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SFU] 우리나라 4대 명절 단오는 우리가 지킨다!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9-07-02 00:00

올해로 4번째를 맞이한 SFU 한인 학생회 하나다 주최의 단오절 맞이 전통 잔치. 그 횟수가 거듭할수록 발전하는 모습을 보인 단오잔치는 이제 하나다의 연간 행사 중 빼먹을 수 없는 큰 행사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학생들이 손수 만든 비빔밥과 통기타밴드 준앤제이의 연주, 그리고 노래잔치의 순서로 진행되었던 이번 행사는 점점 잊혀만 가는 단오를 지키고자 또, 할머니, 할아버지들에게 기쁨을 드리고자 시작되었지만, 봉사하는 학생들에게도 보람을 느끼게 해주는 행사가 아니였나 싶다.  


아침부터 한인회관에는 하나다 임원 7명과 봉사자 4명이 모여 분주한 움직임을 보였다. 물론 200분의 노인들을 맞이하기에는 적은 수였지만 어느 때보다 활기차고 정이 오가는 자리를 준비하기에는 무리가 없었다. 시계가 정오를 향해가자 한인 회관은 많은 노인으로 가득 메워졌고, 이윽고 하나다의 두 사회자, SFU 아트 2학년 정재환군과 사이언스 2학년 신유진양의 활기찬 진행이 시작되었다. 이들이 노인들과 체조도 하고 담소를 나누기를 몇 분, 부엌에선 이미 비빔밥 준비를 끝마치고 있었다.


시금치, 호박, 버섯 등 여러 나물이 어우러진 비빔밥에 된장국이면 무엇이 더 부러울까. 단오절 잔치의 자랑인 점심은 늘 학생들이 직접 만든 정성스런 음식을 선보여 노인들의 관심을 독차지하곤 했다. 200여 그릇의 비빔밥을 모두 나눠 드리는데 힘이 들까 걱정했지만, 봉사자들 덕분에 정성 깃든 비빔밥을 모두 따뜻하게 전해 드릴 수 있었다. 그러나 점심 시간은 이것이 끝이 아니었다.

여름철 빼놓을 수 없는 과일인 수박과 하나다의 단오절 단골 후식인 떡들로 테이블이 다시 한번 꽉 차는 사이, 어디선가 두 통기타의 하모니가 들렸다. 통기타 연주와 노랫소리가 아름답다고 소문난 준앤제이밴드는 이날 자리를 빛내는 데 손색이 없었다. 이들의 음률에 빠져 있는 사이, 어느새 다시 한번 마이크를 잡은 사회자들이 기다리던 노래잔치의 시작을 알렸다. 노래잔치에서는 그야말로 노인들의 숨겨진 노래솜씨를 볼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참가자에게는 상품도 거머쥘 좋은 기회였다.

이번 단오절 맞이 전통 잔치를 총괄한 SFU사이언스 1학년에 재학 중인 박나정 팀장은 “물론 학생들이 주최하고 진행했던 이벤트였지만, 요즘처럼 경제가 어려울 때에도 하나다를 도와주시는 분들이 계시기에 이런 자리를 마련할 수 있었다”며 “이번 행사를 후원해주신 두꺼비, 불 철판, 오복 떡집, 웰빙 건강 백화점, 한남, 한아름, 한양 떡집 업체들이 없었다면 힘들었을 것이었다”라며 감사의 말을 전했다.


이번 행사에 참석하신 한 할머니는 “이번 단오절 행사는 어느 단오절 행사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만큼 흥겹고 좋았다”며 말을 아끼지 않으셨다. 이것은 학생들도 그랬다. 처음의 긴장했던 분위기는 어느새 사라지고, 진짜 손녀, 손자처럼 정겹고 대해주시는 할머니, 할아버지를 모시며 마음마저 따뜻해지는 하루였듯 싶다. 비록 제대로 준비를 끝내기까지 오랜 시간과 노력 그리고 협동이 필요했던 이번 단오절 맞이 전통 잔치였지만, 그 보람과 감동은 배로, 그리고 마음으로 전해지는 행사였다. 


