간을 걸려 취득할 수 있다. 강씨는 1급은 하루를 투자해 받았고, 2급은 교제를 신청해 하루 매일 2시간 정도 집에서 공부하고 하루 동안 필기와 실기 시험을 치르고 2년간 유효한 자격증을 받았다.



 



강씨는 영어 능력이 부족해서 자격증이 있는 메니저와 다른 동료에게 조언과 도움을 많이 받았다수업비용도 영수증을 제시하니 회사에서 일부 충당해 줬고, 또 교육비로 세금공제에도 사용할 수 있어 부담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강씨는 1급에 90달러, 2급에 600달러 수업료가 들었다. 강씨는 2급 자격증을 따면서 얻은 자신감을 여세로 몰아 3급 자격증에 도전할 생각이다.



 



IT업체에 근무하는 피터 신씨는 인터넷을 통한 학습으로 직장에서 자리를 지키는데 효과를 봤다. 신씨는 업무상 회의가 많은 편이나 자신의 영어발음 때문에 이를 은근히 부담스러워 했다. 직장동료에게 도움을 요청해 몇 번 회의준비에 도움을 받았지만 한 차례 감원이 있은 후에는 도움을 받을 사람도 없어졌다.



 



위기의식을 갖게 된 신씨는 델과 마이크로소프트사 등이 제공하는 러닝센터프로그램을 찾아 다니게 됐다. 신씨는 이전에 한국에 있을 때도 이런 영어권 러닝센터 프로그램을 봤지만 업무환경이 달라 이해가 어려웠다캐나다 업무환경에서 보니 이해가 쉬웠다. 집에서 2~3시간 가량 화상채팅과 교제공부를 통해서 얻은 것은 지식뿐만 아니라 IT분야의 문화도 소화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청소년 도제과정 통해 실무자리 찾아



BC주 정부 도제과정 밀어주기 정책



 



실무 중심에 직장 미리 찾기 바람이 불면서 BC주 고등학생 사이에서도 미리 도제과정으로 진학해 일자리를 찾아가는 이들이 적지 않다. 이와 같은 진학 패턴은 이들의 할아버지 세대와 유사한 면이 있다. 베이비 부머 중 일부는 기술학교나 칼리지를 졸업해 일자리를 확보한 후, 이후 대학에 도전한 이들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정부도 이런 추세를 부채질하고 있다. BC주정부는 7일 BC주 트레이닝 세금공제(BC Training Tax Credit)를 오는 7월1일부로 고용인원 1인당 4000달러로 올려 이전보다 2배로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이 세금공제는 도제과정 인력을 고용한 기업체에 주어지는 감세 혜택이다. 고든 캠벨(Campbell) BC주수상은 올해 도제과정(apprenticeship)에 4만7000명이 등록해 2001년 보다 숫자가 3배로 늘어났다며 이 같은 정책 마련 배경을 설명했다.



 



BC주 도제과정은 총 100개 프로그램을 통해 140종의 다양한 전문인을 양성하고 있는 가운데 산업훈련청(Industry Training Authority: ITA)이 관리를 총괄하고 있다.



 



청소년 도제 과정은 보통 12학년에 등록해서 12학년부터 실무와 이론 교육을 받을 수 있다.단 고용에 필요한 주요 교육은 칼리지에서 받게 된다. ITA청소년 분과에 따르면 자동차정비기술자(Automotive Service Technician) 꿈을 키워가고 있는 로렌 셈플(Semple)씨는 2005년 9월, 12학년 당시 도제프로그램 ACE IT 에 등록했다. 이후 2007년 12월까지 학교졸업 후 인근 칼리지에서 기초교육을 받고 자동차딜러에서 정비사로 450시간 경력을 쌓았다.