이유진 학생기자 사이언스과 2학년 yjr1@sfu.ca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한인기독교 협의회 주관으로 친선체육대회 열려
밴쿠버 한인기독교회 협의회(회장 백상만 목사) 친선체육대회가 8월 1일, 써리소재 클로버데일 파크(Cloverdale Athletic Park)에서 열렸다. 올해로 33회째를 맞은 체육대회에는 23개 교회, 2000여명의 한인들이 참가해 소프트 볼, 족구, 피구, 세 종목에 걸쳐 열띤 경기를...
2000여명 이재민 발생
BC주 곳곳에서 산불이 발생해 소방관들이 사투를 벌이고 있다. 오카나간 주민들이 7월 중순부터 화마에...
병원내 간호사노조와 근로자 노조 갈등
최근 캐나다 국내 노조와 노조 사이에 갈등이 가시화되고 있다. 많은 노조가 불경기 탓에 노조원을 잃으면서, 적극적으로 노조원 모집에 나서자 갈등이 빚어지고 있는 형국이다.  최근에는 BC간호사노조(BCNU)가 보조간호사와 기타 보건인력을 노조원으로...
4건의 연쇄방화 발생
밴쿠버 경찰이 최근 스탠리 파크에서 있었던 방화사건의 범인을 잡기 위해 순찰을 강화했다. 지난 목요일부터 스탠리 파크에 발생한 화재는 총 4건에 이른다. 지난 7월 30일, 새벽 6시에 보고된 공원 초입의 방화사건을 시작으로 8월 1일 저녁에는 산책로와 나무 등에...
UBC 공공보건학 석사 등
BC주정부는 올 가을 학기부터 일부 대학교와 칼리지에 학위과정을 추가로 늘리기로 했다고 지난달 말일 발표했다. 모이라 스틸웰(Stilwell) 고등교육부 및 노동시장개발부 장관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점에 BC주 포스트 세컨더리 학생들이 광범위한 전공에 대해 더...
신민당 3일 항의시위…반대서명 모집
BC신민당(BCNDP)은 BC주정부의 통합소비세(HST)도입 계획이 BC자유당(BC Liberals)선거공약에...
어느새 8월입니다. 여름의 끝자락을 즐기는 기분이 들어야 할 텐데. 너무나 덥습니다. 퇴근 후 가족과 함께 이 쇼핑몰 ...
보건청 극단적인 더위 주의 권고
프레이저 보건청은 2일까지 극단적인 더위를 조심하라고 권고 했다. 기온이 30도를 웃돌게 되면 흔히 ‘더위 먹는’ ...
“캐나다 다녀온 한국 초등학생 신종플루 감염”
조기유학생 부모 사이에서 ‘신종독감’(H1N1)이 또 다시 회자되고 있다. 경기도 분당 소재의 한 초등학교에 다니는 ...
증오범죄 다문화 사회를 흠집 내다
29일 밤 발생했던 버스 내 폭행사건이 증오범죄(Hate Crime)로 밝혀졌다. 피해자인 쿠아시마리 베이그(Baig, 59세)씨...
BC주 야당, 여당이 적자폭 숨겼다고 비판
BC신민당(BCNDP)는 콜린 핸슨(Hansen) BC주 재무부장관이 “갑작스러운 16억 달러 이상 BC주정부 재정 적자를 들고 나...
“전년 대비 범죄 발생건수 감소, 경찰 증원 덕분”
밴쿠버 경찰 집계 범죄 발생건수가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밴쿠버 경찰에 따르면, 올 상반기 6개월 동안 범죄 ...
소방당국 화재에 각별한 주의 당부
메트로 밴쿠버 곳곳에서 화재가 자주 발생해 주의가 촉구되고 있다. 30일 오전 7시30분 경에는 코퀴틀람 시내 노스...
메트로 밴쿠버 시별로 공원에서 흡연과 BBQ를 금지하고 있어 공원 내 안내판을 잘 살펴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메트로...
“아시아-태평양 평화의 날 재정”
8.15는 한국인만 일제치하의 아픔을 기억하는 날이 아니다. 밴쿠버시는 오는 8월15일을 “아시아-태평양 평화의 날...
자유당 4일 이근백-리노스키씨 대결
자유당(Liberal) 뉴 웨스트민스터-코퀴틀람 선거구 위원회는 오는 8월4일 지역구 연방하원후보 선출을 위한 당원...
최고로 무더웠다
결국 최고 기록이 깨졌다. 기상청에 따르면, 29일 오후 5시 밴쿠버의 기온은 섭씨 33.8도로, 가장 무더웠던 1960년(섭씨 33.3도)을 넘어섰다. BC주 일부 지역의 수은주는 섭씨 40도까지 치솟기도 했다. 기상청은 웹사이트를 통해 기온이 다소간 내려갈 것으로 예상하고...
밴쿠버 자외선 지수 8단계, 야외활동 자제
BC주가 무더위로 몸살을 앓고 있다. 밴쿠버섬 일부 지역의 기온이 섭씨 40도까지 치솟으면서, ...
단독주택에 임대용 별채 개발 가능
밴쿠버 시내 단독주택에 별채(Laneway house)를 지을 수 있도록 밴쿠버 시의회가 시조례를 28일 변경했다. 그간...
“150개국 총 2만5000명 공립대학 재학 중”
수많은 유학생들이 매년 BC주를 찾는 이유는 무엇일까? 정답은 ‘교육의 질’이다. 최근 BC주정부가 실시한...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1307  1308  1309  1310