 



이후 BCIT로 학교를 옮겨 자동차 정비 1, 2, 3단계를 끝냈고, 올해 말 마지막 4단계를 이수할 예정이다. 일과 학업이 병행되기 때문에 어려운 점도 있지만 공식적인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만큼 홀로 일자리를 잡기 위해 뛰는 것보다 유리한 면이 있다. 현재 셈플씨는 GM사 그랜드 마스터 테크니션 자격을 취득했고 어디서든 정비사로 활동할 수 있도록 캐나다 전국에서 통용되는 인증서(레드실)도 갖고 있다. ITA는 도제과정으로 진학도 대학교 진학처럼 9~10학년 사이에 미리 결정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안내하고 있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盧 ‘간접경고’…대질시 진술유지 관심 이른바 ‘박연차 리스트’ 수사가 노무현 전 대통령을 겨누고 있는 가운데 박연차 태광실업 회장은 괴로운 심경을 밝히면서도 기존 진술을 뒤집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돈을 뿌렸다는 자신의 자백을 근거로...
6년만에 '깜짝 나들이' 심은하 "탈출구가 필요했다"…연예계 복귀 질문에 "애 키워야죠" 강영수 기자 nomad90@chosun.com 지난 2001년 결혼과 함께 은퇴를 선언한 심은하가 배우가 아닌 화가로서 6년 만에 공식석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심은하는 15일 오후 서울 삼성동...
“계속되는 강력사건, 경찰은 괴롭다”
또 다시 살인사건이 발생해 경찰 관계자들을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연방경찰(RCMP)은 “15일 오전 리치몬드 산업지구에 주차되어 있는 차 안에서 여성 사채 1구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정확한 사채 발견 장소는 2560 쉘가(Shell Road)에 위치한 주차장이다. 연방경찰은...
BC자유당 선거공약집 발표
고든 캠벨(Campbell) BC주수상은 BC주 집권 BC자유당(BC Liberals) 대표 자격으로 15일 선거공약집을 발표했다. ‘BC를 강력하게 지켜라(Keep BC Strong)’란 제목으로 발표된 BC자유당 공약집은 55페이지 분량으로 지난 10일 BC신민당(BCNDP)이 발표한 공약집과 비슷한 분량이다....
선거초반 기세등등
자유당(Liberals)이 BC주 총선 레이스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 기관 머스텔(Mustel Group)에 따르면, 자유당과 신민당(BCNDP), 양당간의 지지율 격차는 예상보다 컸다.  4월 1일부터 7일 사이 실시된 이번 여론조사에서 BC주 유권자 52%는...
주택판매량 두 달 연속 수직 상승”
주택판매량이 두 달 연속 큰 폭으로 늘었다. 카메론 뮈어(Muir) BC부동산협회(BCREA) 수석 경제연구원은 “3월 주택판매량이 전달 대비 24% 증가했다”면서 “이는 주택가격 하락과 모기지 부담 감소 때문”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주택 평균 판매가는 1년 전에 12%...
건강상태 이전보다 나아졌으나 일부 문제 여전
BC주내 사춘기 연령대 청소년들의 건강상황이 이전보다 나아지기는 했으나 대마초 흡연과음주 등 몇몇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영리 청소년 연구교육단체 맥클리어리 센터 소사이어티(McCreary Centre Society)는 BC주 청소년을 대상으로 지난해...
UBC 기숙사 비교체험
UBC에 많은 기숙사들 중 만 19세가 넘어야만 신청이 가능한 3개의 기숙사인 리츠메이칸(Ritsumeikan), 마린 드라이브 (Marine Drive), 게이지 (Gage) 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기숙사들은 자신이 직접 요리할 수 있어, 비싼 meal plan을 따로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고,...
재 캐나다 과학 기술 협회 UBC지부
UBC AKCSE는 (UBC Association of Korean Canadian Scientists and Engineers, 이하 UBC AKCSE) 재 캐나다 과학 기술 협회의 한 지부로써 BC주에서는 SFU에 이어 두 번째로 올해 2월 UBC에서 설립된 학교 공식 클럽이다. UBC AKCSE는 재 캐나다 과학 기술 협회의 설립 취지와 마찬가지로 이공계...
한인학생회 KISS 암협회 자원봉사중
지난 9월에 KISS 한인 학생회에서 시작된 Canadian Cancer Society에서의 봉사활동은 학기가 끝난 후에도 열기가 식지 않고 있다. 현재 14명의 학생들은 오는 5월 29일에 열릴 Vancouver Relay for Life 라는 이벤트에서 Survivor Committee에 속해서 봉사를 하고 있다. 학생들은 매주...
전쟁은 시작됐다 2009.04.14 (화)
BC주 선거“공식 선거운동 벌써부터 가열”
총 79명의 의원(MLA)을 선출하는 ‘제 39대 BC주 의원선거’의 공식 선거운동이 14일 시작됐다. 이번 선거의
“자연요법의, 산파 역할도 한 단계 격상”
자연요법의(naturopathic physician), 간호사(RN), 산파 등 일부 보건인력의 역할 및 지위가...
“밴쿠버 시경 공개수사 나서”
올 한 해 밴쿠버에서 발생한 열세 번째 살인사건 관련 수사가 미궁 속에 빠졌다. 밴쿠버 시경은 14일 발표된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 9일 킹스웨이 선상에 위치한 가이 카레톤(Carleton) 초등학교에서 발견된 사체의 신원은 확인했지만, 아직까지 범인에 대한 구체적...
지금 캐나다는 사상 최저의 모기지 금리를 누리고 있습니다. 2001년 911 사태이후에 미국과 캐나다는 저금리 정책으로 식어 버리려던 경제를 빠른 시간에 회복시켰지만 2007년 미국의 Sub Prime문제가 표면화되면서 미국의 부동산 경기는 겉잡을 수 없는 상태로...
흑백사진 2009.04.10 (금)
유명한 사진작가의 작품을 보면 흑백사진이 많습니다. 지난 주에 이야기한 “앤셀 아담스” 같은 경우는 사진의 거의 다가 흑백입니다. 저도 필름으로 사진을 찍을 때는 거의 대부분 흑백사진만 찍었습니다. 물론 그 까닭이 유명작가들과는 전혀 달랐지만...
중년 배낭족의 미얀마 단상
말이 좋아 퍼스트 클래스지 세컨드 클래스와 차이는 지정석이라는 것과 나무 의자의 바닥에 단지 얇은 쿠션이..
[여기 어때요?] 안개 낀 스탠리파크에 가다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인 밴쿠버의 체면이 요즘 말이 아니다. 총격사건이 빈번해진 탓이다. 올림픽이 코앞에 있어서인지, 외신들은 호들갑을 떨며 밴쿠버의 치안 상태에 의구심을 표현하기도 한다. 불안한...
“재범 확률 높은 위험 인물”
밴쿠버 경찰이 보호관찰 준수사항을 위반한 성폭력 사범을 공개 수배했다. 경찰의 추적을 받고 있는 이는 26세의 원주민 남성으로 이름은 마르셀로스 노먼 제이콥(Jacob)이다. 그는 무단 침입 및 성폭행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복역한 뒤 가석방된 상태였다....
“랭리 병원에 최첨단 컴퓨터 단층촬영기 도입”
캐나다는 ‘의료복지의 천국’으로 알려져 있지만, 환자들의 불만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최대 불만 중 하나는 지나치게 긴 검사 및 수술 대기시간이다. 지난 해 스페이셜 이코노믹스(Spatial Economics)의 보고서에 따르면, BC 주의 MRI 검사대기시간은 무려 81일에...
“실업률 급증하자 BCNDP 주정부 정책 비난하고 나서”
갈수록 실업률이 높아지자 BCNDP(신민당)을 포함한 각 단체가 BC주정부에 비난의 화살을 돌리고 있다. 고용 안정화 대책이 부실하다는 뜻이다. 주정부는 3년간 140억달러를 투자해 일자리 8만8000개를 창출하겠다고 공언하고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1321  1322  1323  1324  1325  1326  1327  1328  1329  1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